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품 치수

Search Result 18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role of Data Center for Korean Body Measurement on emotion product design (감성 제품설계에서의 인체치수데이터 센터의 역할)

  • Park, Se-Jin;Jeong, Eun-Hui;Gu, Jun-Mo;O, Ye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21-22
    • /
    • 2009
  • 인체측정 자료는 인간이 생활하는데 요구되는 모든 산업제품의 설계 및 생산에 기초자료가 되며 여러 산업분야에서 표준화 작업을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특히 의류, 전자 각종 소비재 산업에서의 사용자의 신체 특성과 동작 특성에 맞는 제품 제작뿐만 아니라 오감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감성을 가미한 제품 설계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고, 의류, 신발, 애니메이션, 그래픽 산업 분야에서 3 차원 인체형상자료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기존의 인체치수의 활용에 있어서는 대부분 길이, 둘레, 부피 등과 같은 수치적 데이터만을 활용하였으나 미래 소비자들의 욕구 충족을 위해서는 감성평가를 통한 제품 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를 위한 감성의 측정 및 평가 기술의 표준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인체치수 데이터 센터에서는 인체치수 측정 및 평가방법의 표준화를 통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인 인체표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감성측정 기술확보를 통한 의류, 생활용품, 산업제품,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기반 구축사업 지원 등 산업계 지원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Safety Shell Molds for Precision Machining of Sand Mold Casting Product (사형제품 기계가공을 위한 안전금형 개발에 관한 연구)

  • Choe, Jae-Hun;Nam, Seung-D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3.11a
    • /
    • pp.587-595
    • /
    • 2013
  • 기계가공으로 인한 사고는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고는 완벽한 가공지그을 통해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지만 제품설계초기 후가공과 양산 공정은 고려되지 않고 설계되어 기계가공 시 재해로 연결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사형주조법은 수작업으로 손쉽게 제품을 생산하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치수오차가 다른 양산공정 보다 크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런 사형 주조품을 기계 가공할 때 제품의 치수편차로 인해 불안전한 고정및 과다한 절삭, 제품이탈, 공구파손, 장비와 공구의 빠른 수명감소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 하지만 사형주조의 특성상 개선하기 어려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의 용기형태의 제품을 사형주조 후 기계가공 하는 것을 금형으로 대체하기 위한 셸몰드법을 제시하고 셸몰드로 만든 셸주형으로 주조함으로서 표면조도 평균 $Ra9.94{\mu}m$의 기계가공에 준하는 표면을 구현하였다. 외형의 정밀한 제품을 대량 생산하여 가공공정의 간소화 및 평균 두께 편차를 줄임으로서 제품파손 및 제작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기계가공전 제품의 치수정밀도를 높여 안전성, 생산성향상, 가공 공정단축, 환경개선 등을 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성형하중 저감을 위한 개방형 후방 압출의 신공정 설계

  • 정덕진;이종억;김동진;김병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10a
    • /
    • pp.10-10
    • /
    • 1999
  • 금속성형공정은 칩의 발생 없이 금속의 모양을 큰 소성변형으로 유용한 임의의 형태로 변화시키는 금속가공의 한 분야로써 제품을 생산함에 있어서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로 줄이면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이다. 소성가공 공정에서 성형하중은 금형의 파손 및 마모에 영향을 미치고, 금형이 과도한 탄성변형으로 인한 제품의 치수 정밀도 저하시키기 때문에 성형하중 저감 설계는 소성가공 공정 설계에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원통형 제품을 성형하는데 주로 이용되고 있는 압출공정은 펀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품이 성형되는 전방압출 공정과 펀지 진행 방향과 반대로 제품의 성형되는 후방압출 공정으로 구분된다. 후방압출공정은 튜브 형성의 제품, 포장용 캔 및 변속장치 부품등을 생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공정으로서, 우수한 표면상태, 치수정밀도 및 향상된 기계적 성질을 얻을 수 있으며 높은 생산성과 낮은 제조원가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의복구성을 위한 인체측정항목(직접계측방법)에 관한 연구

  • 천종숙;정승현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34-36
    • /
    • 2003
  • 인체치수 및 기능에 관한 정보는 인간의 생활에서 사용하는 의복이나 가구, 생활용품의 설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정보이다. 인간공학과 의류학 및 인체 측정과 관련된 학문 분야에서는 인체치수와 인체의 활동 기능에 대한 연구, 인체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인간의 체격이나 체형에 적합한 제품의 디자인을 위해서는 인체치수의 정보가 기본적으로 필요하다. (중략)

  • PDF

An Application of Expert System to Automatic Specification Generation System (도면 자동 생성 시스템에서의 전문가 시스템 적용)

  • 최문희;조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4.05a
    • /
    • pp.57-62
    • /
    • 2004
  • 그레이팅(Grating)이라는 금속제품을 생산하는 5 업체에서는 설계 자동화 시스템인 GDS(Grating automatic Drawing System)를 통해 전체 설계도면(Plan Drawing)을 생성하고 GDS의 도면자료 자동생성 시스템(ASGS: Automatic Specification Generation System)을 통해 전체 도면상에 배치된 각각의 그레이팅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표현된 단품별 도면과 완성된 제품들에 대한 검사 기준을 표현한 검사도면을 생성하며 전체 제품에 대한 통계적인 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나 도면자료 자동생성 시스템을 통해 자동 생성된 도면은 설계자들의 일반적인 치수 기입요령을 부분적으로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또 치수 표시간의 겹침 현상이 발생하여 설계자가 도면을 수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 전문가들의 치수 표시법을 지식으로 하는 규칙 기반 전문가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adult women (성인여성 기성복의 치수 간격설정에 관한 연구)

  • 이진희;최혜선;박수찬;김진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189-204
    • /
    • 1993
  • 산업화로 인한 급속한 경제성장과 증가하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의생활에서 보다 편 하고 간소화된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고, 이에따라 의복의 구입에 있어서도 맞춤복보다 는 시간, 경제면에서 유리한 기성복을 선호하게 되었다. 불특정다수를 위한 기성복의 생산에 있어서 개개인의 체형에 보다 적합성이 좋은 제품의 개발을 위해 다수인의 다항 목계측치에 근거한 치수체계의 설정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공업진흥청에 의해 제 1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1986년에는 제 2차 조사가 실시되어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 공업규격의 의류치수 규격이 제정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연령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체형분류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제품 호수에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둔 체계였다. 1992년에는 제 3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 되어 그 결과가 발표되었다. 의복은 인체계측에 의한 신체 각 부위의 치수와 형태를 기초로 2차원적인 소재에 적절한 원형을 사용하여 재단, 봉제과정을 거쳐 3차원의 입체 로 구성하고 인체에 대응시킨 것이므로 기성복에 대하여 소비자의 치수적합성을 만족시 키기 위해서는 체형의 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은 출산후 중년에 접어들면서 신체적 특성이 변하여 체형이 바뀌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 여성에대한 의류치수규격보다는 연령의 구분과 체형의 분류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우기 의류업체들의 판매대상의 세분화는 이를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체형의 분류는 의복 치수 규격에 적용되어 의복의 종류에 따라 대다수의 불특정 다수 에게 보다 잘 맞는 의복 치수를 제공할 것이며, 그 치수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김성득(1991)은 소비자의 기성복에 대한 구매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격치를 등간격 으로 하기 보다는 소비자의 분포밀도가 높은 곳일수록 규격치 간격들을 좁게 설정함으 로써 생산자 입장에서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xpert System for Automatical Dimension Marking on Drawing (도면 치수 자동 표시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

  • Lee, Keun-Ho;Cho, T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69-272
    • /
    • 2003
  • 그레이팅이라는 금속제품의 자동 설계 시스템인 GDS (Grating automatic Drawing System)는 기본 설계 도면(Plan Drawing)의 정보들을 바탕으로 여러 세부 도면들을 자동 생성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GDS를 통해 자동 생성된 도면은 설계자들의 일반적인 치수기입 요령을 부분적으로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또 치수 표시간의 겹침 현상이 발생하여 설계자가 도면을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 전문가들의 치수 표시법을 지식으로 하여 규칙 기반 전문가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 PDF

회전성형 프로세스의 회전운동 제어에 관한 연구

  • 이완규;최만용;임순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04b
    • /
    • pp.454-457
    • /
    • 1994
  • 회전성형가공(Rotation molding)은 사출성형등에 비해 제품의 크기, 형상에 제약이 거의 없고 동일한 설비에서 금형의 교한만으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국내외적으로각광을 받기 시작 하고 있다. 회전성형가공은 금형의 외부에 고온의 열을 가하면서 2축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을 시켜 금형 내부의 수지를 금형내부에 균일하게 용착시켜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제품의 강도보다는 제품치수의 정도 및 치수(예를들면 두께)의 균일성이 가공상의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성형프로세스의 최적제어를 위한 목적으로금형의 회전운동에 관해 검토한다. 먼저 금형의 회전운동에 관한 수학적모델을 작성하고 금형 내부의 수지가 균일한 운동을 할수 있는 금형의 회전 경로를 생성하는 2축 의 회전비의 관계를 구하는 방법에 관해 검토하였다. 다음 시뮬레이션을 통하여본 방법의 타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 PDF

Comparison of Commercial Functional Incontinence Panty

  • Cha, Su-J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12
    • /
    • pp.201-212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the pattern with the absorption layer by analyzing the pattern of commercially available urinary incontinence panty products. Through this, it tried to obtain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urinary incontinence panty for active seniors. Twelv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were decomposed to analyze size and patterns, and appearance and clothing pressure were evaluated through 3D simula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ize and pattern of urinary incontinence panty, it was analyzed that the size difference between parts was large even though the product was called the same. Products from the same brand also showed a big difference depending on design and absorption. As a result of the appearance evaluation for the 3D simula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ducts in all items such as the front, side, and back. Product No. 9 was analyzed to be the best except for the waist fit on the side. In the evaluation of clothing pressure, most of them were marked in red except for products 1, 2, and 8 due to the nature of the panty product.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actual wearing experiments and size standardization studies on urinary incontinence pants should be conducted.

Vanning Management System (컴퓨터를 이용한 유닛로드 설계시스템)

  • Eom, Jae-Gyun
    • Pallet News
    • /
    • s.40
    • /
    • pp.36-45
    • /
    • 2006
  • 한국파렛트풀(주)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개발한 온라인 강좌 프로그램인 "파렛트와 유닛로드시스템 실무과정"의 일부분인 [컴퓨터를 이용한 유닛로드설계시스템:Vanning Management System]강좌의 VMS솔류션을 총 5회에 걸쳐 나누어 소개한다. 이 VMS소프트웨어는 Logen Solutions 라는 국내벤처기업이 개발한 제품으로서, Supply Chain상에서 발생하는 포장 및 적재 문제들 즉, 물류포장을 위한 제품 치수 및 포장 박스 치수 최적화와 일정한 용기내의 적재량 최적화 및 적재 패턴 최적화를 쉽고 빠르게 해법을 제공하는 종합 솔루션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