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품위험위기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Effects of Corporate Corresponding Time on the Negativity Publicity (부정적 언론보도에 대한 기업의 대응시점 효과)

  • Jongchul Park;Woojun An;Hanjun Lee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2 no.4
    • /
    • pp.113-136
    • /
    • 2011
  • Product harm crises can distort long standing favorable equality perceptions, tarnish a company's reputation, cause major revenue and market-share losses, lead to costly product recalls, and devastate a carefully nurtured brand equity. However, in spite of the devastating impact of product-harm crises, little systematic research exists to asses its marketing consequences.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negative publicity about companies and their products. Namely, this study presented how inclusion effect suppor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ublicity and consumers' response, marke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after negativity publicity was happened, it was appeared that the negativity image spread into other product lines(spillover effect; inclusion effect). Also, when they contact with the negative publicity, respondents negatively evaluated both production evaluation and corporate evaluation. And, in that case of the products with negativity publicity, compared with refutation strategy(defense strategy<study 2>), improving strategy(correction notice) had positive influence on recovery of sales, product evaluation, and corporate evaluation. Finally, as the reaction time toward negativity publicity was faster, the market performance got worse. Especially, according to two-way interaction, when the reaction time was fast, the difference between refutation strategy(defense strategy<study 2>) and improving strategy was not existed in product evaluation and corporate evaluation. However, when the reaction time was late(after a month), improving strategy had more positive evaluation than defense strategy in product evaluation, and corporate evaluation.

  • PDF

제품안전경영체계에서의 리스크 관리의 역할

  • 이동하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1.05a
    • /
    • pp.23-23
    • /
    • 2001
  • 제조물 결함에 의한 기업의 배상책임은 전형적인 기업의 리스크로서 전통적으로 투자, 금융, 보험, 위기 관리, 시스템 안전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리스크 관리 기법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현재 일부 선진국에서는 리스크 관리 기법을 규격화하여 각 조직 활동에 잠재된 위험 요소로부터의 손실을 예방하고 기회 이익을 구현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발표된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일본, 영국, 유럽연합 등의 나라에서 규격화하고 있는 리스크 관리기법에 대해 비교 검토하고 그 장단점 및 특징을 조사하였다. 또한 제조물 결함에 따른 기업의 배상 책임에 대비하여 기업이 제품 안전 경영체계를 수립하는데 리스크 관리 기법이 적절히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토의하였다.

  • PDF

A Case Study of Water Companies'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 (환경변화에 따른 물기업 대응 사례 연구)

  • Kim, ShangMoon;Lee, HwaR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70-70
    • /
    • 2022
  • 도시화와 산업화, 그리고 인구 증가 등은 우리사회에 기후변화라는 재앙으로 다가오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후변화는 기업에 영향을 미치어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즉, 기후변화는 기업이 경영함에 있어 물 공급의 부족 등과 같은 물리적 리스크를 제공하는가 하면 요구 기술의 변화, 시장의 변화 등 전환 리스크(transition risk)로 작용하여 기존 제품 및 서비스의 생존을 어렵게 하는가 하면 기업의 자산 가치에 변화를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시장환경 변화에 글로벌 기업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를 검토·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단순히 위기로만 다가오지 않는다. 기후변화는 기업에게 물부족 등의 물리적 위험과 사회적 규제, 새로운 기술 수요 등 리스크로써 영향을 미치는 한편 탄소 시장 형성 등의 기회로도 작용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기업들은 위기이자 기회인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ESG 성과 측정'을 도입, 대응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사례로는 투자기관인 골드만삭스에서 기후변화 대응을 정부규제, 이해관계자, 경쟁환경 변화 등 3가지 관점에서 대응하는가 하면 독일계 화학회사인 BASF는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ESG 요소의 관점에서 평가하여 매년 발표하고 있다. 한편 국내 기업으로는 SK그룹이 대표적인데, 동사는 사회적 가치 평가 결과를 임직원 핵심성과지표(KPI)에 반영함으로써 경영현장에서도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도록 시스템화하고 있다.

  • PDF

Feasibility Study for Technology and Policy on Water Footprint Introduction (물발자국 도입의 기술적·정책적 타당성 분석연구)

  • Park, Sung Je;Park, Nu Ree;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65-265
    • /
    • 2015
  •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한정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도적 규제는 앞으로 기업의 제품 생산에서 발생하는 오염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기관투자가 등이 지원하는 영국의 NPO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는 2010년부터 온실가스배출량과 함께 물 사용 상황을 공개할 것을 전 세계 기업에 요구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에서 탄소발자국과 물발자국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다. 우선 본 연구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물발자국 개념의 활용현황을 분석하였다. 호주와 미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는 물발자국의 라벨 제도를 도입하여 기업의 제품에 대한 등급을 구분하고 있다. 라벨의 부착은 인증기관의 검토를 통하여 기존 제품보다 물 사용 효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물발자국 라벨제도는 제품 생산의 전 과정 환경성 평가를 통하여 기업이나 제품의 물발자국 관련 영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스페인에서는 물발자국을 물의 효율적인 분배와 사용을 위한 정책적 요소로 도입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물발자국의 기술적 활용 및 효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법과 제도적 측면, 기술적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우리나라의 현황과 비교를 진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분야별 기술 사업에 대한 목표와 최종성과물, 활용방안을 정리하여 해당 개념의 주요쟁점사항에 대해 기술적, 정책적으로 타당한지를 지표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물발자국의 활용에서 기술적 타당성에 대한 지표는 적절성, 성공가능성, 우수성, 경제성 측면에서 제시가 되었으며, 정책적 타당성은 해당계획 및 기업 및 지자체의 추진의지, 위험요인, 특수평가 항목을 통해 개업 및 지자체의 물발자국 활용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상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물발자국 도입을 위한 종합평가로서 AHP 분석을 실시하여 물발자국 도입을 위한 중요도와 종합목적 및 위기상황에 따른 대체안을 설정할 수 있도록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본격적인 정책적 도입에 앞서 개념의 정의, 정책 공감대의 확대, 한국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시범단계에 있다. 물 산업의 확대와 우리 기업들의 해외진출은 가상수와 물발자국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시급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물발자국 도입을 위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큰 의미를 지니며, 기업의 물산업 전략을 수립을 위한 지표 설정에 있어서도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Potential Risk of Sports Sponsorship: Categorization of Crisis and Developing Contingency Plans in Perspective of SCCT (스포츠 스폰서십의 잠재적 위험: SCCT를 적용한 위기 유형 분류와 대응전략 개발)

  • Shin, Seongy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0
    • /
    • pp.214-221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egative effects of sports sponsorship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s sports celebrities and the products advertised by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e main effects of sports celebrities' responsibility level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the sports celebrity and his/her products in cases of negative incidents. Furthermore, the moderating roles of sports celebrities' response strategies were identified. Data were collected from 135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a questionnaire. The data from nine participants were discarded because of disingenuous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thus,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126 participant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of the obtained data revealed that a sports celebrity's responsibility level has negative effects on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sports celebrity and the product.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ports celebrity's response strategies were also significant.

Analysis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Korea's Cyber Security Systems Regulations and Policies

  • Park, Dong-Kyun;Cho, Sung-Je;Soung, Jea-Hyen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18
    • /
    • pp.169-190
    • /
    • 2009
  • Today, the rapid advance of scientific technologies has brought about fundamental changes to the types and levels of terrorism while the war against the world more than one thousand small and big terrorists and crime organizations has already begun. A method highly likely to be employed by terrorist groups that are using 21st Century state of the art technology is cyber terrorism. In many instances, things that you could only imagine in reality could be made possible in the cyber space. An easy example would be to randomly alter a letter in the blood type of a terrorism subject in the health care data system, which could inflict harm to subjects and impact the overturning of the opponent's system or regime. The CIH Virus Crisis which occurred on April 26, 1999 had significant implications in various aspects. A virus program made of just a few lines by Taiwanese college students without any specific objective ended up spreading widely throughout the Internet, causing damage to 30,000 PCs in Korea and over 2 billion won in monetary damages in repairs and data recovery. Despite of such risks of cyber terrorism, a great number of Korean sites are employing loose security measures. In fact,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company with millions of subscribers has very slackened security systems. A nationwide preparation for cyber terrorism is called for.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will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cyber security systems and its laws from a policy perspective, and move on to propose improvement strategies. This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solutions. First, the National Cyber Security Management Act should be passed to have its effectiveness as the national cyber security management regulation. With the Act's establishment, a more efficient and proactive response to cyber security management will be made possible within a nationwide cyber security framework, and define its relationship with other related laws. The newly passed National Cyber Security Management Act will eliminate inefficiencies that are caused by functional redundancies dispersed across individual sectors in current legislation. Second, to ensure efficient nationwide cyber security management, national cyber security standards and models should be proposed; while at the same time a national cyber security management organizational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to implement national cyber security policies at each government-agencies and social-components. The National Cyber Security Center must serve as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analysis and processing point for national cyber crisis related information, oversee each government agency, and build collaborative relations with the private sector. Also, national and comprehensive response system in which bot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participate should be set up, for advance detection and prevention of cyber crisis risks and for a consolidated and timely response using national resources in times of crisis.

  • PDF

Rhetorical Analysis of News Editorials on 'Screen Quota' Arguments: An Application of Toulmin's Argumentation Model (언론의 개방담론 논증구조 분석: 스크린쿼터제 관련 의견보도에 대한 Toulmin의 논증모델과 Stock Issue의 적용)

  • Park, Sung-Hee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36
    • /
    • pp.399-422
    • /
    • 2006
  • Whether to reduce the current 'screen quota' for domestic films in conjunction with the FTA discussion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s one of the hotly debated issues in Korea. Using Toulmin's Argumentation Model, this study attempts to trace the use of data and warrants for each pro and con claims as portrayed in newspaper editorial columns and to find its rhetorical significance. A total of 67 editorial columns were collected from 9 nationwide news dailies in Korea for the purpose. The rhetorical analysis of those articles showed that the major warrants used in each pro and con opinion were absent of the potential issues of the opponents, which inherently fails to invite rebuttals from the opposite sides. This conceptual wall in each argumentation models implies an inactive conversation and subsequent absence of clash between the pro and con argumentation fields. It is thus suggested for opinion writers to find more adequate evidences to support the data and warrants to hold persuasive power of their respective claims, ultimately to enhance the public discourse among citize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