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주의료원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oxoplasma antibody titers by indirect latex agglutination test in patients of Kangnam St. Mary's Hospital and Cheju Medical Center (강남성모병원과 제주의료원 내원 환자의 간접 Latex 응집 반응에 의한 Toxoplasma 항체가)

  • 최원영;남호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27 no.3
    • /
    • pp.171-176
    • /
    • 1989
  • Total 2,829 persons consisted of 1,019 general patients and 1,030 asthma- suspected patients who visited Kangnam 51. Mary's Hospital and 780 general patients who visited Cheju Medical Center were examined for the antibody titers of Toxo- plasma by indirect latex agglutination(ILA) test. Nineteen out of 1,019(1.86%) cases in general patients group, 11 out of 1,030 (1.07%) cases in asthma patients group, and 45 out of 780(5.77%) cases in Cheju patients group showed positive ILA titers. Concerned with the age and ILA positive cases, general and asthma patients ex- pressed more cases at thirties to sixties while Cheju patients showed high incidence at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ddition to the above mentioned ages. Frequencies of ILA positive titers were highest in 1 : 32 and 1 : 64, and some cases showed 1 : 2,048 or higher titers.

  • PDF

현상설계경기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6 s.338
    • /
    • pp.113-118
    • /
    • 1997
  • PDF

제주도내 보건진료원의 업무분석에 관한 연구

  • Hyeon, In-Su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 no.1
    • /
    • pp.183-184
    • /
    • 1989
  • 제주도내 보건진료원의 업무분석 및 보건진료소 이용에 관한 사항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주도내에 근무하는 보건진료원 43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86년 10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이며, 43명 중 37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보건진료원의 분포, 업무배경, 의료자원, 이용주민수 및 업무수행 등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PDF

Extracorporeal repairs of small bowel via mini-laparotomy after a single incision diagnostic laparoscopy in patients with small bowel perforations after blunt trauma (소장천공을 동반한 외상환자에서 단일공을 통한 진단적 복강경 후 최소절개를 통한 체외 소장복구: 증례 보고)

  • Yang, Youngro;Kim, Kwang Sig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v.16 no.1
    • /
    • pp.13-16
    • /
    • 2019
  • In a patient with blunt abdominal trauma with small bowel injury, early diagnosis is clinically challenging due to unclear clinical symptoms and signs in the early stage of an injury. On the other hand, a delay of diagnosis of bowel disruption may lead to increased complication and mortality. The diagnostic laparoscopy is very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the small bowel injury. Laparoscopy can reduce unnecessary open surgery in a patient with blunt abdominal trauma with subtle symptoms and imprecise findings o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Also it can prevent delay of treatment and be converted immediately to open surgery as soon as bowel damage is revealed. Furthermore, extracorporeal repair of small bowel via mini-laparotomy after a single incision diagnostic laparoscopy in a patient with traumatic small bowel perforation was a feasible and saf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laparoscopy. We are pleased to introduce successfully treated cases by extracorporeal repair of small bowel via mini-laparotomy after a single incision diagnostic laparoscopy in a patient with small bowel perforation after blunt trauma.

ACLS Simulation Examinati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Paramedic students (한국과 미국 응급구조 학생간에 전문심장구조술 시뮬레이션 시험)

  • Lee, Christopher C.;Kim, Tae-Min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 /
    • v.13 no.3
    • /
    • pp.71-76
    • /
    • 2009
  • 서론(Introduction) : 의학 시뮬레이션(medical simulation)은 교육생 학습과정에서 내재된 위험이 환자에게 가해짐 없이 교육생이 실제적인 환자 상황을 경험할 수 있게 하고 여러 다양한 임상내용이 포함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기술의 사용은 의학교육(medical education), 인증서(certification), 면허교부(Licensure)와 의료의 질 형성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복강경 수술, 내시경검사, 전문심장구조술, 응급기도관리와 외상소생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시술의 수행에서 시뮬레이션이 교육생의 술기를 달성하고, 측정하고, 유지하는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컴퓨터로 조절되는 시뮬레이터는 맥박, 혈압, 호흡, 대화가 가능하고, 중증질환 또는 외상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같은 인명구조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의학 시뮬레이션은 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와 응급 진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사람에게 필요하다. 최신 전문심장구조술 과정수업은 전통적인 강의와 제한된 팀 상호작용이 포함된 이틀 과정이다. 우리는 비 영어권 국제 응급구조학생의 전문심장구조술 술기능력을 알아보고, 그것을 미국 응급구조학생과 비교하고자 한다. 목적(Objective)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전문심장구조술 증례 시나리오를 가진 의학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미국과 한국의 응급구조 학생의 능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시행 장소(Site Location) : 이 연구는 한국 제주도에 위치한 제주한라대학 스토니브룩 응급의료교육원에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평가는 스토니브룩에 위치한 스토니브룩 대학 의료원의 한 명의 평가자(Dr. lee)에 의해 수행되었다. 방법(Methods) : 15명의 한국 응급구조학생들은 세 팀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5명이 한 팀이 되어 같은 증례의 시나리오를 받았다. 세 가지 시나리오는 : 첫째, 천식지속상태(Status asthmaticus), 둘째, 긴장기흉을 동반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with tension penumothorax) 그리고 마지막으로 메가코드(megacode)를 가진 심정지 이다. 세 팀을 각각 그리고 기본인명구조술(BLS)과 전문심장구조술(ACLS)과정을 마친 미국 응급구조학생들과 비교하였다. 15명의 미국 응급구조학생들 또한 세 팀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이 응급구조 학생들은 플러싱병원 의료원 소속으로 그곳에서 이 연구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의학교육(CME)이수를 받았다. 이들에게도 같은 세 가지 증례의 시나리오가 주어졌고 Dr lee는 총 여섯 팀을 평가하였다(한국 세 팀과 미국 세팀). 결과(Results) : 양 국가의 모든 15명의 학생이 의학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전문심장구조술 메가코드시험을 포함한 시험에 모두 통과하였다. 비록 학생들을 무작위로 세 팀으로 나누었지만 한 팀이 이 모든 세 증례에서 다른 팀보다 뛰어났다. 제주한라대학 2번 팀은 더 나은 기도관리, 리듬인식과 임상술기를 가진 모든 중요한 활동을 얻기에서 우수했다. 그들은 핵심요구사항을 90% 이상 충족시겼다. 한국의 2번팀(G2K)은 메가코드에서 기도개방, 호흡평가, 순환징후 그리고 흉부압박수와 같은 신체검진 술기에서도 탁월했다. 게다가 다른 팀과 비교 시 리듬인식, 약물지식과 임상술기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2번팀(G2K)이 6팀 중에 가장 뛰어나게 역활수행을 하였다. 결론(Conclusion) : 이 비교 연구에서 한국학생과 미국학생간에 전문심장구조술 메가코드 시험의 통과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미국학생은 세 팀 사이에 더 적은 변이로 더 일괄된 점수를 받았다. 한국학생들도 모든 세 가지 증례를 통과하였지만 이 세 팀은 미국학생 팀보다 점수에서 더 큰 변이를 보였다.

  • PDF

Developing the Visualization Engine for U-Healthcare (U-Healthcare를 위한 Visualization Engine 개발)

  • Kim, Seung-Wook;Kim, Min-Ch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10
    • /
    • pp.1767-1772
    • /
    • 2008
  • As the interest on healthcare area in pursuit of well-being, health etc is increasing, u-Healthcare service that can monitor the condition of oneself's health anytime & anywhere is getting an attention. The existing health information system is consist of structure supporting the storage of estimation value and just simple display. But this needs to get a harmonious interaction to provide the health information exactly and speedily for efficient condition confirmation and diagnosis in health information system, In relation to this,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al contents about visualization engine providing the beuer information discrimination and more user-friendly in various service of u-Healthcare.

The Association between Types of Usual Source of Care and Medication Adherence among the Elderly (고령자의 상용치료원 유형이 복약순응에 미치는 영향)

  • Shin, Serah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9
    • /
    • pp.609-621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ypes of usual source of care on medication adherence among the elderly. Using the Korea Health Panel Survey in 2017, this study includes 3,623 elderly people 65 years of age or older taking prescription drugs for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The type of usual source of care was considered in three aspects: whether having a usual source of care or not, whether having a regular site only or having a regular site and doctor, size of the regular site. The types of usual source of care are heavily associ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Compared to those who have no usual source of care, those who have a regular site only are 1.4 times, and have both regular site and doctor are 1.8 times more likely to comply with the medication guidelines, respectively. The finding shows usual source of care has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medication adherence of the elderly. The results can provide an evidence for polici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and efficient use of medical resources.

산림환경에서의 크나이프(Kniepp) 요법

  • 홍금나;신방식;송규진;손정희;김현석;최민주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3-3
    • /
    • 2022
  • 배경: 독일 크나이프 요법을 국내에서 적용하기 위해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국내 산림 환경에서 적용한 크나이프 요법이 자율 신경계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방법: 크나이프 요법 중 4가지 요소('움직임', '삶의 질서', '음식 섭취', '치유 식물')를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적용했다. 중재 전과 후에 맥파측정기(uBioMacpa)를 이용하여 HRV(TP, VLF, LF, HF, LF/HF, CSI: Cumulative Stress Index)와 회복탄력성 지수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했다. 결과: HRV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중재 후 연구 대상자의 TP(8.64%, p<.001), VLF(6.96%, p<.05), LF(15.86%, p<.001), HF(8.46%, p<.01), LF/HF(5.77%, p<.05)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CSI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6.06% p<.001). KRQ-53 평균 점수는 191.56점에서 206.22점으로 14.66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국내 산림 환경에서 적용한 크나이프 요법은 자율신경계를 전체적으로 활성화하고, 교감과 부교감신경의 활성도를 높여 심장 활동을 촉진시키며, 누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주었다. 그리고 회복탄력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특히 자기 조절 능력 요인에서 그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나이프 요법이 국내 산림 환경에서 치유 프로그램으로 활용되어 스트레스 해소를 포함한 자율 신경계의 긍정적인 효과를 제시한 초기적인 최초의 증거라 할 수 있다.

  • PDF

Estimation of Economic Benefits Based on Appropriate Allocation of Emergency Medical Beds by Region in South Korea (지역별 응급의료병상 적정 분배에 따른 경제적 편익 추정)

  • Jeong Min Yang;Min Soo Kim;Jae Hyun Kim
    •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
    • v.34 no.1
    • /
    • pp.17-25
    • /
    • 2024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appropriate allocation of emergency medical beds across 17 provinces and presume the economic benefits associated with such allocation. Methods: To estimate the optimal allocation of emergency medical beds by province, data from the Statistics Korea's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4-2021)," regional statistics on "area, population, gender, age," and "population projections" were utilized. The "number of emergency beds by city and district" provided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as also used. In estimating the economic benefits of preventing avoidable emergency deaths due to the expansion of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guidelines from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were referenced to calculate the wage loss costs associated with emergency deaths and estimate the economic benefits. Results: The optimal ratio of emergency medical beds allocation by region was highest in Gyeonggi, Seoul, Gyeongnam, Gyeongbuk, and Busan, while Daejeon, Jeju, and Sejong showed lower ratios. Additionally, the prevention of avoidable deaths and economic benefits resulting from the increase in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were highest in Gyeonggi, Seoul, Gyeongbuk, Gyeongnam, and Busan. However, when standardized by population, the prevention of avoidable deaths and economic benefits were analyzed to be highest in Gyeongbuk, Chungnam, Jeonnam, Gyeongnam, and Busa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policy measures aimed at addressing the imbalance in the supply of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across region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e distribution of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is expected to ultimately increase the efficiency of national finances and yield economic benef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