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석현상

Search Result 19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Prediction of the Water Level of the Tidal River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Stationary Wavelets Transform (인공신경망과 정상 웨이블렛 변환을 활용한 감조하천 수위 예측)

  • Lee, Jeongha;Hwang, Seo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57-357
    • /
    • 2021
  • 홍수로 인한 침수피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확한 하천의 수위 예측과 리드타임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조석현상의 영향을 받는 감조하천의 경우 기존의 물리적 수문모형의 적용이 제한되어 하천수위 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감조하천 수위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조석현상을 분리하고 인공신경망을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제안 하였으며 다중 선형회귀분석과 비교 분석하였다. 감조하천에 위치한 교량의 수위데이터에서 Stationary Wavelet Transform으로 조석현상을 분리하였으며, 이외의 수위에 영향을 주는 time series data와 인공신경망(ANN)을 활용하여 1시간, 2시간, 3시간 후의 수위를 예측하였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96%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다중 선형회귀 분석과 비교하여도 높은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 PDF

Analysis of Tidal Phenomena in chunnam the Naju Lake and Youngsan River (전남 나주호와 영산강 지류에 나타나는 조석현상의 분석)

  • Cho, Ju-Whan;Im, Kwang-Heuy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1 no.2
    • /
    • pp.168-173
    • /
    • 2000
  •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ides in the Naju Lake and Youngsan River, we measured the water level at the Naju Lake for one month (from 30 Dec. 1997 to 27 Jan. 1998) and at several points along the Youngsan River. We found that there are predominant waves with periods of semidiurnal and diurnal tides. The amplitudes of M$_2$, S$_2$, O$_1$ and K$_1$ calculated by harmonic analysis are 0.56, 0.39, 0.48,0.43mm, respectively. The tidal ranges along the Youngsan River, which are almost coincident with the tidal variation of Mokpo, are from 4mm to 18mm depending upon the locations and the direction and that of six-hours period in the north-south direction.

  • PDF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의 감조구간과 도회의 발달

  • 범선규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60-64
    • /
    • 2003
  • 한반도의 서해안선은 그 길이가 4,000여km에 달하는데, 굴곡이 매우 심하다. 반도 서부의 직선거리는 600여km에 그친다. 드나듦이 큰 해안선은 간석지의 발달뿐만 아니라 서해의 조석현상의 특성에도 영향을 준다. 조석은 해파(wave)의 일종으로 12시간 이상의 주기를 가졌다. 이것의 파장은 수천km이고, 파고는 10m를 넘을 때도 있다. 조석은 서해로 유입하는 하천의 하류구간에 직접 영향을 주었다. (중략)

  • PDF

인천만 조석의 실시간 예보체계

  • 최병호;이호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08a
    • /
    • pp.10-15
    • /
    • 1992
  • 세계적으로 큰 조석현상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인천만은 조력발전계획, 대규모 항만 및 간척사업등이 활발한 반면에 조석물리를 포함한 연안해양학적인 연구는 비로소 시작하는 단계에 있다. 강조류환경에서의 관측활동의 어려움과 군사작전 해역에서의 해양조사활동의 제약이 복합적인 요인으로서 이 해역의 기초자료과정에 장애가 되어왔다.(중략)

  • PDF

Earth Rotation and Earth Tide: Review (지구자전과 지구조석 연구소개)

  • Sung-Ho Na;Yu Yi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6 no.4
    • /
    • pp.238-267
    • /
    • 2023
  • Studies on Earth's rotation and tide since the 19th century are briefly summarized. The theories of precession, nutation, polar motion, and periodic/secular changes in the rate of rotation are described individually. In addition, a brief review of the Milankovitch theory - the hypothe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s spin/orbital rotational state and the ice ages - is given. Finally, Earth's tides and their theoretical models are briefly explained. Some detailed technical content is summarized in the appendices.

동해의 $M_2$ 조석 무조점 체계에 대한 기조력의 영향

  • 이종찬;정경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140-146
    • /
    • 1996
  • 동해는 Korea Strait, Tsugaru Strait Soya Strait, Mamiya Strait의 좁은 해협으로 동중국해의 북동해역, 태평양 및 Okhotsk 해로 연결되나, 해협부의 폭과 수심이 작아 폐쇄된 해역으로 볼 수 있다. 동해에 대한 조석현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Ogura(1933)와 Nishida(1980)의 한국 주변해역(동아시아)에 대한 경험적인 조석도를 참고할 수 있으며, Odamaki(1989a)는 대한해협에서의 자료를 재편집하여 개선된 조석도를 제시하였다. (중략)

  • PDF

Investigation of Mental Models about Tide for Scientifically Talented Middle School Students by Analyzing Facet of Conceptual Types by Context (상황에 따른 개념 유형의 국면 분석을 통한 중학교 과학 영재아들의 조석에 관한 정신모형 탐색)

  • Lee, Gi-Ye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254-26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영재아들이 가지고 있는 조석에 관한 정신모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상황에 따른 개념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들을 구성하는 국면들을 분석하였다. 조석 현상에 관해 두 가지 상황으로 구성된 과제 수행을 실시한 후 그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상당수의 학생들이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개념 유형을 나타내었다. 상황에 따른 개념 유형들을 구성하고 있는 국면을 분석한 결과, 각 유형들은 내용-일반적 국면을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었으나, 내용-특정적 국면과 전략적 국면에서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두 가지 상황에서 나타나는 개념 유형들과 이들 유형을 구성하는 국면들을 조합하여 학생들의 정신모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4가지 모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1) Tide model (2) Force model (3) Phase model (4) Hybrid model. Tide model은 과학적으로 옳은 모형이며, Force model과 Phase model은 옳지 않은 모형이며, Hybrid model은 혼합 모형으로 상황에 따라 나타나는 개념 유형이 서로 부합되지 않는 모형이다. 중학교 과학 영재아들이 조석 현상에 대해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모형은 Tide model(45.0%)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Hybrid model(30.0%), Force model(12.5%), Phase model(7.5%)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서해중부 연안의 계절별 조류특성

  • Kim, Jong-Hun;Yu, Ha-Sang;Kim, Gyeong-Su;Kim, Seok-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63-65
    • /
    • 2018
  • 조류는 조석현상에 따라 해수가 이동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흐름으로 유향, 유속이 주기적으로 변하며, 일반적으로 반일의 주기를 가지고 있으나 장소에 따라 약 하루의 주기로 유동하는 곳도 있다. 조류에 의한 해수의 이동은 대량의 열량과 수량을 운반 할 뿐만 아니라 그 속에 함유된 각종 성분 및 기타 여러 가지 부유물을 운반함으로써 각종 성분의 분포, 어류의 회유, 번식 등에 관계가 있으며 어류생활에 직접, 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유동의 흐름이 활발한 서해 중부 연안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별 조류특성을 파악하였다.

  • PDF

Numerical Modeling of Ebb-Dominant Tidal Flow in the Mokpo Coastal Zone (목포해역 낙조류 우세현상의 수치모의)

  • Jung, Tae-Sung;Choi, Jong-Hw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2 no.5
    • /
    • pp.333-343
    • /
    • 2010
  • In Mokpo coastal zone, the characteristics showing ebb-dominant tidal flow was confirmed by analysis of observed tide and tidal currents, Physical factors occurring ebb-dominant flow were reviewed. Influence of critical depth for drying, bottom shear stress, coastal reclamation, tidal amplitude, nonlinear tide, and eddy viscosity on the change of ebb-dominant flow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a two-dimensional circulation model. The simulation results for a variety of conditions showed that eddy viscosity and critical depth for drying does little or no impact on the generation of asymmetric flow. Strong bottom friction stress makes ebb-dominant flow clearly. Change of tidal flat into land swells ebb- dominant flow, and change of tidal flat into sea disappears ebb-dominant flow. Nonlinear tides play a decisive role in the generation of asymmetrical tidal flow. Non-linear tides should be included in the open boundary conditions of hydrodynamic modeling in the Mokpo coastal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