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품 지식

검색결과 690건 처리시간 0.032초

온톨로지 기반설계 문서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OKMS: Ontology-bas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 이정원;방건동;박세형;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79-81
    • /
    • 2001
  • 다품종 소량 생산은 제품개발의 사이클을 단축시켰다. 그 결과 생산기술의 축적에 의존한 제품경쟁력은 그 한계에 이르렀다. 결국 경쟁력 있는 제품생산을 위한 핵심적 전략은 제품개발기간 단축에 있다. 제품 개발기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설계 오류는 약 50%가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이는 제품 개발 노하우의 체계적 관리가 미비학, 숙련된 설계자가 보유한 제품개발지식의 공유가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비록 설계 지식의 공유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추었어도, 단순히 설계지식을 저장해놓은 경유에, 설계자가 키워드를 통하여 검색을 하게 되면, 원하지 않는 결과 까지 제공되어, 시스템의 사용이 저조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KMS라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의 설계문서를 XML 형태로 저장, 다양한 문서가공이 가능하게 하였고,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지식 체계를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은 설계자가 온톨로지로 구성된 지식 체계를 통하여, 설계 지식을 공유하였고, 개발중인 제품에 대한 기술적 지식을 가지고 검색하게 함으로서 필요 없는 검색 결과를 최소화 하여, 이용하는 설계자의 일의 로드를 줄이고자 하였다.

  • PDF

온톨로지 기반 지식추론 기법 (Ontology-based Method for automatic Knowledge Reasoning)

  • 이정원;박세형;이언경;방건동;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292-294
    • /
    • 2001
  • 제품 개발을 담당하는 부서에서, 다양한 이유로 핵심인력이 빠져나간다. 이때마다 제품개발 현장에서는 심각한 지식 누수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지식 누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기업 내부에 존재하는 핵심인력의 노하우를 형식지로 저장해 관리하는 것이다. 제품을 개발을 담당하는 부서에는 수많은 문서들이 존재한다. 특히 품질 관리 문서는 제품개발과 관련된 핵심인력의 노하우가 농축되어있는 지식이다. 그래서 많은 기업에서는 기업내부에서 발생하는 그 지식을 관리하고 재활용하고자, 문서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도입,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설계 지식의 공유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갖추었어도, 단순히 설계지식을 저장해놓은 경우가 많아, 개발자는 필요한 자료를 다시 선정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개발자에게 있어서 부담이 되며, 풍부한 지식활용률을 떨어뜨리게 만드는 한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문서를 분류하고, 이 온톨로지에 정의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자동적으로 추론하여, 제품에 대한 기술적 지식을 가지고 검색하게 함으로서 필요 없는 검색 결과를 최소화 하고, 설계자의 지식 활용률을 높이고자 하였다.

  • PDF

제품 디자인 시뮬레이션을 위한 인과 지식 통합 방법 개발 (Causal Knowledge Integration Method for Product Design Simulation)

  • 김윤선;권오병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85-95
    • /
    • 2014
  • 제품 설계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다양한 인과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존하는 다양한 지식으로부터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지식들을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열이 되는 컵을 설계하고자 하지만 기존의 설계 지식 베이스에는 가열되는 컵에 대한 설계 지식은 없고 가열 기구에 대한 지식과 컵에 대한 지식이 따로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열 기구에 대한 지식과 컵에 대한 지식을 통합할 수 있는 자동화된 방법론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열이 되는 컵을 설계하는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제품 설계에 관련한 지식을 통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방법론을 제안 한다.

온톨로지를 이용한 제품 지식 공유 및 통합 (Product Knowledge Sharing and Integration using Ontology)

  • 홍충성;이현찬;김현;이주행;조준면;한순흥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38
    • /
    • 2003
  • 협업적 제품 거래 환경에서는 제품의 전 수명주기에 걸쳐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제품 지식을 공유, 교환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기업간 협업을 지원한다. 따라서 기업간 제품 지식을 어떻게 표현하고 공유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와 다양한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제품지식을 어떻게 통합하고, 확장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 개념을 이용하여 제품 지식의 공유 및 통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온톨로지 모델을 제시하고 제품 설계 과정에 이를 적용함으로써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 적용도 분석 (Analyses of the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Domain of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The Perspectiv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허광호;이유미;유영진;김진회;오유상;김인재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2호
    • /
    • pp.209-225
    • /
    • 2021
  • 제품수명주기관리(Product Lifecycle Management)는 8개의 지식영역으로 구성된 잘 정의된 관리방법이다. 4차 산업혁명이 스마트 팩토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제품의 아이디어 생성에서 폐기까지의 전 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제품수명주기관리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의 현재와 향후 적용정도를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이 현장에서 어느 정도 적용되고 있는지를 현재의 관점과 가까운 미래의 관점에서 전문가 인식을 분석하였다.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의 현재 및 미래의 적용정도를 분석하고, 적용정도의 관점에서 지식영역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중심으로 그 의미와 향후 흐름을 제시하였다.

가전제품의 설계지원을 위한 규격 지식베이스의 구축

  • 이효섭;한순흥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5-279
    • /
    • 1992
  • 가전제품을 설계할 때는 수출된 지역의 규격(standard)을 파악하여, 그 규격에 만족하는 설계를 해야 한다. 점용 전문가시스템 쉘인 ART-IM을 이용하여 이러한 규격을 지식베이스로 구축하여 설계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지식의 추출은 영국의 표준 협회에서 제정한 가정용 전기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규격 집인 EN 60 335-1을 이용하였다. 본 논문은 제품의 안전 규격 집이나 사내 규격집 등과 같이, 체계적이고 규범적인 문장의 구성을 가진 기존 문서에서의 지식 추 출 방법론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 제품에 대한 만족과 지식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ilver Consumer's Product Satisfaction and Knowledge on the Health Functional Consumer's Well-being)

  • 이순금;김용만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131-140
    • /
    • 2011
  • 본 연구는 자금의 고령화 사회에서 실버소비자의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본적인 마케팅노력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실버마케팅과 소비자웰빙의 연관성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 제품 만족을 결정하는 소비 전(全) 단계의 여러 가지 만족 요인이 실제로 소비자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일차적으로 실증 분석하고, 둘째, 제품 만족요인에 의해 소비자 웰빙을 가져오는 그 과정에서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제품의 제품지식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차적으로 실증 분석하는 데 둔다. 따라서,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제품에 대한 제품만족은 건강관련 소비자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1과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제품에 대한 제품지식에 따라 제품만족이 건강관련 소비자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으로 강화될 것이라는 연구가설 2를, 설문조사를 통한 자료수집과 통계적 실증분석에 의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연구가설 1은 채택되었으며, 연구가설 2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건강기능제품의 효율적 웰빙마케팅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제품의 실버소비자 웰빙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 사이클 전반에 걸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구입-준비-소비-유지-처분 전(全)단계에서 소비자의 장기적인 만족을 위한 건강기능제품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 웰빙은 다양한 욕구의 총합으로 구성되므로, 긍정적 정서적 경험의 증대와 부정적 정서적 경험의 저감의 목표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건강기능제품에 관한 실버소비자의 지식을 높이기 위한 마케팅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실버소비자의 제품지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기능제품에 대한 친숙성과 전문성을 제고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그들의 제품지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단,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건강기능제품에 관한 소비자의 높은 지식은 건강기능제품의 준비만족과 유지만족에의 관점에서만 소비자웰빙에 긍정적인 효과의 강화를 보인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제품지식이 준비단계의 욕구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유지단계의 정보 이용에 더욱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는 선험적 인식을 보여 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실버소비자를 대상으로 제품만족, 제품지식 및 소비자웰빙에 대한 실증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의 시도는 시의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실버소비자의 건강기능제품의 소비와 관련하여 제품만족의 전 단계가 소비자웰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규명하였고, 그 과정에서 제품지식 수준의 조절변수 효과가 부분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관찰하였다는 점이 웰빙마케팅 연구에 기여하는 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업체탐방 - 한국지식웨어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9호통권76호
    • /
    • pp.70-71
    • /
    • 1999
  • "XML과 지식관리시스템 분야의 최고 기업을 지향합니다. XML은 문서 유통의 국제 표준으로 향후 인터넷 비즈니스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 XML과 관련된 제품 개발에 몰두하는 (주)한국지식웨어의 최한석 연구소장의 말이다. XML및 지식관리시스템 관련 기술과 제품을 보유하고 독자적인 영역을 추구하는 (주)한국지식웨어를 찾아가 프로젝트 추진현황과 향후 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 PDF

시간적 거리와 사전지식에 따른 프리어나운싱 전략이 기억에 근거한 판단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in Influence on the Memory-Based Judgement and Purchase Intention upon Temporal Distance and Prior Kowledge in Preannouncing Strategy)

  • 한광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1호
    • /
    • pp.99-118
    • /
    • 2014
  • 본 연구는 기업들의 프리어나운싱 전략에 있어 제품 출시와 관련한 시간적 거리(가까운 미래/ 먼 미래)와 사전지식 수준(고지식/ 저지식)에 따라 기억에 근거한 판단(종합적인 제품판단/ 개별적인 제품판단)과 구매의도 간의 차이가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프리어나운싱의 시간적 거리의 주 효과에 따른 기억에 근거한 판단과 구매의도간의 차이는 일관되게 종합적인 제품판단보다 개별적인 제품판단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매의도도 높았다. 둘째, 프리어나운싱 제품에 대한 지식 수준이 높으면 종합적인 제품판단에 비해 개별적인 제품판단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 수준이 낮으면 개별적인 제품판단보다 종합적인 제품판단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매의도는 고지식 수준의 소비자들이 체계적인 정보처리를 통한 태도가 구매의도로 이어져 높게 나타났다. 셋째, 프리어나운싱의 시간적 거리와 지식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가까운 미래 조건에서 지식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은 종합적인 제품 판단보다 개별적인 제품 판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먼 미래 조건에서 지식 수준이 낮은 소비자들은 개별적인 제품판단보다 종합적인 제품 판단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출성형제품의 게이트 설계 지식베이스화에 관한 연구 (A Knowledge-Based CAD System for Gate Design in Injection Molded Parts)

  • 이찬우;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87-90
    • /
    • 2001
  • 본 논문은 사출성형제품의 게이트 설계를 합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출금형설계전문가의 축적된 지식과 경험을 발췌ㆍ정리하여 지식베이스를 작성하였으며, 설계에 필요한 제품의 형상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총칭형상과 특징형상 개념을 이용하여 특징형상을 정의하였다. 또한 지식베이스를 통해 산출된 설계결과를 기하학적 모델러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3차원 형상으로 보여지도록 하였으며, 최종 생성된 3차원 기하학적 형상정보는 CAE 모듈이나 CAPP 모듈에서의 후속작업을 위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