• 제목/요약/키워드: 조율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29초

HUBER의 M-추정함수의 조율상수와 커널추정함수의 평활계수의 관계 (The Bending Constant in Huber’s Function in Terms of a Bandwidth in Density Estimator)

  • 박노진
    • 응용통계연구
    • /
    • 제14권2호
    • /
    • pp.357-367
    • /
    • 2001
  • Huber의 M-추정함수의 형태는 조율상수가 주어질 때 비로소 그 형태가 결정된다. 조율상수를 커널밀도함수추정량의 평활계수를 이용하여 구하여 보았고,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에 상요되는 조율상수들과 그 성능을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새로운 방법에 의해 구해진 조율상수가 기존의 조율상수를 사용하는 경우 보다 모의실험을 통해 얻은 추정치의 분산이 작게되는 경우가 있음을 알았다.

  • PDF

춘투를 다시 본다: 조율된 기업별 교섭의 성과와 한계

  • 정이환
    • 산업노동연구
    • /
    • 제14권2호
    • /
    • pp.267-307
    • /
    • 2008
  • 이 논문은 일본 임금교섭의 '높은 수준의 조율'과 '상당한 기업규모별 임금격차의 존재'라는 일견 서로 모순되는 두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일본에서의 기업규모별 임금격차의 상황을 보았다. 여기서 상당한 정도의 임금격차가 있다는 것을 재확인했다. 그렇지만 일본의 임금격차의 양상은 보다 복합적이어서 소정내 임금을 기준으로 할 때 초임에서는 기업규모별 임금격차가 거의 없었다. 또한 1970년대 이후 1990년대까지 기업규모별 임금격차가 거의 확대되지 않았으며, 한국과 비교할 때 기업규모별 임금격차는 작았다. 이렇게 된 한 가지 이유는 임금교섭인 춘투가 긴밀하게 조율됨으로써 초임이 통일되었고 기업간 평균임금의 격차를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업별 교섭이 긴밀하게 조율될 수 있었던 데에는 일단 '통일투쟁'을 주도한 노조의 전략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통일투쟁의 선두에 선 대기업 노조들은 기업 내에서의 임금극대화보다는 사회적 임금결정 기준을 형성하는 데에 노력했다. 이와 함께 노조에 맞서 강한 단결을 유지하고 긴밀한 협의체제를 만들어간 사용자의 대응 역시 결정적 요인이었다. 그럼에도 상당 폭으로 존재하는 임금격차 역시 임금교섭의 양상과 연관되어 있다. 기업별 교섭이 긴밀히 조율되긴 하나 조율에 한계가 있어서 임금격차를 어느 한도 이상 줄이지 못하는 것이다. 조율의 한계로는 첫째 노조 연대임금 정책의 부재, 둘째 기업별 교섭으로 인한 전국적 조율의 한계, 셋째 연공적 임금체계 하에서 기업횡단적 임금결정 기준이 부재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VVI 단극유도의 심박조율치를 가진 환자의 개심술 -1례 치험- (Cardiac Surgery for the Patient with VVI Unipolar Pacing System -One Case-)

  • 정해동;최종범;최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398-401
    • /
    • 1998
  • 단극유도의 심박조율기를 가진 56세 여자환자에서 관상동맥 우회로술과 승모판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단극유도 심박조율기는 심근 외의 전자기의 간섭에 대한 감수성이 높으므로 개심술시 전기소작기의 전기파에 의해 심박조율기의 조율기능이 억제될 수 있으며, 수술후 제세동기 사용할 때 영구 심박조율기에 전기 충격이 갈 수 있다. 따라서 대동맥 차단 감자를 해제한 후 심실세동없이 정상 심박동을 유도해야 한다. 본 환자에서 임시형 심방실 유도를 거치하고 임시형 심박조율기로 조율하여 심장리듬과 심기능을 유지시키면서 전기소작기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대동맥 차단 중 전행성 및 역행성으로 혈성심정지액을 투여하고 대동맥 차단감자를 해제하기 직전에는 온혈심정지액과 온혈의 순차적인 역행성 주입으로 자연적인 심장리듬을 회복시킴으로써 제세동기 사용을 배제할 수 있었다.

  • PDF

영구 경정맥 심박조율도관의 심장내 이동과 동반된 심내막염 - 1례 보고 - (Endocarditis with Intracardiac Migration of Transvenous Permanent Pacing Lead - 1 Case Report -)

  • 구관우;강신광;원태희;김시욱;유재현;나명훈;임승평;이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1호
    • /
    • pp.831-834
    • /
    • 2002
  • 감염된 심박조율기의 부분적 제거 후에 발생되는 재감염율은 51%에서 77%에 이르기 때문에 심박조율기의 어느 부위라도 감염이 된다면 모든 심박조율기의 하드웨어는 제거되어야 한다. 심폐기 가동하에서 감염된 심박조율기를 제거하는 것은 감염과 증식물의 확산 뿐만 아니라 기계적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다. 저자 등은 좌쇄골하 정맥에서 심장내로 이동된, 감염된 경정맥 심박조율기 도관에 의해 발생한 심내막염의 1예를 보고 한다. 심장내로 이동된 심박조율기 도관과 증식물이 부착된 전극은 심폐우회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초보자를 위한 기타 조율 지원 시스템 (Guitar tuning support system for beginners)

  • 김도원;손영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제1호
    • /
    • pp.293-296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기타를 배우는 초보자가 조율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입력된 기타음에서 A/D 변환 및 FFT를 이용하여 pitch를 추출하였다. 기타음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줄감개의 조작량과 조작 방향을 '약 $45^{\circ}$정도 감아라.', '아주조금 풀어라.' 등과 같은 언어적 표현으로 나타내어 조율 할 수 있게 하였다. 기타를 처음 접해보는 피험자들에게 본 시스템을 적용시켜 본 결과 피험자들은 시스템의 언어표현과 적절한 조작 횟수에 대하여 만족감을 나타내었고 조율 결과도 숙련자의 조작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MDPDE의 조율모수 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uning parameter selection for MDPDE)

  • 유동현;김병수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3호
    • /
    • pp.549-559
    • /
    • 2015
  • MDPDE는 이상치에 강건한 성질을 가진 추정량으로써 최대우도추정량의 대안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MDPDE는 조율모수에 따라 성질이 변하게 되는데, 로버스트성과 점근효율성이 서로 상충하는 현상으로 인해 최적의 조율모수를 선택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MDPDE의 최적의 조율모수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Fujisawa와 Eguchi (2006)가 제시한 방법과 Warwick (2006)이 제시한 방법을 소개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Warwick (2006)의 방법은 특정한 경우 매우 작은 조율모수를 선택하게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는데, 같은 경우에 Fujisawa와 Eguchi (2006)의 방법은 이러한 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Fujisawa와 Eguchi (2006)의 방법이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소아연령군에서의 영구 심외막 심박 조율 13년 경험 (Thirteen-year Experience of Permanent Epicardial Pacing in Children)

  • 한국남;임홍국;김웅한;김용진;노준량;배은정;노정일;윤용수;안규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499-503
    • /
    • 2004
  • 배경: 본 연구에서는 소아연령군에서 과거 13년 동안 시행한 심외막 인공 심박 조율 수술의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인공 심박동기의 평균 수명, 역치, 재수술의 원인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영구 심박 조율기 또는 전극의 이식을 시행한 83명의 환아에게 시행한 121예의 수술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으로 환자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심박 조율기의 수명, 자극 역치, 저항, R파, P파, 감지 역치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당시 측정한 평균 심실 자극역치는 1.2$\pm$0.l (0.1∼5) mV, 평균 저항은 519.1$\pm$18.1 (319∼778) ohm, 평균 심실 R파 감지역치는 8.9$\pm$0.7 (4∼20) mV, 평균 P파 감지역치는 2.5$\pm$0.7 (0.4∼12) mV 이었다. 심박 조율기의 평균 수명은 64.7$\pm$3.7 (2∼196)개월이었다. 심박 조율기 무재수술률은 1년 94.6%, 2년 93.6%, 5년 80.8%, 7년 63.7%, 10년 45.4%였다. 재수술의 원인은 전지 고갈이 26예, 전극 이상이 9예 등이었다. 심박 조율기 삽입 후 이의 오작동과 관련된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다. 결론: 소아연령군에서 심외막 심박 조율기 삽입 후 재수술 없이 이를 사용할 수 있는 비율은 비교적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19.1%의 환자만이 5년 내에 재삽입이 필요했다. 스테로이드 용출 전극의 재수술률은 6.7%로 이는 심외막 심박 조율기의 수명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구 경정맥 심박조율기 도자에 의한 우심실 천공과 좌측 혈흉 -1예 보고- (Right Ventricular Perforation and Left Hemothorax by Permanent Transveneous Pacemaker Lead - Report of 1 Case-)

  • 김재현;김근직;오삼세;백만종;김종환;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312-315
    • /
    • 2005
  • 심내막 심박조율기 이식 후 도자에 의한 심장 천공으로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본원에서는 영구 경정맥 심박조율기 이식 후 우심실 천공에 의한 좌측 혈흉이 발생하였던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수술 소견 상 심박조율기 도자가 우심실 천공 후 심낭막과 흉막을 차례로 관통하였으나 혈심낭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편경의 기역자형 모양에 따른 조율 효과 (Tuning effect of L-shape on Pyeon-gyoung)

  • 유준희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 /
    • pp.287-290
    • /
    • 2004
  • 편경의 기역자 모양은 하늘이 굽어 땅을 덮는다는 철학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그보다는 기하학적인 구조를 통한 조율의 한 방편이었음이 가정된다. 고대 중국에서 발견된 편경은 오각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나 청대에 발견된 편경은 기역자 모양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이러한 가정을 뒤받침한다. 본 연구에서는 FEM 을 통한 편경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른 떨기방식의 진동수를 추정하여 편경의 기역자 모양이 조율의 한 방편이었음을 제안한다.

  • PDF

프로그램 성능조율 대안을 평가하는 방법론 (A Methodolgy to Evaluate Program Tuning Alternatives)

  • 엄현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2권6호
    • /
    • pp.349-35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래머들이 다른 성능조율 대안들을 평가하는 것을 돕는 새로운 평가 방법론을 소개한다. 이 방법론은 조율 대안이 채택된 경우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성능 병목 지점의 확인을 위하여 프로그램 구성 요소들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수량화하는 전통적인 성능 평가 방법론과는 대조적으로 분산 또는 병렬 프로그램이 처리하는 일의 이동 이후의 성능을 예측한다. 따라서, 이 방법론은 일의 처리 장소를 변경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이 방법론을 사용하면 기반 네트워크 변경에 따른 성능에 대한 파급효과도 예측할 수 있다. 이 방법론은 조율할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점진적으로 그리고 온라인으로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방법론을 구현한 후 사용했을 때 여섯 프로그램들의 검사 집합에 대하여 다른 조율 대안들의 성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는 실험 검증 결과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