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선 디자인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36초

네오 팝 아트의 특성을 적용한 아트 마스크 융합디자인 -무라카미 다카시의 작품을 중심으로-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Neo-Pop Art to the Convergence Design of the Art Mask -Based on the Works of Takashi Murakami-)

  • 박리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27-232
    • /
    • 2019
  • 본 연구는 메이크업의 창의적 표현 영역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아트 마스크에 네오 팝 아트를 접목하여 새로운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네오 팝의 특성을 분석한 후, 일본의 팝 아티스트인 무라카미 다카시의 작품을 모티브로 각 특성에 따라 총 4작품의 아트 마스크를 제작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네오팝은 아트 마스크의 소재로 활용하기에 충분했다. 둘째, 네오 팝의 특성을 적용한 아트 마스크의 새로운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었다. 셋째, 미술과 메이크업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분야 간의 융합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통한 아트 마스크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본 연구가 아트 마스크 디자인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한국전통색 청$\cdot$홍의 색조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tones on Korean Traditional Color Blue and Red)

  • 이경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317-326
    • /
    • 1999
  • 한국전통색이란 시대를 초월하여 한국민족의 삶속에 살아있는 색이다. 이러한 전통색 중 한국전통색을 대표하는 청·홍의 색조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선시대의 색명과 염직유물의 색조를 조사하였다. 한국전통색 청·홍의 색조를 조사하기 위해여 먼저 조선시대의 문헌을 통하여 출현색명을 조사하였다. 색조를 나타내는 한국말에는 대단히 다양한 형용사가 앞에 붙어 색조를 특징짓는다. 색명에는 여러유형의 형용사들이 앞에 붙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은 농색과 담색을 나타내는 형용사들이다. 이처럼 제한된 색명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조선인들은 다양한 톤의 청색계(32색)와 홍색계(40개)의 색명을 만들어 내었다. 이러한 청·홍색계의 출현율은 대단히 높고, 조선시대의 궁중복식에서도 주조색으로서 사용되었다. 조선인은 다양한 청·홍색계의 배색으로 그들의 음양론에 기초한 색체관과 세련된 미의식을 표현하였다. 박물관에 있는 염직유물들의 색체는 측색되어 먼셀컬러시스템과 ISCC-NBS의 계통색명법에 의해 분류되고, 고찰되었다. 또한 전통색조인 남염과 홍화염이 산업체에서 이용되어지도록, 남염과 홍화염의 염색방법을 계량화하여,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 PDF

라이프케어테인먼트를 위한 예술적 아트마스크 연구 (Research on Artistic Artmask for Lifecaretainment)

  • 윤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69-278
    • /
    • 2019
  • 본 연구는 아브젝시옹 개념의 특성을 모티브로 한 아트마스크를 제작함으로써 아트마스크 디자인 개발에 방향성을 제시하고 사람들의 라이프케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선행연구와 전문서적, 예술작품 등을 중심으로 아브젝트와 아브젝시옹의 개념 정의와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한 아브젝 시옹의 특성은 이상적 미의 기준 해체, 파편화된 신체표현, 병들고 소외된 신체표현, 부패한 시체와 해골로 죽음을 표현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추하고 혐오스러운 아브젝트가 유발하는 매혹적인 아브젝시옹을 디자인적 요소에 접목하여 연구 작품 6점을 제작하였다. 본 작품은 얼굴 형태의 각 부분을 절단과 해체로 파편화 시키고, 그로테스크한 변형을 주어 보는 이로 하여금 아브젝시옹을 느끼게 하였다. 연구 작품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브젝시옹 특성을 응용한 작품은 사람들에게 아브젝시옹을 느끼게 함으로써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상처에 긍정적인 승화작용을 유도하여 정신적인 스트레스 해소와 상처 치유에 도움을 주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둘째, 아브젝시옹 특성을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함으로서 아트마스크 디자인 구상의 범위가 확대되고, 디자인 발상을 새롭게 구축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아브젝시옹 특성을 응용한 모티브를 아트마스크 디자인에 적용한 결과 다양한 오브제 사용으로 창의적인 디자인 표현이 가능하였고, 재료 사용에 다양성을 확보하였다. 향후 이와 같은 연구가 아트마스크 디자인 관련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보며 아트마스크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자발적 행위로의 유저제스처 -사용자의 긍정적 제품변형행위에 관한 제스처를 중심으로- (User Gestures as a Voluntary Action in Products Design - Focused on a Gesture Discovered in User Positive Action to Transform Products)

  • 진선태;우흥룡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95-104
    • /
    • 2004
  • 창조성은 그것을 필요로 하는 디자인주체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중요한 키워드다. 그러나 사용자의 창조적 측면은 지금까지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않거나, 이를 설계에 반영하여 개발하는 응용부분에서 미흡하였다. 오늘날 디자인영역에서 경험과 행위는 주어진 의미로 사용하는 소극적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의미를 만들어 사용하는 적극적 상태로 변화되고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창조적 과정 이 중요시되며, 사용에 대한 창의, 그리고 사물에 대한 창조의 가능성을 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사물에 대한 경험 속에는 이미 제공하거나 만들어진 경험과 동시에 사용자가 만들어 내는 자발적 해석의 경험이 담겨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리서치과정 에서 예측된 가능성 일수도 있으며, 알지 못하는 사용자의 행위 영 역일 수 있다. 사용자의 사물에 대한 창의된 사용과정은 기존 디자인주체에 의해 만들어진 사용성과 기능을 벗어나거나 응용시킨 행위로 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수정되고 만들어진 창조의 결과물들은 사용자에게 빈번히 일어날 개연성 속에서 해석과 연구의 여지가 있는 영역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행위를 유저 제스처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유저 제스처는 사용자의 자발적 행위에 근거한 행위로서 비본연, 비조작 기능이 발견되며, 행위의 결과물인 다양한 변형과 창조가 일어나는 사용자 고유의 행위영역이다. 유저 제스처는 살아있는 사용자의 디자인문화양태를 살펴볼 수 있는 표본가치가 있으며, 유저 제스처에 기인한 접근은 개발설계자에게 새로운 제품 컨셉창출이 용이한 매력적인 접근이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유저 제스처에 대한 에쓰노그래피 관찰기법연구, 사용자 디자인현상에 대한 문화적 연구, 유저 제스처 시나리오에 기반 한 디자인연구 등 후속연구로 지속될 수 있다. 또한 관련연구를 통해 사용자 주도적 커스터마이제이션 제품, 사용자 관여 리사이클링 제품, 창조경험 디자인으로의 디자인 개발적용이 가능하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13-18 청소년용 온라인 커뮤니티 컨텐트 개발 프로젝트' 를 중심으로 엑셀런트 요소 및 퍼포먼스 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참석 관찰의 프레임 워크를 제시하고, 그 결과를 기능적 요소, 감성적 요소로 정리하여 상품개발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품개발에 사용자 조사의 필요성 및 활용도를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통하여 시도해 보았다는 데 있다고 할 수 있겠다.과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한국문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한 정보자료화ㆍ디지털 컨텐츠화 작업은 독창적인 디자인 표현양식과 모티브의 발굴ㆍ정리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디어로 승부하는 작금의 문화경쟁시대를 대비하는 하나의 노력이 될 것이다.>${\ulcorner}$바우하우스의 구성교육${\lrcorner}$ 과 일치하였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origin of the letter

  • PDF

전통주택에 사용된 문양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ditional Motives in Upper-Class Houses of Chosun Dynasty)

  • 최지연;박영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8호
    • /
    • pp.25-3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meanings of the motives shown in the traditional houses.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are review of literature, field survey, and contents analysis. Traditional houses were divided into 3 parts such as architectural elements, interior elements and decoration elements, and total of 163 motives were collected out of it. As a result, it was founded that roof of the architectural element, and doors and windows of the interior elements are shown the most of the motives. Motives were divided into two types, realistic motives and imaginative motives, and both types are shown evenly. Meanings of the motives are classified into 'protection', 'good-luck', 'long-life', 'ideology', and 'decoration', and the motives of meaning of good-luck showed the most variety.

  • PDF

조선시대 양반계층의 주택과 가구의 조형적 연계성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rmative Relation of Yangban's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Furniture in the Chosun Dynasty)

  • 김진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3-11
    • /
    • 2006
  • Our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furniture have developed their unique formative characteristics under the influe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as well as under socio-cultural influence. In order to understand such characteristics of our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furniture, we need to clarif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comparative study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utual relations among Yangban's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ir furniture in the Chosun Dynasty on their formative characteristics, to identif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hapes, materials, colors, patterns and decorations found in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ir furniture, an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buildings and their furniture.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ground for reinterpreting our culture and help to apply Korean culture identity to today's interior and furniture design.

50피트 급 탄소섬유 선체 크루즈 보트의 선형 제안 및 특성 (A Study on Hull Form Characteristics of 50ft-class CFRP Cruise Boat)

  • 오대균;류철호;정우철;이경우;이창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7-209
    • /
    • 2012
  • 해양레저 활동의 범위가 점차 원거리 항해로 확대되면서 거주가 가능한 크루즈보트가 각광받고 있다. 해양레저산업 선진국인 유럽, 북미의 경우 미려한 디자인, 인간공학적 구조 그리고 경량선체 소재 채택을 통한 연료효율 향상 등 크루즈보트의 설계와 제작에 있어 이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국내의 경우 소형 레저보트 중심의 개발, 건조가 이뤄지고 있으며, 선체소재 또한 유리섬유강화복합소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양항해가 가능한 50피트급 탄소섬유강화복합재료(CFRP) 선체 크루즈보트의 선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FRP 선체 레저보트의 선형특성을 분석하여 설계선의 선형을 제안하였으며, 조선공학적 검토를 통해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조선조 영건의궤를 통한 수장재 용어에 관한 연구 - 궁궐건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inishing Material terms analyzed the Building Specifications in Chosun Dynasty - limit the palace construction work -)

  • 홍석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2-19
    • /
    • 2005
  • After an important construction work in Chosun dynasty, the appropriate government made out the building specification as it called 營建儀軌. They are recorded about variety matters as the appointed days, various official documents, managers and craftsmen, etc.. Sometimes we can see the attached pictures about some building or furniture. specifications in Chosun dynasty about the unit of materials and history of each term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1) The interior materials are classified to several units such as Gai(箇;the unit of square lumber or log), Rip(立;the unit of plates), Boo(部;the unit of assembled materials), etc.. (2) The terms are defined and enlightened how to use and how to change. Particularly, the terms are different positively in constituent units of wooden floor. So, it is expected to continuant study.

한국 전통주택의 실내 배색 및 색조 특성에 관한 연구 -조선후기의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Interior Color combination and Tone in Korean Traditional Houses -Focused on Upper Class Houses of the Late Chosun Dynasty-)

  • 신인호;박영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호
    • /
    • pp.91-9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lor combination characteristic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tones in interior environments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The results of the interior color combination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contrast was the most dominant in architectural elements color. In the furniture, graduation, contrast and analogous harmony were mainly used. Single color harmony, analogous harmony, complementary harmony were the dominant color combination characteristics in interior accesories. Color tones of architectural elements were dull and light(pale, light grayish, light grayish) and color tones of furniture were dark and dull(dull, dark, dark grayish). However, interior accessories of an-bang show wide range of color tones raging vivid to dark tone, while sarang-bang accessories have tendency to soft, gray and dull tones. Therefore, the color tones of an-bang and sarang-bang elements show clear differences.

  • PDF

조선후기 상류주택 실내색채의 상징적 의미와 색채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mbolic Meaning of Interior Color and It's Hamony at the Late Chosun Dynasty's Upper Class Houses)

  • 박효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호
    • /
    • pp.78-8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ymbolic meaning of interior color a the chosun dynasty's upper class houses, and to review it from a point of view of the Western coloring harmony theory. from this study, the Oriental philosophy, the ideas of Confucianism, and the ethnic traits influenced the interior color of the Chosun Dynasty's upper class houses like an-bang or sarang-ba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in color, auxiliary color, accent color were harmonized with similar harmony by hue and with contrast harmony by value and chroma. Therefore, interior color image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should be applied to the various design field as well as modern interior desigv.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