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명성능

Search Result 1,09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omparative Study on Illumination Compensation Performance of Retinex model and Illumination-Reflectance model (레티넥스 모델과 조명-반사율 모델의 조명 보상 성능 비교 연구)

  • Chung, Jin-Yun;Yang, Hyun-Seu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3 no.11
    • /
    • pp.936-941
    • /
    • 2006
  • To apply object recognition techniques to real environment, illumination compensation method should be developed. As effective illumination compensation model, we focused our attention on Retinex model and illumination-Reflectance model, implemented them, and experimented on their performance. We implemented Retinex model with Single Scale Retinex, Multi-Scale Retinex, and Retinex Neural Network and Multi-Scale Retinex Neural Network, neural network model of Retinex model. Also, we implemented illumination-Reflectance model with reflectance image calculation by calculating an illumination image by low frequency filtering in frequency domain of Discrete Cosine Transform and Wavelet Transform, and Gaussian blurring. We compare their illumination compensation performance to facial images under nine illumination directions. We also compare their performance after post processing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s a result, illumination Reflectance model showed better performance and their overall performance was improved when illumination compensated images were post processed by PCA.

Development of Test Method for Performance Appraisal of Optical Guidance for Various Road Lighting System (각종 도로조명 방식에 따른 선형유도 성능 평가 시험법 개발)

  • Seok, Dae-Il;Lee, Mi-Ae;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5-178
    • /
    • 2009
  • 도로조명에서 선형유도는 교통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질적인 요소이며 도로 주행 시 운전자에게 전방의 도로 형태를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 중에 있는 낮은 조명 방식과 가로등 조명 방식에서 선형유도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법을 고안하였다. 이 후 20대와 60대의 피험자를 선발하여 평가 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 PDF

LED Optical Design for Asymmetrical Light Distribution Realization (비대칭 배광 구현을 위한 LED 광학계 설계)

  • Lee, Min-Wook;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0a
    • /
    • pp.27-30
    • /
    • 2009
  •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기구는 용도에 맞는 적합한 배광을 가져야 한다. 도로조명기구의 경우 기능적인 측면에서 보다 세밀한 배광제어를 필요로 하며, 비대칭 형태의 배광을 갖는다. 도로조명의 배광을 달성하는 렌즈와 비대칭 배광을 구현하기 위한 렌즈를 설계하고 반사판이 포함된 형태의 광학계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형상 및 사이즈 측면이 고려되었으며 설계된 렌즈 및 광학계는 광학성능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A Face Recognition System Robust to Variations in Lighting (조명변화에 강인한 얼굴인식 시스템)

  • 이은주;김진철;박성미;이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261-264
    • /
    • 2003
  • 얼굴인식은 동일 사람의 얼굴이라도 조명변화나 얼굴 표정변화에 따라 매우 다른 영상들로 나타나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조명변화에도 강인하고 얼굴영상에 대해 높은 얼굴 인식률을 얻기 위해 2D-HMM(Hidden Markov Model) 얼굴인식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조명변화에 대해서 조명변화 함수인 $\delta$(delta) 함수를 0, 40, 60, 80으로 변화해 가면서 이미지 보정을 실험하였으며, 계산의 복잡성을 줄이고 얼굴영상에 대한 높은 인식률을 얻기 위해 기존의 픽셀값 대신에 2D-DCT 계수를 관측벡터로 사용하였다.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정량적 평가방법은 FAR(False Accpt Rate)와 FRR(False Reject Rate)를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기존의 얼굴인식 방법인 PCA, 1차원 HMM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2D-HMM의 경우 FAR(False Accept Rate)가 5.08%로 ID-HMM 5.18%, PCA 10.16%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FRR(False Reject Rate)의 경우에도 0.01%로 10.16%인 PCA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다. 이로서 조명변화에 대해서는 PCA보다 2D-HMM 얼굴인식 방법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LED 조명통신 융합 가시광 무선통신 응용 서비스 모델

  • Kim, Dae-Ho;Im, Sang-Gyu;Gang, Tae-Gy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6 no.5
    • /
    • pp.3-9
    • /
    • 2009
  • 본 고에서는 현재 IEEE 802.15.7 TG VLC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가시광 무선통신의 응용 서비스 모델 중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과 통신이 융합된 응용 서비스 모델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LED를 이용한 통신 기술은 광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광통신에서 이미 시작된 기술이나 LD를 이용하여 더 우수한 성능을 보이면서 잊혀져가던 기술중하나이다. 이러한 광통신 기술은 LED의 성능이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다시금 주목을 받게 되었고, 특히 LED를 이용한 조명기술이 발전하면서 무선통신으로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실내 환경에서 LED 조명 고유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항공기 혹은 병원내에서와 같이 기존의 RF무선통신에 제약을 받는 환경에서도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하며, 실내 LED 조명을 이용함으로써 국부지역에 특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 졌다. 따라서 가시광 무선통신은 조명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통신뿐만 아니라 기존의 조명과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그린 IT융합 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LED조명의 등장배경,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국부 방송 서비스, 항공기내 무선통신 서비스 등 LED 조명 기술과 통신기술이 융합된 가시광 무선통신의 응용 서비스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Lighting Performance in an Office Space (사무공간의 조명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김한성;김영민;김강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7 no.6
    • /
    • pp.16-2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visual evaluation data in a workstation space when different lighting types were appli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Radiance program was used for simulations, and the mock-up room(15.0x11.6x3m) was used for the actua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en the inidirect lighting simulation data using Radiance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data in a small workstation space, there was a 6.5% difference. Therefore, Radiance program was proved to be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lighting performance. 2) Higher light levels (higher light ratio (%)) were recorded in the straddled layout and lower light levels (lower light ratio (%)) were recorded in the centered layout condition in most cases. 3) Also, the results show that the indirect luminaires and the straddled layouts provide higher uniformity, whereas the direct luminaires and the centered layouts have lower uniformity.

Isotropic BRDFs of Homomorphic Factorization-based Lighting Computation (Homomorpic Factorization 기반의 등방성 BRDF의 조명 계산)

  • 안미선;조청운;홍현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630-633
    • /
    • 2003
  • 최근에 조명의 표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몇 가지 기술이 발전되었다. Homomorphic Factorization(HF) 기반의 새로운 기술은 BRDF에 근사화 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전체조명 장면에서의 isotropic BRDF의 full lighting computation을 대신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현재 그래픽 하드웨어의 일반적인 성능을 이용하여 최소 두개의 2D Texture로 Isotropic illumination 환경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다.

  • PDF

Variation of Illumination Performance with Source Size and Tolerance Characteristics of Freeform LED Lenses (LED 광원 크기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의 조명 성능 변화와 공차 특성)

  • Yang, Jae-Suk;Kim, Dae-Chan;O, Beom-Hoan;Park, Se-Geun;You, Il Hyun;Lee, Seung Gol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4 no.1
    • /
    • pp.29-38
    • /
    • 2013
  • In this paper, the illumination performances of three freeform lenses optimally designed for a point source were investigated for several LEDs with different source sizes, and also the tolerance characteristics of the lenses were analyzed. For comparison, two lenses with different sizes were designed with a divergent illumination model, and the last one was done with an overlapped illumination model. As the LED source size increased, the illuminance uniformity decreased more strongly, and the influence of a source misalignment on illumination performance became insignificant. However, the variation of LED radiation characteristics had strong effect on the illumination performance, irrespective of LED source size. Even though the lens based on a divergent illumination model showed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lens based on an overlapped illumination model, the latter was less sensitive to the variation of LED radiation characteristics.

A Study on lighting Energy Conservation in a Small Office Space with Daylight Dimming Control System (소규모 사무공간에서 디밍제어를 이용한 조명에너지 절약에 관한 연구)

  • 김한성;김강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7 no.5
    • /
    • pp.15-21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field measurements on daylighting and electric lighting with dimming controlled systems for a small office in Seoul, Korea. An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valuation data of lighting energy performance when a dimming system is install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e mock-up room(3.6x7.2x2.6[m]) was used for the actua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rrelation between daylight illuminance at a workplane(Ed) and the photosensor signal(Sd) w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daylight responsive dimming system, 2) The mock-up office space gained a sufficient workplace illuminance of 579[lux] with the dimming control system 3) About 53[%J of monthly lighting energy could be saved using the dimming contro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