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주 연안해역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31초

짧은수염대구 (Laemonema nana Taki; 국명신칭) 자치어의 형태 발달 (Larval morphology of Laemonema nana Taki (Moridae))

  • 김성;유재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3-37
    • /
    • 2000
  • 1998~1999년 제주도 연안에서 봉고네트와 트롤형자 치어네트로 체장 1.4~10.5 mm의 Laemonema nana 자치어가 총 28개체 채집되었다. 이 종은 제주도 연안을 포함한 주변해역, 대한해협, 동해남서부해역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성장에 따른 Laemonema nana 자치어의 체형변화는 다음과 같다. 1) 지느러미의 여린줄기는 체장이 약 4.5 mm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약 6.8mm는 정수에 달하였다. 2) 머리 꼭대기에 있는 2개의 큰 흑색소포는 체장이 4 mm 이하의 개체에서 볼 수 있다. 3) 꼬리 중앙에 있는 큰 흑색소포는 체장이 2 mm 이하는 1개이지만 성장함에 따라 체장이 약 9 mm에서는 꼬리자루 부근까지 확산되었다. 4) 뒷지느러미 기부의 커다란 흑색소포는 체장이 약 2 mm 이하는 2개이지만 성장함에 따라 꼬리지느러미쪽 방향으로 확산되며 체장 9 mm의 경우 뒷지느러미 기부의 2/3 정도를 차지한다. 5) 국내 미기록 어종인 Laemonema nana의 한국명은 수염모양의 배지느러미가 동일속 어류보다 짧기 때문에 "짧은수염대구"로 명명하고자 한다.

  • PDF

위성 자료를 이용한 제주도 주변해역에 나타나는 중국대륙연안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ina Coastal Water Appeared in the Surrounding Seas of Jeju Island Using Satellite Data)

  • 윤홍주;조한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83-386
    • /
    • 2005
  • 중국 대륙연안수(CCW;China Coastal Waters)는 해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보통 하계인 6월${\sim}$10월 사이에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즉, 6월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8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10월로 접어들면서 그 세력이 점차 소멸해간다. 1995년${\sim}$1999년 조사기간 중 중국대륙연안수는 1996년과 1999년에 매우 뚜렷하게 나타났다. 주성분분석을 하기 전의 해수면 편차와 해수면 온도의 위성 데이터 원 자료에 대한 파워스펙트럼 분석에서는 station b에서 연 주기(약 365일), 반년 주기(약180일)가 뚜렷하게 나타났지만, 주성분분석을 한 후에는 주기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해수면 편차에 대한 주성분분석에서의 파워스펙트럼 분석은 43일 주기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고, 해수면 온도에 대한 주성분분석에서의 파워스펙트럼 분석은 250일 주기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해수면 온도의 계절에 따른 온도분포는 다소 다르지만 황해 해역과 동지나 해역을 구분 짓는 뚜렷한 수온 경계를 이룬다. 이온도의 경계해역을 따라서 중국대륙연안수가 흐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산 산호충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2. 돌산호목 (A Systematic Study on the Korean Anthozoa 12. ORder Scleractinia)

  • 송준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1호
    • /
    • pp.127-150
    • /
    • 1991
  • 한국산 산호충류 중 돌산호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하기 위하여 1969년부터 1986년까지 우리나라의 삼면연안과 도시지방(35개지역)으로부터 채집된 표본들을 동정 분류하고 지리적 분포도 고찰하였다. 그 결과 5아목 7과 15속 24종이 밝혀졌으며 이 중에서 7종은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한국산 돌산호류를 분포형으로 보면 열대형(16종, 66.7%)과 온대형(8종, 33.3%)으로만 되어있고, 해역별로 보면 제주도 해역에 16종(4온대종,12열대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분포하였으며 황해에 3종 (2온대종, 1열대종)으로 가장 적은 종이 분포하였다. 해역간 유사계수를 근거로 보면 대한해협과 동해 사이의 유사성(0.596)이 가장 크고, 황해와 제주도해역 사이의 유사성(0)은 전혀없었다.

  • PDF

제주도 연안해역의 폭풍해일고 산정 (A Height Simulation on Storm Surges in Jeju Island)

  • 양성기;김상봉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59-472
    • /
    • 2014
  • Storm surge height in the coastal area of Jeju Island was examined using the Princeton Ocean Model(POM) with a sigma coordinate system. Amongst the typhoons that had affected to Jeju Island for six years(1987 to 2003), the eight typhoons(Maemi, Rusa, Prapiroon, Olga, Yanni, Janis, Gladys and Thelma) were found to bring relatively huge damage. The storm surge height of these typhoons simulated in Jeju harbour and Seogwipo harbour corresponded relatively well with the observed value. The occurrence time of the storm surge height was different, but mostly, it was a little later than the observed time. Jeju harbour showed a higher storm surge height than Seogwipo harbour, and the storm surge height didn't exceed 1m in both of Jeju harbour and Seogwipo harbour. Maemi out of the eight typhoons showed the maximum storm surge height(77.97 cm) in Jeju harbour, and Janis showed the lowest storm surge height(5.3 cm) in Seogwipo harbour.

3차원 해수유동모델에 의한 제주항 연안해역의 해수순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in the Coastal Area of Jeju Harbor Using the Three Dimensional Ocean Circulation Model)

  • 양태혁;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79-686
    • /
    • 2011
  •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in the coastal area of Jeju Harbor in Korea was examined using the Princeton Ocean Model(POM) with a sigma coordinate system. The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well corresponded to the observed current data. The velocity at offshore was stronger compared to coastal area during the both period of in maximum flood and maximum ebb of spring tide. According to mean wind velocity, the tidal velocity at the shallow area of Jocheon was slightly increasing during maximum ebb. The effect of wind on the circulation was stronger in shallow area and showed rapid change with depth.

Landsat-7 ETM+ 영상을 이용한 제주 주변 해역의 해저 용출수 분포 지역 추정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Distribution Area using Landsat-7 ETM+ images around Jeju island)

  • 박재문;김대현;양성기;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811-818
    • /
    • 2014
  • 본 논문은 Landsat-7 ETM+ 영상의 열적외 밴드를 이용하여 제주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온도 분포 영상을 제작하여 해저 용출수를 탐지하고자 하였다. 해수면 온도 분포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온도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위성영상의 DN 값을 온도 값으로 변환하여 해수면 온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해저 용출수 예상 지역 추정은 해수면 온도 분포 영상에서 해저 용출수의 온도로 판단되는 $15{\sim}17^{\circ}C$ 범위를 추출하는 것인데, 계절적으로 해수면 평균 온도와 해저 용출수 온도의 차가 많이 발생하는 여름철 영상(2006년 7월 28일과 2006년 8월 29일, 2008년 9월 19일)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의 동북부 연안에서 해저 용출수로 추정되는 지역이 일부 나타났다.

한국 연근해 갈치의 재생산에 관한 연구 - 성숙과 산란 -

  • 차형기;김주일;이동우;박차수;김순송;황강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00-301
    • /
    • 2003
  • 갈치 (Trichiurus lepturus Linnaeus)는 우리나라 서해 및 남해, 동중국해, 발해, 일본 서부 및 류슈 연안 등 한국 주변 수역에 넓게 분포하는 난류성 저어어종이다. 우리나라 갈치의 주어장은 EEZ 설정 후 어장이 많이 축소되어 최근에는 흑산도, 제주도 인근의 서해남부 및 제주도 서방해역에서 근해안강망, 쌍끌이기선저인망, 대형트롤, 대형선망, 근해채낚기 등에 주로 어획된다. 우리나라 갈치의 어획량은 1970년대 초반에는 급격한 증가추세로 1974년에 17만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후 1977년에 7만톤 수준으로 떨어졌고, 1997년부터 다시 높은 수준으로 회복 되면서 1983년에 다시 15만톤의 어획을 기록하였다. (중략)

  • PDF

제주도와 남해 해역의 한국산 올챙이새우류 (Cumacean Fauna of Southern coast and Chejudo Island in Korea)

  • Chang Mok Lee;Kyung Sook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1호
    • /
    • pp.83-105
    • /
    • 1999
  • 1997년부터 1998년 사이에 제주도를 포함한 남해연안의 25개 지점에서 채집된 올챙이새우류를 동정한 결과 4과 13종이 동정되었다. 그들 중 Nannastacidae (꼬마올챙이새우)과에 속하는 3 한국미기록종, Campylaspis pumila Gamo, 1960, Cumella alveata Gamo, 1964 그리고 Cumella glaberata Gamo, 1962가 확인되어 보고한다. 이들 가운데에, C. alveata의 암컷에 관한 기재는 학계에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다. 또한 이들 3종의 구기부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추가한다.

  • PDF

제주도 연안의 해조류 분포 특성을 이용한 생태학적 평가 (Ecological Evaluation Using Seawee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long the Coast of Jeju Island)

  • 조성환;노영석;원승환;김수강;정상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27-638
    • /
    • 2022
  • 본 연구는 제주도 연안의 해역별 해조류 분포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8년 5월부터 12월까지 제주도 본섬 4개 정점과 유인도서 2개 정점의 마을어장에서 수행되었다. 해조류는 총 101종으로 녹조류 13종(12.9%), 갈조류 24종(23.8%) 그리고 홍조류 64종(63.4%)이 출현하였다. 계절별로는 5월에 가장 많은 해조류가 출현하고, 10월에 가장 적게 출현하는 전형적인 온대해역의 특징을 나타냈다. 수심별 해조류 출현 종수는 5m와 8m에서는 66종과 65종으로 유사하였으며, 12m에서는 74종으로 최대였다. 해역별로는 도서해역인 우도에서 66종으로 가장 많은 해조류가 출현하였고, 본섬의 동부 표선에서 27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가운데 중요도가 높은 해조류는 감태(Ecklonia cava)와 둘레혹산호말(Corallina crassissima)로 각각 21.1%와 20.3%를 나타냈으며, 방황혹산호말(Corallina aberrans) 9.2%, 에페드라게발(Amphiroa ephedraea) 6.2% 그리고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4.4%의 중요도를 나타냈다. 해조류 중 산호말류는 평균 11.2종이 출현하였고, 각 해역의 산호말류 중요도는 평균 32.6%로 우도에서 14.7%로 가장 낮았고, 표선에서 가장 높은 41.0%를 차지하였다. 해조류 군락의 생태학적 평가지수(EEI)는 2.1~10.0으로 표선의 5월과 6월 12m에서 가장 낮았고, 그 밖의 다른 해역에서는 평균 7.3이상으로 좋은 상태를 나타냈다. 본 조사에서 설정한 생태등급기준 I 등급은 우도와 추자도의 수심 12m이었으며, II 등급은 사계와 추자도의 수심 5 m와 8 m가 해당되었다. III 등급은 표선과 귀덕2의 수심 5m와 12m, 평대의 수심 5m와 8m가 해당되었으며, IV 등급은 귀덕2의 수심 8m가 해당되었다.

남해 서부연안의 수괴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Changes in Water Masse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Western Part of South Coastal Waters, Korea)

  • 정승원;박종규;정도현;임동일
    • 환경생물
    • /
    • 제30권4호
    • /
    • pp.328-338
    • /
    • 2012
  • 남해 서부 연안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환경요인의 계절별 변화를 관찰하고자 2009년 4월부터 2010년 2월까지 계절별 조사를 수행하였다. 환경요인의 변화는 multidimensional scaling (MDS)에 따라 수괴의 변화를 분석하였을 때, 남해 연안역 수괴 (SW; South-western coastal Water mass) 및 남쪽에서 유입되는 고염의 외양 수괴(TW; Tsushima current Water mass), 서쪽 제주해협을 통해 유입되는 저염의 서해 연안수괴 (YW; Yellow sea Water mass), 그리고 해안의 하천으로부터 계절적으로 유입되는 담수(CW; Closed bay Water mass)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들 수괴는 해양 환경의 시 (계절) 공간적 특성에 따라 발달과 확장 및 축소되고 있었다. 즉, 연안에서 외해역 또는 외해역에서 연안 방향(남-북 방향) 그리고 서쪽(진도 주변 해역)에서 동쪽 방향 (동서 방향)의 농도 경사를 보인다. 이러한 남-북 방향의 공간 변동은 연안에서 하천과 지하수로 유입되는 연안 담수(낮은 염분과 높은 영양염 농도)와 대마 해류(고염분과 저영양염) 사이의 혼합에 의한 것이며, 동-서방향의 공간 변동은 제주해협을 통해 남해 연안으로 유입되는 서해의 연안수(저염분과 고영양염)와 대마 해류 사이의 혼합에 의해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식물플랑크톤은 고영양염을 보인 서해 연안수 및 여자만, 득량만에서 높은 개체수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별 특성은 규조류가 90% 이상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대마 해류 수괴에서 와편모조류가 상대적으로 높아 수괴 특성에 따른 분류군의 차이를 보여 수괴가 갖는 기원적 특성 (original characteristics)의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