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품 개발

Search Result 7,54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100 기반 복수 제품표준 뷰어 개발 연구

  • Gang, Dong-U;O, Se-Ung;Jeong, J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312-313
    • /
    • 2016
  • S-100은 다양한 제품사양을 개발하기 위한 범용 지리정보 표준이다. 제품사양은 데이터 산출이나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 설명으로 S-100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품사양을 개발하는 것은 제품사양 간에 데이터 교환 및 호환성을 보장하여 체계적인 관리를 위함이다. S-100은 묘화절차도 표준 내에 정의하고 있다. 묘화절차는 다수의 묘화계층을 정의하고 최소 묘화 단위 개체마다 묘화계층을 지정하여 화면에 묘화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에서 정의하는 묘화절차를 준수하여 S-100 기반 복수 제품표준 뷰어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S-100을 준수하는 S-100 기반 복수 제품표준 뷰어로써, S-101 전자해도를 기반으로 S-412 Weather 등의 정보를 묘화절차에 따라 복수 제품 간에 묘화 계층구조를 공유하여 조화롭게 묘화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 PDF

A Prototyping on Common Criteria Evaluation Security functional Requirement for Developer of IT products supporting tool. (IT 제품 개발자를 위한 CC평가(ver. 3.1) 보안기능 요구사항 지원 도구 프로토타이핑)

  • Han, Kyung-su;Jung, Hyun-mi;Lee, G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702-705
    • /
    • 2012
  • 공통평가 기준(CC, Common Criteria)은 정보 보호 제품, 즉 IT제품에 대한 보안성을 평가하기 위한 국제 평가 기준이다. 그러나 개발자 측면에서는 CC 에서 정의된 보안 기능 사항 중 IT제품 개발에 있어서 어떤 보안기능을 요구하며, 적용 가능한 IT기술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기 어렵다. 이 때문에 평가를 받고자 할 때 제출물을 작성하거나 IT제품 개발에 있어서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은 IT제품 개발자를 위해 공통평가 기준에서 정의하여 서술된 보안기능항목을 이해하고 적용 가능한 IT기술에는 어떤 것 들이 있는지 제시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CC(Ver3.1)2부 보안기능 요구사항 중 프라이버시 클래스만을 해결할 수 있는 S/W를 개발 및 프로토타이핑 하였다.

MLCC 제품 개발 동향

  • Wi, Seong-Gwon
    • Ceramist
    • /
    • v.14 no.1
    • /
    • pp.41-45
    • /
    • 2011
  • 지금까지 간단하게나마 MLCC 제품군별로 제품개발 요구사항과 기술개발현황을 살펴 보았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IT 분야를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전자부품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MLCC 업계는 시장선점을 위한 제품개발과 증설을 서두르고 있으며, 초고용량MLCC로 대표되는 고부가시장의 개척과 생산성향상을 통한 원가경쟁력 확보가 화두가 되고 있다. 세라믹후막기술의 구현 정도에 따라 초고용량 MLCC 개발에 필수적인 소형화 박층화기술의 발전방향이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이며, 특히 기초소재가 되는 유전체재료와 나노파우더 합성기술, 그리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제반 공정기술 및 설비 개발 등의 종합적인 전개를 통해 MLCC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 발전될 것으로 믿는다.

  • PDF

Sensitivity Design of Agricultural Tractor Seat (농용 트랙터 시트의 감성 디자인)

  • 김선웅;박세진;한상찬;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48-53
    • /
    • 2002
  • 일반적으로 어떤 제품을 평가할 때 제품이 가지는 기능적 속성 이외에 감성에 의해 제품을 평가하게 된다. 그 제품의 기능과 더불어 제품이 보이는 감각적 속성과 그 제품에 대한 추상적이고 개념적이며 일반적인 인지적 틀을 가지고 그 제품을 지각하게 되는 것이다.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민족 또는 국가 간의 다양한 생활문화에 반영된 감성이미지를 구체화할 수 없다면 디자이너가 만들어내는 제품이란 기능적 한계에 제한되기 마련이다 즉, 어떠한 제품의 개발에 앞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문제 중 하나가 바로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감성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the Formative Images of Products (제품의 조형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분석)

  • 김관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05a
    • /
    • pp.58-59
    • /
    • 1999
  • 오늘날 소비자에게 있어 제품의 이미지는 제품을 선택하는 중요 기준이 되고 있으며, 기업의 제품개발에 있어서도 제품의 이미지는 품질과 성능 못지 않게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성공적인 제품디자인의 개발을 위해서는 소비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이미지를 디자인에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중략)

  • PDF

유럽의 새로운 환경정책 동향 : 통합제품정책

  • 이광원
    • Environmental engineer
    • /
    • s.169
    • /
    • pp.26-30
    • /
    • 2000
  • (1) 통합제품정책의 배경 - 지속가능한 개발 달성을 위한 환경영향의 감소를 위해서는 공정 중심에서 제품 중심으로의 환경정책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 - EU에서는 새로운 환경정책 분야인 통합제품정책(Integrated Product Policy : IPP) 개발을 추진하여 이에 대한 연구과제 수행 및 워크숍을 개최하였고 올해에는 통합제품정책에 대한 녹서(Green Paper)를 발간할 예정 (2) 통합제품정책의 주요내용 - 정책의 개념 o (환경

  • PDF

제품 디자인을 위한 개체지향적 Virtual Prototyping에 관한 연구

  • 김동건;이건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70-75
    • /
    • 1998
  • 제품 인터페이스가 복잡성을 더해감에 따라 제품을 개발하는 디자인 프로세스도 그 성격이 바뀌어, 아 이디어 도출 단계에서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표현하는데에는 2차원의 그림만으로는 표현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제품이 어떻게 작동하고 어떤 방식으로 운용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림과 같은 평면적 인 표현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런 필요에 의해 생겨난 대표적 방법이 바로 Virtual Prototyping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Virtual Prototyping 이 디자인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위 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개발된 많은 Virtual Prototyping 제작 도구들이 제품 디자인에 바탕을 두고 개발된 것이 아니라 공학적인 기술구현이나 단순한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것들이여서, 대다수의 제품 디자이너들은 그 효용성에 대해 공감하지만 사용상의 어려움이나 적용한계를 이유로 Virtual Prototyping의 사용을 피하고 고전적인 방법을 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Virtual Prototyping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도구들을 디자인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장단점을 파악하여, 보다 제품 디자인의 Virtual Prototyping에 적합한 개발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PDF

A Platform of Product-Service Systems Modeling based on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한 제품-서비스 시스템 모델링 플랫폼)

  • Kim, Tai-Oun;Park, Sung-Tae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179-182
    • /
    • 2009
  • PSS (Product-Service Systems)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사용자의 경험을 들 수 있다. 제품개발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로서 고객의 요구 (customer requirement)와 니즈 (needs)가 언급되곤 한다. 고객의 요구나 니즈는 실제로 관련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해 본 고객의 경험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고객의 경험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추출하는 것이 성공적인 제품개발의 시작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 경험을 활용하는 제품-서비스 시스템 (UXPSS)을 위한 프레임워크 모델을 개발하고 샘플 제품에 대한 구현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경험, 제품의 서비스화, 서비스의 제품화, 서비스 사이언스, 기능분석 및 모듈화를 결합한 통합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구현해 본다.

  • PDF

A study of Key Success Factors in New Product Development -Focused on Korean Cosmetic Industry- (신제품개발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서성한;조서환
    • Asia Marketing Journal
    • /
    • v.2 no.3
    • /
    • pp.64-89
    • /
    • 2000
  • 기업의 사활은 신제품개발의 성공여부에 달려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국내에서의 신제품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는 그 기반이 미흡한 실정이다. 고로, 본 연구의 목적은 신제품 성공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성공요인간의 관계를 유추해 보는 것으로 한다. 본 연구논문은, Day & Wensley 의 SPP(Source-Position-Performance)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시장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1 개 기업에서 총 159 부를 수집하여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신제품개발 과정에서 마케팅 능력이 직접적으로 제품차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과 둘째, 임직원 몰입도가 부서간 통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셋째, 기술 능력이 단순히 뛰어나다 해서 제품을 차별화 시킬 수는 없다는 사실과 넷째, 부서간 통합정도가 직접적으로 제품차별화롤 가져올 수는 없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부서내 커뮤니케이션의 부족 및 부서간 갈등 둥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제품의 차별화가 신제품 성과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품이 출시되기 전에 철저한 시장 특성 및 동향을 파악하여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기술 능력이 회사마다 평준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정확한 소비자 조사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신제품개발이다. 또한 신제품개발과정에서 최고경영자 및 마케팅 담당자들은 주관적인 판단보다는 기업의 마케팅 능력에 따른 객관적인 판단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특히 화장품시장에서는 브랜드마케팅에 의해 더욱 차별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다. 단순한 제품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것이 마케터의 역할이다. 기업은 단순히 제품만을 파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에게 제품이상의 것을 판다, 그래서 소비자의 마음속에 정확하게 자사 제품을 포지션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 PDF

한.일의 IMS기술개발사업과 공업소유권 Issue

  • 강무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0 no.2
    • /
    • pp.7-13
    • /
    • 1993
  • 제조업의 경쟁력을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력이 좌우한다고 할 때 기술은 크게 제품기술과 생산기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품기술의 혁신(Product Innovation)은 모든 과학 및 공학부문의 기초, 응용기술을 집약하여 최종 사용자의 구매의욕을 유발시킬 수 있도록 제품의 기능과 형상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오늘날 하나의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소형, 경량화, 다기능 통합화, 에너지 절감 형, 지능형제품개발 외에도 기업의 Identity에 부합하는 이미지 제품의 개발(예: 독일 제품은 튼튼하다, 쏘니제품은 스마트하다 등), 신기술이 접목된 신제품 개발에 의한 신규 수요 창출 등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제품의 수명주기 상에서 볼 때 성숙기 또는 쇠퇴기에 있는 제품들이 주력산업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산업에서는 부가가치가 적기 때문에 환율이나 유가변동과 같은 외부의 충격에도 경제 전체가 흔들리는 상황을 맞게 된다. 반면에 일본이나 독일은 부가가치가 가장 큰 성장기의 제품을 주력산업으로 하면서 도입기/발아기 제품을 다음 주력 상품으로 준비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웬만한 충격을 충분히 소화시키면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주력 산업을 여하히 부가가치가 높은 성장기/도입기의 제품으로 이전하느냐 하는 것이 우리 경제가 안고 있는 근본적인 숙제이며 이를 풀기 위하여는 제품기술혁신을 위한 투자와 노력을 인내심 있게 장기적으로 경주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