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선관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25초

교서관의 서적인쇄에 대한 소고 - 정조조를 중심으로

  • 현영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241-257
    • /
    • 1984
  • 우리나라의 인쇄문화를 꽃피웠던 조선조에 있어서 교서관은 전기 및 후기 즉 전대를 통하여 서적의 인출을 관장하던 기관으로 조선조 문화창달의 산실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어서 인출된 서적에 관한 연구는 즉 조선조의 관판에 대한 분석의 일환으로서 이를 통해 당시의 시대 사상 및 문화의 특징을 알수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교서관 자체의 변천 과정 및 그 기능과 함께 조선왕조 후기에 있어서 가장 문운이 진작되었던 정조조을 중심으로 당시 교서관을 통해 간행되었던 서적들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 PDF

유구치 인접면 우식증 수복 시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기성금속관의 생존율 비교 평가: 후향적 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Survival Rates of Zirconia Crown and Stainless Steel Crown for Proximal Caries in Primary Molars: a Retrospective Study)

  • 정가희;이난영;신혜원;박수현;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07-317
    • /
    • 2023
  • 심미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유구치 수복을 위한 지르코니아 전장관은 더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지르코니아 전장관으로 수복한 치아를 장기간 추적 관찰하거나 다른 재료와 비교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인접면 우식증에 대한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기성금속관의 36개월 동안의 생존율을 비교하여 평가하고, 각 기성관의 수복 실패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와 두 개의 개인 치과의원에 내원하여 두 기성관으로 수복 치료를 받은 498명 환자에 대한 1,061개의 유구치에 대한 전자의무기록지와 방사선 사진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생존분석 결과, 기성금속관으로 수복한 치아의 생존율이 지르코니아 전장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치수 치료 시행 여부를 나눠 생존 분석을 시행한 결과, 치수 치료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 기성금속관의 생존율이 지르코니아 전장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치수 치료를 시행한 경우에는 두 기성관의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성금속관의 주된 수복실패 원인은 비정상적 치근 흡수 또는 치근단 투과상 병소의 발생이었고, 지르코니아 전장관의 경우 수복물의 탈락이었다. 이 연구는 임상가들에게 구치부 기성관 재료 선택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디지털 라이프 2004- e스포츠관, IT기업관, e러닝관 테마 전시

  • 신승철
    • 디지털콘텐츠
    • /
    • 9호통권136호
    • /
    • pp.72-74
    • /
    • 2004
  • 조선일보사, 디지틀조선일보, 교육인적자원부, 미디어라이브인터내셔널이 주최한‘디지털 라이프 2004(Digital Life 2004)’가 지난달 19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기존‘컴덱스 코리아 2004’에서‘디지털 라이프 2004’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펼쳐진 이번 행사는 IT기업관, e러닝 특별관, eSports관-서울게임쇼 등 세가지 테마로 구성됐으며, 예년과 달리 비즈니스데이와 퍼블릭데이로 각각 이틀씩 나눠 진행돼 일반인들도 가까이 다가설 수 있었다.

  • PDF

<한림별곡(翰林別曲)>의 창작(創作) 배경(背景)과 조선시대(朝鮮時代) <한림별곡(翰林別曲)>의 유행(流行) (Epidemic form of creative background and Joseon Dynasty of Hanlim another song)

  • 권혁명
    • 동양고전연구
    • /
    • 제57호
    • /
    • pp.437-466
    • /
    • 2014
  • 본고는 <한림별곡(翰林別曲)>이 조선시대에 유행한 사실을 초점으로 하여 조선시대 <한림별곡>의 유행 배경으로서 고려시대 <한림별곡>의 창작상황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조선시대 유행한 <한림별곡>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2장에서는 조선시대 <한림별곡>의 유행 배경으로서 <한림별곡>의 창작 상황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한림별곡>은 관계중심의 '좌주문생연'이 아니라 소속 집단이 강조된 '한림연'에서 창작되었다고 할 수 있었다. 그런 까닭에, 조선 초기 좌주문생관계가 무너지고 '긍호방탕(矜豪放蕩)'하다는 평가를 받은 <한림별곡>이 '한림연'을 계승한 예문관의 '면신연'을 통해서 조선후기까지 유행할 수 있었던 것이다. 3장에서는 2장을 토대로 조선시대 <한림별곡>의 유행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고는 기존 연구 성과를 수용하되, 2장과의 유기적인 맥락 하에서 살펴보았다. 즉, 조선시대 <한림별곡>의 유행은 두 가지 양상을 띠는데, 하나는 군주나 국가적 문제와 관련하여 예문관(藝文館), 사관(四館)의 공식적 자리에서 유행하였고, 다른 하나는 <한림별곡>이 예문관의 면신연과 결합하자 전자보다 사적인 성격을 띤 공간에서 가창되었다는 것이다. 예문관의 면신연과 결합한 <한림별곡>은 조선 전기 허참례 면신례의 성행과 비례하여 유행하였고, 면신연을 금지하는 구체적인 절목이 만들어진 중종 36년부터는 점점 위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한림별곡>은 예문관(藝文館)이나 사관(四館)에서의 가창은 약화되고 일반 사대부나 지방 관리의 주연(酒筵) 공간, 기방(妓房) 등을 중심으로 유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후기 <한림별곡>의 유행은 김만중의 시를 통해서 볼 때 17세기 후반까지 확인된다.

초기설계 및 선박 유체 성능 해석 시스템

  • 이동곤;공도식;강국진;김연규;서성부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4-17
    • /
    • 1993
  • 본 연구는 CSDP-초기설계 시스템 개발'3' 세부과제로 수행되었으며 선박의 기본 성능 및 사양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제반 기본 계산을 수행하고 설계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대화식 초기 설계 전산 시스템의 개발에 그 목적이 있으며, 크게 개념설계 분야와 선형 설계분야로 나누어 개발 되어왔다.(Fig. 4.1 참조). 이번 4차년도에는, 프로그램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잇도록 하기 위하여 개년설계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위 모듈들을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독립성을 유지 함과 동시에, 시스템 차원의 상위 레벨에서 각각의 모듈들을 통합 제어하는 수퍼어플리케이션 개념을 이용한 유연화된 대화형 개념설계 프로그램(BASCON-3)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선박의 주기관 선정과 관련한 경험적 지식을 도출하여 지식베이스를 구성하고, 주기관 데이터베이스 및 저항.추진성능 추정 모듈들과의 통합을 통한 시험형의 주기관 선정 지원 시스템(ME-ASSIST )을 개발하였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채택한 확장형 선형 정의 및 변환 프 로그램(MBASTRANS)을 개발하였다. 형상 모델러인 ACIS를 도입하여, 조선 분야에의 활용 가 능성을 연구하였고, 조선소에 GUI개발 기술과 시스템 통합 기술을 이전하였다.

  • PDF

역사속 과학인물 - 지구설 옹호하다 26세로 요절한 과학자 조선조 남극관(1689~1714년)

  • 박성래
    • 과학과기술
    • /
    • 제35권8호통권399호
    • /
    • pp.40-42
    • /
    • 2002
  • 조선조에 지구설을 옹호하다 26세로 요절한 청년 과학자 남극관은 '동창이 밝았느냐...'라는 유명한 시조를 남긴 남구만의 손자이다. 그는 자신이 쓴 글모임 "몽예집"에서 지구를 공중에 매단 달걀에 비유하면서 당시 지구설을 반대하던 많은 학자들을 비판한 청년과학자였다.

  • PDF

아동관을 통해 본 아동복 변화에 관한 연구 - 조선후기부터 현재까지 -

  • 강순제;이선민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18
    • /
    • 2003
  • 본 연구는 조선후기부터 현재까지의 아동복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있어서 시대에 따른 사회적 배경과 함께 아동의 사회적 위치를 그 당시 교육과 양육을 통하여 살펴보고, 각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아동관을 당시의 아동복과 관련지어 특성과 의미를 분석 한 것이다. 연구자가 아동관을 아동복의 변화와 관련짓게 된 이유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아동의 사회적 위치와 아동에 대한 관심의 정도가 변하였고, 이는 곧 아동복의 변천과정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 PDF

첨단 기자재 및 관련기술

  • 김영주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5-46
    • /
    • 2004
  • 조선기자재산업은 선박에 탑재되는 주기관을 포함한 450∼500종의 제품을 공급하는 산업이며, 신조선박의 건조비 가운데 60∼70% 이상을 차지하는 여러 가지 산업(기계, 금속, 전기, 전자, 화학, IT 등)이 관련되는 복합 산업이라 할 수 있다. 조선기자재는 기관시스템, 선체시스템 및 전기시스템으로 분류하며, 부문별 품목의 분류는 표1.1에 보이는 바와 같으며, 각각의 부품의 특성은 아래와 같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