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조석체계변화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3초

광양만 개발 전·후 조류 및 하천유출류 변동 특성 (Tidal current and river plum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Kwangyang Bay)

  • 김차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02-102
    • /
    • 2021
  • 광양만의 해수교환은 주로 여수해만을 통해 이루어지고, 만의 동측에는 노량수로를 통해 진주만으로의 해수교환이 일어나고 있으며, 만의 북측에는 섬진강을 끼고 있다. 광양항 건설 전 만내의 수심은 약 10 m 이내로 얕았으며, 만의 입구인 여수해만과 노량수로에서의 수심은 약 20 m 이상이었다. 광양만은 1982년 광양제철소의 건설을 시점으로 하여 광양항의 확장 개발, 폐기물처리장 건설 등으로 인한 매립이 진행되었다. 특히, 섬진강 하구는 광양만 개발 전에는 넓은 조간대 퇴적층의 발달로 다양한 생태계환경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광양항 건설 및 하구에서 모래 준설 등으로 인해 근래에 와서는 해수의 역류가 심각한 상태이다. 1982년 광양제철소 건설이후 계속적으로 광양만을 개발함으로써 해양환경에 큰 변화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양만 개발 전·후의 조석 및 해수유동의 변화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조석 및 조류에 대한 현장관측과 3차원 해수유동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한 후 남해도를 둘러싸고 있는 광양만, 진주만 등의 조석 및 조류의 변동특성을 해석하였다. 광양만 개발 전·후의 해수유동의 변동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김 등(1999)에 의해 개발된 3차원 layer·level 혼성 해수유동 모델을 광양만, 진주만을 포함하는 남해도 주변해역에 적용하여 30일간의 수치계산결과를 이용하여 해수유동의 변동특성을 해석하였다. 모델에서 격자간격은 동서-남북방향 동일하게 200 m, 시간간격은 20 sec, 계산영역은 동서방향으로 52 km, 남북방향으로 65 km인 260×325 격자체계로 구성 운영하였다. 외해 개방경계에서 조위는 수로국에서 관측한 조위와 본 연구에서 관측한 조위를 보간하여 사용하였다. 광양만 개발전·후의 조류의 변동특성을 수치해석한 결과 여수해만에서는 광만만 개발전이 개발 후보다 유속이 강하게 나타났으나, 노량수로에서는 개발 후가 개발전보다 유속이 훨씬 강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광양만 개발로 광양만으로 유입되는 조량이 감소함으로 인해 여수해만에서는 유속이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노량수로에서 개발 후가 개발전보다 유속이 증가한 것은 여수해만을 통해 유입한 해수가 개발 후에는 광양만의 해수면적 감소로 광양만의 서측으로 유입하는 조량이 감소한 반면에 광양만의 북측(섬진강 하구) 또는 동측(노량수로)으로 유입하는 조량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필리핀을 위한 조석 데이터베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Tidal Database for the Philippines)

  • 박응현;안세진;심문보;전혜연;강호윤;김대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8-168
    • /
    • 2019
  • 국립해양조사원은 '15년부터 '18년 까지 제1단계 개발도상국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기반의 '필리핀 해양수산 인프라시설 구축 및 기술연수' 연구 사업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20년부터 제2단계 필리핀 공적개발원조 연구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최근 필리핀은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및 연안 침식 등의 문제로 인하여 해양영토 관리와 대응역량 강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2단계 필리핀 공적개발원조 연구 사업을 추진함에 앞서, 우리나라 해양수직기준면 모델에 대하여 분석하고 지난 4년간의 필리핀 공적개발원조(ODA) 연구 사업을 기반으로 구축된 인프라와 해양자료를 기반으로 필리핀의 해양수직기준면 체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필리핀의 Sulu Sea 해역을 연구 구역으로 선정하여 총 22개의 조위관측소 정점에 대하여 조석 조화분해를 실시하고 개정수 분석 및 필리핀 조석격자망(모델) 구축을 위한 시범제작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조석특성이 유사한 해역을 기준으로 두 정점간의 개정수를 적용하여 예측과 실측조위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조위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제2단계 공적개발원조 연구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한-필리핀 국가 간의 우호증진 및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및 유지에 사용될 것이다.

금강하구역의 수동역학적 변수 (2) -수치실험을 중심으로- (Hydrodynamic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2) - By Numerical Model Tests -)

  • 서승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26
    • /
    • 1998
  • 금강하구에서 대규모 공사의 영향으로 인한 수동역학적 변화를 해석하기 위하여, 2차원 유한요소 수동역학모형을 적용하었다. 수치모형을 조석과 조류번화 해석에 적용한 결과 금강하구둑의 수문이 열렸을 때와 eke혔을 때는 조석체계가 급격히 변화되어 M$_2$, 분조가 각각 군산내항에서 17 cm 및 6 cm 확폭되고, 군산외항에서는 5 cm 및 3 cm 확폭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차별 단계별로 진척되는 공사로 인한 조류와 해저 퇴적성향의 변화결과는 도류제 축조로 조류속이 증가되는 것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금강하구역의 동적평형을 이루는 해저마찰응력은 0.4N/$m^2$로 분석되었다. 일대해역의 퇴적율 R은 최대마찰응력(equation omitted)와 상관이 있으며 R=-0.37-0.40 ln $\tau$의 관계로 설명된다.

  • PDF

천문조, 배조 및 복합조 특성을 이용한 경기만 한강하구 구역별 조석체계 분류 (The Regional Classification of Tidal Regime using Characteristics of Astronomical Tides, Overtides and Compound Tides in the Han River Estuary, Gyeonggi Bay)

  • 윤병일;우승범;김종욱;송진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149-158
    • /
    • 2015
  • 경기만 한강하구에서 주요 수로의 조석 전파 특성을 이용하여, 천문조, 배조 및 복합조의 분포를 파악하고, 조석 형태수의 특징에 따라 구역별 조석체계 (tidal regime)를 분류하였다. 주요 수로에서 보이는 조석 전파 특성은 외해는 천문조로 대표되는 5대분조 (e.g., $M_2$, $S_2$, $N_2$, $K_1$$O_1$)가 지배적이지만, 상류로 진입할수록 천해 분조 (e.g., $M_4$)와 장주기 분조 (e.g., $MS_f$)의 뚜렷한 증가가 보인다. 반일주조 성분이 우세한 경기만 및 한강하구에서 천문조, 배조 및 복합조를 이용하여 제시된 조석 형태수 (tidal form number)의 특성에 따라 크게 3구역으로 분류하였다. 1구역은 천문조가 우세한 지역으로 외해에서 인천항 전면까지 (염하수로), 외해에서 석모수로의 북쪽 입구로 제시된다. 2구역은 염하수로 남쪽 입구에서 북쪽 입구까지와 강화 북수로 지역으로 단주기 천해 분조 (e.g., $M_4$$MS_4$)가 강하게 나타나는 지역이다. 마지막으로 3구역은 신곡 수중보 이후부터 한강 상류지역으로 장주기 복합조 (e.g., $MS_f$)가 제일 우세한 지역이다. 일반적인 하구와 마찬가지로 한강하구의 조석 비선형성은 지형적 특성에 기인한 천해 분조가 증가를 하며, 1/4일주기 (fourth-diurnal) 및 장주기 (long-term period) 분조의 확연한 분포 차이를 보인다. 특히, 수중보의 영향은 구조물의 상류와 하류지점의 조석체계에 지대한 변화를 일으킨다.

동지나해(東支那海)의 순환(循環) 및 유류확산(油類擴散)모델 (Circulation and Oil Spill Movement Models of the East China Sea)

  • 최병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01-111
    • /
    • 1985
  • 황해(黃海)와 동지나해(東支那海)의 조석(潮汐) 및 해일(海溢)을 추정(推定)하기 위한 체계수립(體系樹立)의 초기연구과정(初期硏究課程)이 서술(敍述)되었다. 제시(提示)된 체계(體系)는 일기도(日氣圖)의 기압자료(氣壓資料)로부터 기상외력입력자료(氣象外力入力資料)를 작성(作成)하여 해양(海洋)모델에 의하여 해수위변화(海水位變化)와 해류(海流)를 산정(算定)하는 기법(技法)이 골격(骨格)을 이룬다. 이 초기체계(初期體系)에 의해 산정(算定)된 유황(流況)을 이용(利用)하여 오염물질(汚染物質)의 이동확산(移動擴散)을 추정(推定)하는 과정(過程)도 간단(簡單)히 서술(敍述)되었으며 인천만(仁川灣)의 유류확산(油類擴散) 및 이동추정(移動推定)의 초기결과(初期結果)가 제시(提示)되었으며 또한 토의(討議)되었다. 제시(提示)된 체계(體系)의 추후개선(追後改善)을 위한 토의(討議)도 수록(收錄)되었다.

  • PDF

경기만남부해역(京畿灣南部海域)의 M2 조석영향(潮汐影響) (M2 Tidal Effects in Southern Part of Kyonggi Bay)

  • 최병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97-107
    • /
    • 1983
  • 비선형(非線型) 2차원조석(次元潮汐)모델의 경기만남부해역(京畿灣南部海域)에의 적용(適用)이 서술(敍述)되었다. 모델을 이용(利用)하여 만체계(灣體系)의 조류유동현상(潮流流動現像), 해저마찰력(海底摩擦力) 및 에너지소산(消散)에 대(對)한 초기평가(初期評價)를 할 수 있었다. 또한 모델에 의(依)한 수치실험(數値實驗)을 통(通)해 아산만접근수로(牙山灣接近水路)를 준설(浚渫)할 경우(境遇) 주태음반일주조(主太陰半日週潮)($M_2$)의 영향(影響) 및 해면(海面)에 작용(作用)하는 $10dyne/cm^2$의 균일정상풍(均一定常風)에 의(依)한 유동현상(流動現像)의 변화(變化)를 평가(評價)하였다. 초기결과(初期結果)들이 제시(提示)되었으며 토의(討議)되었다.

  • PDF

공간정보를 이용한 광안리 해안선 변화에 관한 연구 (The Coastline Change on Gwangalli Using Spatial Information)

  • 최철웅;오치영;이창헌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9
    • /
    • 2009
  • 광안리 해수욕장은 해운대 해수욕장과 더불어 부산을 대표하는 해수욕장 중 하나로 2003년 광안대로 완공 이후 관광객이 꾸준히 늘어 2006년에는 1,0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관광명소이다. 관할구청에서는 광안리 해수욕장 관리를 위해 해마다 양빈사업과 자갈제거 작업을 수행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침식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60년간 항공사진, 조석자료, GPS측량자료를 이용하여 광안리 해수욕장의 해안선의 변화를 분석하고, 광안리 해상에 건설된 광안대교가 해안선변화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지난 60년간 광안리 해변의 면적은 40% 증가하였으며, 광안대교가 해안선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Oregon 하구에 위치한 방사제 주위에서의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해석 (Analysis of Shoreline Changes from Aerial Photographs at Oregon Inlet Terminal Groin)

  • Hwang, Kyu-Nam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5-164
    • /
    • 1997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Pea 섬 북단에 위치한 해안선의 시간적 공간적 변화를 연구/조사하기 위하여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현장관측이 시작되었다. Pea 섬의 북단 끝에 위치한 US 해안 경비대로부터 남단으로 6 mile에 걸친 해안선이 2달에 한번씩 항공 촬영되었다. 촬영된 항공사진은 해안선 위치 자료를 도출하기 위해 디지털처리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해빈상에 보이는 wet-dry line이 해안선 위치 식별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해빈상의 wet-dry line은 정확한 해안선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항공사진을 촬영하는 그 시점에서의 도파고조와 조위의 변화로 인한 오차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초기에 디지털 처리 된 해안선 위치 자료로부터 조석과 도파에 의한 영향을 삭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FRF 잔교 끝에서 관측된 조석자료와 4 km 떨어진 심해에 설치된 파랑 계측기에서 관측된 심해파랑 자료를 사용하여, 항공사진이 촬영된 시점에서의 해빈에서의 도파고와 조위가 평가되었다. Hunt(1957)의 도파고 산정공식이 주어진 심해파랑에 대한 해빈상에서의 도파고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도파와 조석에 따른 오차에 대해 수정된 해안선 위치 자료를 사용하여 현장관측 지역에서의 해안선 이동의 지역적인 차이와 시간에 따른 변화 정도를 조사함으로써 해안선의 공간적 시간적 변위가 분석되었다. 1-mile 평균을 취한 해안선의 6년치 자료 분석 결과는 Pea 섬에서는 여름에는 해안선이 전진하고 겨울에는 후퇴하는 상당히 큰 계절적 변화가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 주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수정이 안된 해안선 위치자료 사용시 파악하기 어려운 결과였다. 도파와 조석의 영향을 무시한 항공사진으로 부터의 해안선 위치결정은 공간적 시간적 해안선 변화양상의 해석시 큰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 PDF

해안지역 산업단지조성 따른 해양 부유물질 거동에 관한 연구 (Behavior of Suspended Solids for the Development of Coastal Industrial Complex)

  • 김기담;이중우;이학승;강석진;전민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89-497
    • /
    • 2008
  • 정부는 지역제조산업 육성을 목적으로 기존 부지를 개선 확장하거나 해안지역 매립을 통하여 신설하는 방향으로 산업단지조성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환경적인 특성의 관점에서 해안지역매립으로 인한 영향의 분석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도 임해지역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따른 영향을 인근 해역의 해양물리적 특성, 퇴적 및 확산 체계 변화, 해양환경 변화 등의 현상을 현장관측조사 및 수치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적용대상역은 울산광역시의 온산국가산업단지 인근의 해안선경계역이다. 검증을 위해 조석, 조류 및 퇴적에 관한 기존의 관측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일부 특정지점에서는 현장관측도 수행하였다. 검증한 모델로 실제대상해역에 적용하고 장래변화를 분석하였다.

동지나해(東支那海)의 SEASAT 위성(衛星) 고도계(高度計) 자료분석(資料分析) (An Analysis of SEASAT Altimeter Measurements over the East China Sea)

  • 최병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85-93
    • /
    • 1985
  • 1978년(年) NOAA/NASA의 SEASAT 위성(衛星) 고도계자료(高度計資料)를 이용(利用)한 동지나해(東支那海)의 해면변위(海面變位)를 연구(硏究)하기 위한 초기노력(初期努力)이 서술(敍述)되었다. SEASAT 운용기간중(運用期間中)의 동지나해(東支那海)의 두 태풍통과시기(颱風通過時期)를 선택(選擇)하여 공간적(空間的), 시간적(時間的) 변화도(變化度)가 큰 천해조석(淺海潮汐), 해일(海溢) 및 지구조석(地球潮汐)에 대한 고도계(高度計) 자료경정(資料更正)을 하였는 바 일련(一連)의 작업(作業)을 일관(一貫)된 고도계처리체계(高度計處理體系)를 수립(樹立)하여 수행(遂行)하였다. 초기결과I(初期結果)들이 제시(提示)되었으며 추후(追後)의 연구(硏究)에 대한 토의(討議)를 하였다. 본(本) 연구(硏究)는 추후(追後) 이용가능(利用可能)한 해양위성(梅洋衛星)의 고도계자료(高度計資料)를 철저(徹底)하게 이용(利用)하여 동지나해(東支那海)의 국지해양학적(局地海洋學的)인 특성(特性)을 규명(糾明)하기 위한 첫 시도(試圖)로서 수행(遂行)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