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Smart City Policy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시티 정책)

  • Bae, Sung Ho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5 no.3
    • /
    • pp.25-32
    • /
    • 2019
  • The important of Smart City has been increasing on the driving forc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ethod to solve urban problems. Korea government introduced and implemented ubiquitous City as an intrinsic Smart City brand from the early 21th century. Diverse types of Smart City projects were announced as national strategy b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National Test-Beds in Sejong city and Busan(EDC: Eco Delta City) are urban planning to be future city models for new town development. In the old towns in cities, various type of Smart City projects are support by government by urban growth stage; frontiers, stable or declining urban realm. 「3rd Comprehensive Plan for Smart City(2019 ~ 2023)」 in Korea plans an important role to build innovative ecosystem and reinforce global competiveness by spreading of Smart Cities. For the successful Smart City as open and inclusive space, it is need that this space should be made by the cooperation of citizens, private sectors and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기존 도시의 U-City 구축 필요성 및 고도화 방안

  • Han, Seon-Hui;Im, Yong-Min;Lee, Jae-Y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8
    • /
    • pp.3-9
    • /
    • 2014
  • '08.3월 U-City법이 제정되었고, '09년에 U-City법에 근거한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종합계획 (이하 U-City종합계획)이 수립되었다. 이후 계획에 따라 U-City R&D, U-City시범도시 지원사업 등이 추진되었으며, 기술, 서비스, 인력양성, 산업지원, 법제도 개선 등 다양한 부문에 U-City 지원 정책이 시행되었다. 이로 인해 국내 U-City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었으나 주로 공공 주도의 신도시를 중심으로 구축되어 과도한 건설비용 및 관리운영비 부담, 중복투자 등의 다양한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결국 신도시 조성 개발이익을 통한 U-City 구축은 건설경기의 침체와 함께 심각한 위기를 맞게 된다. 하지만 새정부 출범 이후 U-City는 창조경제 대표사업으로 채택되어 재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고 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의 일환으로 도시재생사업에 U-City를 접목하는 등 U-City 부흥을 위한 시도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신도시 개발로 치우쳐서 발생된 기존도시와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다각도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현 시점에서는 기존도시에 초점을 맞추어 U-City 방향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며, 기존 신도시형 U-City가 추구했던 정보통신 위주의 계획에서 벗어나 지역특성 및 수준 등을 고려한 도시계획적 측면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스마트시티 동향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신도시개발형 U-City 구축 현황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기존도시형 U-City 구축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실효성 있는 기존도시 U-City 구현을 위하여 도시계획적 관점에서의 고도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