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조강 결합재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The Properties of Strength and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Early-Strength Poly Carbonic Acid Admixture (폴리카르본산계 조강혼화제 혼합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 특성)

  • Lee, Sang-Ho;Hong, Kyung-Sun;Moon, Han-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9 no.2
    • /
    • pp.217-224
    • /
    • 2007
  • This study reports the properties of high early strength &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PC admixture. To apply these data to construction site, we did the lab test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o accomplish early strength of concrete (5.0 Mpa/18 hr), and we did the durability tests such as length change test, chloride ion penetration test, fleeting and thawing test, adiabatic test, etc. And we tested the porperties of concrete by the different factors, such as the type of admixtures, curing temperature, the amount of binder, etc. Through the test of concrete using the different type of admixture, PC type was more excellent than PNS type admixture. As a result, we made a concrete of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and excellent durable concrete. According to these tests, we concluded that we can apply this type of PC admixture to the civil & construction site, and we can reduce the term of works and finally we will accomplish the economical construction.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Mortar Using Chlorine Bypass System-Dust as Alkali Activator (Chlorine Bypass System-Dust를 알칼리 자극제로 사용한 고로슬래그 시멘트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

  • Han, Min-Cheol;Lee, Dong-Joo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8 no.2
    • /
    • pp.235-244
    • /
    • 2020
  • This study conducted a series of studies to offer a novel method of using CBS-dust that produced as by-product in the manufacture of cement. Four different contents of BS and CBS-dust were adopted for test parameters of this study. Mortar with 50% of W/B was fabricated. First, in the case of the fresh mortar, the flow decreased as the CBS-dust replacement rate increased, but the binder composition ratio BS 45% and 65% showed higher fl ow than Pl ain when repl acing CBS-dust 5%. In the case of air content, overall, the tendency was proportional to the CBS-dust replacement rate, and chloride tended to exceed the reference value at all replacement rates except for the CBS-dust 0% replacemen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hardened mortar shows the resul t that the strength is improved when the CBS-dust is repl aced by 5% to 10%, and the CSH gel and structure formation is confirmed by microstructure analysis through the hydration reaction when the CBS-dust is replaced. Therefore, for a given condition CBS-dust is used as a early-strength admixture in a concrete secondary product that uses a large amount of admixture without reinforcing bars it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enhancing the strength of concrete as an alkali activator.

The Influence of Specimen Volume on the Adiabatic Temperature Rise of Concrete (콘크리트 단열온도 상승량에 미치는 시험체 용적의 영향)

  • Bae, Jun-Young;Cho, Sung-Hyun;Shin, Kyung-Joon;Kim, Yun-Yo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4 no.6
    • /
    • pp.659-666
    • /
    • 2012
  • To secure the thermal crack resistance of mass concrete, researches and the field applications of low heat portland cement (LPC), ternary blended cement (TBC) which is produced by blending ordinary portland cement with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and early strength low heat blended cement (EBC) increased in recent years. Although the model for adiabatic temperature rise is necessary for estimating the risk of thermal cracking of concrete structures, sufficient data have not been accumulated for these mixture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adiabatic test results have been reported for the volume of test specime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adiabatic temperature rise based on the type of binder and the volume of the adiabatic test specimen.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ximum temperature rise ($Q_{\infty}$) and the reaction factor (r) of TBC were the lowest. Test results also showed that $Q_{\infty}$ and r changed with respect to the volume of test specimen. $Q_{\infty}$ and r obtained from 6l equipment were lower than those of 50l equipment. Therefore, corrections with respect to this phenomenon was confirmed and the corrections factors are presented.

Ecological Assessment Technique of Connectivity to Disconnected Floodplains by Levee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

  • Cho, Kang-Hyun;Jin, Seung-Nam;Cho,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7
    • /
    • 2017
  • 범람파동 개념에 따르면 하도와 홍수터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방에 의하여 제내지 홍수터가 하도와 차단된 우리나라 하천에서 생태적 서비스를 증대하기 위해서 횡적 연결성을 복원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횡적 연결성의 복원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도와 홍수터 사이에 생태적 연결성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진단하는 평가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의하여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수리적, 생태적 횡적 연결성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결성 회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는 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단된 하천공간을 탐색하고, 2) 탐색된 전체 재내지에서 원격평가에 의하여 간편하게 횡적 연결성 평가를 실시하고, 3) 선정된 특정 제내지 대상지에서 현장평가에 의하여 상세하게 연결성을 평가하는 순서로 수행된다. 차단된 하천공간의 획정은 홍수가 범람할 수 있는 제내지 공간을 잠재적 하천공간으로 정의하고 수치표고모델 (DEM)과 하천기본계획의 30년 빈도 홍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제내지 홍수터를 탐색하였다. 제내지 홍수터의 원격 연결성평가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수치지도와 토지피복도 등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수리 및 서식처 환경성, 제방 차단성과 하도 및 육상 연결성을 평가하고 원격평가 결과를 토대로 현장평가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횡적 연결성의 현장평가를 위하여 크게 하도-홍수터 연결성과 제내지 서식처 보존성으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결성 평가는 수리연결성과 생물연결성으로, 서식처 보존성 평가는 습지유지율, 습지보존성, 육역지보존성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평가 항목별로 5 등급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 총점을 산출하여 최종 연결성 평가 등급을 5 단계로 구분하였다. 현장평가를 위한 MS Access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 입력과 관리 및 평가 결과 산출과 비교를 편리하게 하였다. 개발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법을 청미천과 만경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평가법을 바탕으로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연결성 회복에 따른 어류와 식생의 분포를 예측하는 수리생태 결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차단된 제내지에서 연결 수로를 복원하여 유속, 수심 분포를 준이차 수리수문 모델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수리 환경에 따라서 지표어종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를 이용하여 서식 분포 확률을 모의하였다. 또한 일반화가법모델 (GAM)을 이용하여 환경구배에 의한 우점식생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제방제거, 제방후퇴, 제방고 하강, 수문 및 연결수로 개선, 생물이동 저해 장벽 제거 등의 다양한 복원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