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경계획

Search Result 90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Human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Process and Social Science Method Application (인간 생능학적 조경계획 과정과 사회과학 방법론의 적용)

  • Kim Jai-Si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4 no.3
    • /
    • pp.47-57
    • /
    • 1987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 생태학적 조경계획의 이론적 배경과 계획과정을 살펴보고, 인간 생태학이라는 사회과학적 이론의 환경계획에의 적용 가능성및 필요성을 밝히고자 함에 있다. 인간의 건강과 복지가 인간 생태학적 조경계획의 지침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Philadelphia와 New York의 교외에 위치한 Upper Makefield Township 주민들의 정주유형 (Settlement Patterns), 활동유형(Activity Patterns), 이용자유형(User Patterns), 인간생태학적 소구역(Human Ecological Subregion)의 구분 및 정주기준(Siting Criteria)등을 조사 연구한 후 이들의 상호관계를 밝혀 계획가들에게 인간생태계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PDF

조경기술사회 탐방

  • 한국기술사회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42 no.1
    • /
    • pp.6-7
    • /
    • 2009
  • 조경기술사회는 1989년 9월 25일 조경기술사들이 모여 분회를 구성하여 조경기술사의 지위향상과 권익보호에 힘쓰고 있다. 조경기술사의 신기술 및 기술보급을 통하여 국토환경의 보전, 공원녹지, 공지확충계획, 신도시의 개발과 기존도시의 정비 등에 경관계획, 조성 및 관리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한국기술사회 조경기술 사회를 탐방하여 김기성 회장을 만나보았다.

  • PDF

정원설계를 통한 대학생의 정원인식에 관한 연구

  • Kim, Hye-Ju;Lee, Gy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13-15
    • /
    • 2017
  • 정원(Garden)은 거주하는 주택과 외부공간의 전이공간 및 소통의 역할을 하고 있는 장소이며, 한국조경헌장에서 조경의 대상에 첫 번째로 거론되고 있는 중요한 조경계획의 대상이다. 조경학과 대학생들이 조경계획수업 시간에 처음 맞이하게 되는 주택정원설계에서 그들이 갖고 있는 정원에 대한 주제, 시설, 식재의 주요 사항들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조경학과 대학생 2학년과정이며 시간적 범위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개년의 과제제출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학생들의 정원설계작품을 살펴본 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정원설계에서 사용되는 주요 주제는 가족과의 활동과 개인 취미생활, 자연에 관한 주제가 가장 많이 표현되었고, 이것은 정원안에서 개인과 가족과의 관계성을 고려하고 배려하는 곳이 정원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보여진다. 둘째, 정원설계에서 조성되는 주요 시설은 휴양시설, 관리시설, 조경시설 순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부 설계안에서는 교양시설과 유희시설이 조성되어 있었다. 셋째, 정원설계 작품의 식재경향은 교목위주의 식재가 많고, 관목과 지피와의 다층구조식재의 설계안은 몇 작품 보이지 않았으며, 독립식재와 군식 및 열식이 조화롭게 배치되지 못하고 있고, 지피류를 도입한 설계안이 많지 않았다. 오늘날의 정원설계는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고, 근래 다수의 정원박람회에 출품되고 있는 정원작품 또한 디자인과 재료, 주제의 다양성이 풍부해지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정원설계과정에서 현재 학생들이 갖고 있는 주택정원에 대한 주요 요소에 대하여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of Healing Landscape in Housing Complexes (공동주택에서 치유조경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 Chun, Hyunwoo;Lee, Sh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5
    • /
    • pp.26-37
    • /
    • 2016
  • As activities and convenience of residents in outdoor spaces in apartment houses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strategies for making outdoor spaces in apartment houses healing spaces have emerged as a major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elements for planning healing to create healing spaces in collective housing areas and to present design guideli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unctional elements of a healing environment were classified into safe environment, therapeutic environment, ancillary environment, orientation-reinforcing environment, amenities, and social environment. Outdoor spaces in collective housing areas were divided into collective housing entrance areas, internal and external spread areas, outdoor activity areas, and areas by theme. First, collective housing entrance areas should be planned in such a manner that residents can feel the area is private and easy to recognize. Second, internal and external spread areas should be plann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easy to access and communicate with neighbors. Third, outdoor activity areas should be divided into an open space, resting space, playing space, and sports space. Open spaces should be plann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command a fine view and respect the privacy of nearby residents. Resting spaces should be equipped with a shelter that protects users from direct sunlight, rain, and snow as well as include a movable bench. Playing spaces should be built considering development of children's curiosity, adventurous spirit, character, stimulation, and physical health. Playing spaces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manner that roadways and sidewalks can be separated for safe traffic. Sport spaces should be plann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be associated with a pavilion and trail that provide residents with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rest. Fourth, spaces by theme are classified into sense garden, therapeutic garden, experiential garden, and learning garden. Sense gardens are a small garden based on the five senses. Sense gardens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improve users'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rough programs that stimulate the sense of sight, auditory sense, and olfactory sense. Therapeutic gardens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provide a comfortable and relaxing space by minimizing noise. It is advisable for therapeutic gardens to be equipped with a medicinal herb garden, meditation garden, and sense garden. Experiential and learning gardens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can provide users with a space in which they can enjoy nature and leisure activities. It is advisable for experiential and learning gardens to be equipped with a tea garden, vegetable garden, and camping garden. Healing programs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manner that users can feel relaxed by providing a healing environment, making the most of the natural environment. Further research on evaluating whe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ffective in healing in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anner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