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기치료

Search Result 1,68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Early-Stage Breast Carcinoma Treated with Breast-Conserving Surgery (조기 유방암에서 유방 보존술후 방사선 치료)

  • Shin, S.O.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4 no.2
    • /
    • pp.274-284
    • /
    • 1997
  • 조기 유방암에 대한 바람직한 치료는 유방의 형태를 최대한 보존하면서 악성 종양을 치료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기 위하여 최대한 조기에 유방암을 진단하고 미용상 종양 절제술에 적합한 환자를 선택하여 절제 범위를 최소화한 유방 보존술을 시행하며 수술 후 유방 전체에 대한 근치적인 방사선 치료를 적절히 시행하면 된다. 여러 연구에서 전통적인 치료법인 근치적 또는 변형 근치적 유방 절제술의 성적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으므로 조기 유방암의 치료에는 이상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된다. 이와 병행하여 액와부 림프절 및 전신적인 재발에 대한 진단 및 예방을 위하여 액와 림프절에 대한 충분한 외과적인 처치와 병리학적인 검사를 시행하여 불필요한 방사선 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만약 전신적인 치료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항암제 및 내분비 요법을 병행하여 재발을 억제해야 유방 보존술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치료법이 조기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면서 최상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유관 진료 각과의 의료진이 유기적으로 협조하여 조기 진단률을 높히고, 유방 보존술 및 방사선 치료 과정에서 환자들에게 치료 결과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도록 열심히 노력해야 된다. 또한 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이나 합병증을 최대한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치료 방법을 계속 보완 발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아직도 발전의 여지가 많은 이 치료법이 조기 유방암의 이상적인 치료법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임상적인 경험을 통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 PDF

조기후두암환자에서 레이저치료군과 방사선치료군과의 음성의 비교

  • 김광현;성명훈;윤자복;권태영;모지훈;박민현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7.11a
    • /
    • pp.256-256
    • /
    • 1997
  • 조기후두암에서의 치료방법은 방사선치료, 수술적치료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최근들어 사용되고 있는 방법중의 하나가 레이저를 이용하여 병변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후두미세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조기 후두암 환자와 방사선 치료를 이용한 조기후두암환자의 치료 후 성대의 기능을 주관적인 애성의 정도와 Kay voice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여 구한 객관적인 척도로 분석하였다. (중략)

  • PDF

Management of Preterm Labor (조기 진통의 처치)

  • Park, Yoon-Ki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6 no.2
    • /
    • pp.141-154
    • /
    • 1999
  • Premature birth is the single largest cause of perinatal mortality and morbidity nonanomalous infants in developing countries. Advances in neonatal care have lead to increase survival and reduced short and long term morbidity for preterm infants, but the rate of preter birth has actually increased. This review provides recent multifactorial approaches to treatme and prevention of preterm birth.

  • PDF

Rehabilitation after operation

  • 최창혁
    • The Academic Congress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 /
    • 2003.11a
    • /
    • pp.84-90
    • /
    • 2003
  • 최근 견관절 질환 치료의 발전에 힘입어 술 후의 유병율을 줄이고, 보다 견고한 조직 복원이 가능해 짐으로써 운동사슬(kinetic chain)의 생리적이고 생 역학적인 복원을 위한 재활치료를 조기에 시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조기재활 치료는 술 전 적절한 준비, 해부학적인 수술적 치료, 술 중 적절한 운동범위의 회복, 술 후 조기 보조 및 능동 보조운동, closed chain-axial loading rehabilitation protocol, 재활치료 중 기능적 관절위치 유지 및 기능회복에 따른 생리적 호전 등의 원칙을 통해 견관절의 여러 질환의 재활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 견관절의 조기 재활치료 시 통증은 근육의 조화운동을 저해하게 되며 관절의 안정적인 운동과 기능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시각 측정표를 이용한 4이하의 통증범위에서, 관절의 위치와 팔 및 몸의 운동 그리고 근육의 작용을 잘 관찰하는 가운데 운동을 함으로써 통증으로 인한 근억제 효과를 줄이며, 보다 조기에 안전하게 일상생활 및 운동복귀를 할 수 있다.

  • PDF

Sepsis (패혈증)

  • Kim, Jae Yeol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63 no.1
    • /
    • pp.13-16
    • /
    • 2007
  • 현 상태에서 패혈증에서 최선의 치료는 조기, 목표지향치료, 저일호흡량을 포함한 폐 보호 기계환기, 그리고 activated protein C 등을 들 수 있으며, 코티코스테로이드 치료나 적극적인 인슐린 치료법에 대해서는 아직 치료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다. 전통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조기에 광범위한 항생제 투여, 창상의 치료 등은 한상 강조되어야 할 치료 방법이다.

Endoscopic Resection of Early Gastric Cancer in Korea: Recent Results and Future Directions (조기위암 내시경절제술-최근 국내 성적과 발전방향)

  • Lee, Jun-Hae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9 no.2
    • /
    • pp.39-45
    • /
    • 2009
  • Endoscopic resection has been established as one of the treatment options for selected cases of early gastric cancer in Korea. Yet the indications, best treatment methods, management of complications and follow-up methods after the procedure are still uncertain. Some large-scale multicenter studie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in Korea. In this review, I will provide an overview of the recent published articles and future directions for endoscopic resection of early gastric cancer.

  • PDF

Randomized Trial of Early Versus Late Alternating Radiotherapy/ Chemotherapy in Limited-Disease Patients with Small Cell Lung Cancer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조기 혹은 지연 교대 방사선-항암제치료의 전향적 비교연구)

  • Lee Chang Geol;Kim Joo Hang;Kim Sung Kyu;Kim Sei Kyu;Kim Gwi Eon;Suh Chang Ok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20 no.2
    • /
    • pp.116-122
    • /
    • 2002
  • Purpose :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icacy of early or late alternating schedules of radiotherapy, and carboplatin and ifosfamid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limited-disease 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1993 to August 1996, a total of 44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limited-disease small cell lung cancer, PS $H0\~2$, wt $loss<10\%$ were enrolled in a randomized trial which compared early alternating radiotherapy (RT)/chemotherapy (CT) and late alternating RT/CT. The CT regimen included ifosfamide $1.5\;g/m^2$ IV, d1-5 and carboplatin AUC 5/d IV, d2 peformed at 4 week intervals for a total of 6 cycles. RT (54 Gy/30 fr) was started after the first cycle of CT (early arm, N=22) or after the third cycle of CT (late arm, N=22) with a split course of treatment. Results : The pretreatm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arms were well balanced. The response rates in the early $(86\%)$ and late $(85\%)$ arm were similar. The median survival durations and 2-year survival rates were 15 months and $22.7\%$ in the early arm, and 17 months and $14.9\%$ in the late arm (p=0.47 by the log-rank test). The two-year progression free survival rates were $19.1\%$ in the early arm and $19.6\%$ in the late arm (p=0.52 by the log-rank test). Acute grade 3 or 4 hematologic and nonhematologic toxicitie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arms. Eighteen patients $(82\%)$ completed 6 cycles of CT in the early arm and 17 $(77\%)$ in the late arm. Four patients received less than 45 Gy of RT in the early arm and two in the late ar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ilure patterns. The local failure rate was $43\%$ in the early arm and $45\%$ in the late arm. The first site of failure was the brain in $24\%$ of the early arm patients compared to $35\%$ in the late arm (p=0.51). Conclusion :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overall survival rate and the pattern of failure between the early and late alternating RT/CT in patients with limited-disease small cell lung cancer.

인슐린에 대한 공포가 혈당조절을 방해한다

  • Ryu, Ok-Hyeon
    • The Monthly Diabetes
    • /
    • s.218
    • /
    • pp.56-59
    • /
    • 2008
  • 몇 년 전부터 '웰빙'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언론매체에서 제공되는 당뇨병에 관한 다양한 정보는 당뇨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까지 당뇨병의 위험성과 혈당조절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주었다. 그러나 수명의 증가는 당뇨병과 더불어 살아가야 할 삶의 기간을 늘렸고, 또한 앞으로 합병증과 함께 살아가야 할 시간도 더욱 늘어나게 될 것이다. 당뇨합병증은 일반적으로 혈당조절 정도와 반비례해서 발생한다. 당 조절이 잘되면 합병증이 안 오거나 늦게 생긴다. 그러나 조절이 안 되는 경우 합병증이 빨리 오고 빨리 진행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과거보다 더욱 엄격한 혈당조절 목표를 제시하고 있어, 좀 더 일찍 몇 가지 혈당강하제를 병합하는 치료(조기 병합치료)를 선택하거나 혹은 좀 더 일찍 인슐린 주사치료(조기 인슐린 치료)를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 특히 조기 인슐린 치료는 환자들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실패하곤 한다. 이러한 저항은 대부분 인슐린 치료에 대한 공포(두려움)나 오해 때문에 발생하며 혈당조절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필자는 당뇨병 발생과 치료에 있어 인슐린의 역할을 설명하고, 거부감 없이 인슐린 치료를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