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품이미지

Search Result 79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Relationships among the Country Image, Product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 및 구매의도의 관계)

  • Xiong, Jian-Yong;Wu, Yan-Yan;Kim, Won-Kyu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2
    • /
    • pp.267-273
    • /
    • 2010
  • This study is about to reveal the connections and the importance of China's country image, product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ummary. First, in country's national image, except political image, economic image and cultural image have a positive (+) impact on the product image is true. Secondly, a country's product image have a positive (+)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consumer tend to improve purchase intention when China's product image increase. In summary,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can obtain the best positive result, when a country's national image is set as the core factor, which combines and improves concurrently with one's product image.

A comparison of sensibility image across nations : The evaluation of product image based on the color and concept image scale (국가 간 감성이미지의 비교 연구 : 색채와 언어 이미지 척도를 이용한 제품 이미지의 평가)

  • 신수길;한광희;황상민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161-169
    • /
    • 1998
  • 제품의 “감성이미지”란 제품의 기능과 함께 제품의 전달하는 감각적 요소 그리고 사용자가 제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개념적 표상을 통합하는 이미지이다. 감성이미지의 국제 비교 연구는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구가나 문화의 맥락 속에서 해석하고, 이들 이미지를 상호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생활문하 속에서 사용자들이 제품에 대해 가지는 감성이미지를 계량적으로 규명하고 비교 평가하며, 이 정보를 기초로 각국의 문화와 정서에 적합한 제품 디자인의 모형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활동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시되었다. 먼저, 각 문화 집단을 특징 지울 수 있는 표상개념으로 “언어 이미지” 스케일을 구성하였다. 이 언어 이미지에 대응하는 디자인 요소로 색채를 활용하여, 언어 개념과 색채 요소에 상응하는 자동차 제품의 감성 이미지가 각 문화 집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각 문화 집단들이 특정 제품에 대해 적용하는 감성 이미지는 언어와 색체 요소로 구체화 될 뿐 아니라, 이들 집단이 형성한 사회적 표상(social representation)의 개념으로 비교될 수 있는 것을 보이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the Formative Images of Products (제품의 조형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분석)

  • 김관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05a
    • /
    • pp.58-59
    • /
    • 1999
  • 오늘날 소비자에게 있어 제품의 이미지는 제품을 선택하는 중요 기준이 되고 있으며, 기업의 제품개발에 있어서도 제품의 이미지는 품질과 성능 못지 않게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성공적인 제품디자인의 개발을 위해서는 소비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이미지를 디자인에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rporate and Product Image Alignment (기업 이미지에 정합적(整合的)인 제품 이미지 구축 방법)

  • Kim, Hyu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4
    • /
    • pp.77-85
    • /
    • 2001
  • In order to sustain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strategic product differentiation in global market,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ment of strategic design conditions for domestic manufacturing firms through the means of product image alignment and positioning, using visual character of product as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corporate image. Case studies on how globally successful multinational companies manage design strategy and corporate culture uniformly for coherent product image management are reviewed. To establish product image alignment methodology for manufacturing firms, the criteria for product image positioning and aligned product image development process are developed in three stages. First, in image positioning stage, it is important to set the direction for corporate image and design strategy by identifying consumer needs through market trends analysis and forecasting as well as comparative positioning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irms's own corporate image and that of the competitor's. Second, in awareness building stage, before building the product image alignment, firm-wide shared awareness of differentiated corporate and product image, establishment of designer's role as the consolidated manager of product image, sharing form language, and building the infrastructure for defining form information should be preceded. Third, in managing the aligned product image stage, the condition for setting up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guideline, management of decision making process for arriving at logical decisions on product form,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increasing efficiency and its evaluation system, and co-development of related design should be induced. Further research on the product image alignment with corporate image should be conducted through various empirical studies on image and form, building an information system of related design language, and continuous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pplied solutions.

  • PDF

국가 간 감성이미지의 비교 연구 - 색체이미지 척도를 이용한 제품 이미지의 평가 -

  • 신수길;한광희;황상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22-27
    • /
    • 1997
  • 특정 제품이 가진 "감성 이미지"란 그 제품의기능과 함께 제품의 감각적 요소 그리고 사용자가 제품에 대해 가진 개념적인 사고 과정의 산물이다. 감성이미지의 국제 비교 연구는 사용자가 특정 제품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국가나 문화의 맥락 속에서 상호 비교 평가하여, 각 국가나 사회집단을 특팅지울 수 있는 문화적 감성 요소를 추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각 국가의 생활문화 속에서 사용자들이 제품에 대해 가지는 감성이미지를 계량적으로 규명하고 비교 평가하며, 이 정보를 기초로 각국의 문화와 정서에 적합한 제품 디자인의 모형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우선, 자동차 제품을 중심으로 '제품 이미지'를 나타내는 '언어 이미지'스케일을 각 문화 집단 별로 구성한다. 이 제품 이미지에 대비하여, 감성적 요소로 선정된 표준 색채 스케일을 중심으로 나타난 집단의 '이미지'를 상호 비교 평가한다. 이 경우, 각 국가별 집단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제품의 주요 특성이 감성 이미지로 표현되는 색채 이미지에 어떻게 반영되는가를 상호 비교한다. 이 연구에서는 특정 지역의 사람들이 제품에 적용하는 감성이미지는 색채나 기타 감성 요소에 대한 선호의 문제가 아니라 그 집단의 사람들이 그 제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사회적 표상의 반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품의 이미지가 각 국가별로 공유되는 감성 이미지로 변환되기 위해서는 동일한 의미나 상징성을 지닌 감성 요소를 활용하여 그 제품의 이미지를 포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는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문화 집단들이 특정 제품에 대해 가지고 있는 사회적 표상(social representation) 체계를 색채스케일에서 나타난 감성 이미지를 통해 구체화하는 것이다.로서는 방전효율의 저하가 없는 양호한 성능을 보였으며, SC의 시범 작동시험을 실차(소나타 1800cc)에 장착하여 수행한 결과 20회 이상의 연속시동에서도 아무런 문제점 없이 잘 동작하였다.되는 데이타를 입력한후 마우스로 원하는 작업의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방법을 타액과 혈청내 testosterone 농도 측정에 응용하여 RIA의 결과와 비교하여 본 바 상관관계가 타액에서 r=0.969, 혈청에서 r=0.990으로 두 결과가 잘 일치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된 한국인 여성의 타액내 tes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

  • PDF

The Influence of Global Sport Event on the Korean image, product image, purchase intention and revisit intention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가 한국인이미지, 제품이미지, 구매의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Wan;Kim, Ki-tak;Kim, Hong-s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25-43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of Korean image, product image, purchase intention and revisiting intention according to winning at the global sport event. The intercollegiate students attending in Korea were selected for the sample of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Regress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2.0.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 First,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ctors - the Korean image, product image, purchase intention and revisit intention - before and after the global sport events. Second,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ctors before and after the global sport events due to the event involvements.

  • PDF

The Effects of Consumers' Psychological Responses to Product Design on Brand Image and Brand Equity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Na, Kwang-Jin;Kwon, Min-Taek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1 no.4
    • /
    • pp.653-667
    • /
    • 2008
  •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design,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consumers' behavioral responses to product design and especially, the empirical studies which are related to consumers' psychological responses to product desig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to product design and brand image or brand equity is limited.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design image which can be formed by the response to product design on brand image and equity in two kinds of product types (utilitarian and symbolic product).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duct design image has a strong effect on the brand image in both products. Design image of the product influences brand equity in the symbolic produc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the product design image on brand equity in the utilitarian product. In addition, the research found that brand image has a strong effect on brand equity in both products.

  • PDF

Product Image Concentration System as a Design Strategy to Build Corporate Brand Image (기업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디자인 전략으로서의 제품 이미지 집중 체계)

  • Kim, Hyu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2
    • /
    • pp.375-384
    • /
    • 2003
  • This study is on the strategy for establishing successful corporate brand image, by understanding the need for increasing brand value based on the level of brand recognition. In order to carry this out, the PICS (Product Image Concentration System) is suggested, which includes Brand Image Analysis on a high-level, Product Image Programming based on the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and Product Image Coherency Assessment and Management, resulting in setting up a guideline for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 and brand management. Brand Image Analysis is a method that utilizes image association to understand brand disposition by analyzing the association pattern among available visual materials to measure the corporate and brand image inclinations. As the next step, Product Image Programming establishes design philosophy and principles based on the analysis of brand image, and the Visual Programming is a process for visualizing the intended product image direction. Lastly, Product Image Coherency Assessment examines whether to incorporate design philosophy and principles or not to arrive at an agreed evaluation criteria for developing designs coherent with the brand image. The PICS (Product Image Concentration System) is a practical method for increasing a company' competitive advantage and managing brand. The expectation on this system is to provide a guideline for applying brand image in design process more objectively. For further study, diversification of image spectrum based on expressive keywords and comparative analysis on images as well as a product image interpretation program to understand the order of visual materials will be necessary.

  • PDF

Clothing Products Evaluation according to Self-Image and Clothing Attitudes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른 의류제품평가)

  • Lee, Sun-Jae;Kim, Eun-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7 no.12
    • /
    • pp.1424-1433
    • /
    • 2003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에 있어 개인적ㆍ심리적 요인인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는 다차원적인 구조를 가지며, 외관적, 성능적, 외재적, 표현적 요소로 세분화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와 의복태도에 따라 의류제품 평가기준과 의복선호스타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이들이 소비자의 의류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자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는 감성이나 이미지와 같은 요소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최근의 의류시장의 경향에 부합하여 시장세분화의 효과적인 변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자기이미지 및 의복태도를 통해 세분화된 표적시장 소비자들이 보다 중요시하는 의류제품평가의 차원들을 파악하고 이를 강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An Empirical on the Re-purchase Intention and Product Satisfaction for American Image (미국 국가이미지에 따른 제품만족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실증분석)

  • Lee, Je-Hong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3 no.1
    • /
    • pp.55-76
    • /
    • 2011
  • America is traditionally friendly to South Korea. Last year in 2008, U.S. exports to South Korea totaled $32.4 billion. The U.S. and Korean must reciprocate economic ex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measure the re-purchase intentions and product satisfaction in America image. The major result of artic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actors of this article have been divided into 'society safety', 'industrialization level', 'economic image', 'political image', 'cultural image', and 'the character of a nation'. In the empirical result of the article, the goods satisfaction for America country image would be shown in the results. The first, 'society safety', 'industrialization level', 'the character of a nation' are significantly positive statistically to goods satisfaction. The second, 'economic image', 'political image', 'cultural image' are not as significantly positive statistically spea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