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주연안

검색결과 510건 처리시간 0.039초

1983년 춘계 제주해협의 해황과 해류 (Hydrography and Sub-tidal Current in the Cheju Strait in Spring, 1983)

  • 장경일;김구;이석우;심태보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3-215
    • /
    • 1995
  • 1983년 4월과 5월에 걸쳐 제주해협에서 부표와 해류계를 이용한 해류관측과 함께 2회에 걸쳐 수온-염분관측을 실시하였다. 관측자료로부터 고온, 고염인 흑조 의 한 지류가 제주도 서쪽을 돌아 제주해협으로 유입됨을 명확히 보였다. 제주도 서쪽을 우회하는 해류는 제주도 서쪽에서는 그 폭이 약 60 km이며 제주 해협내 에서는 20∼30 km 이내에 존재하여 제주도 서쪽에서는 5 cm/s 미만으로 유속이 작은 반면에 제주해협의 서쪽입구와 해협 내에서는 10 cm/s 이상의 큰 유속을 갖는다. 제주해협의 동쪽에는 역시 흑조로부터 기원된 대마난류의 영향이 인지 되었다. 난류수와 연안수 사이에 형성되는 수온, 염분전선의 변화는 제주 해협의 서쪽에서 황해연안수가 남하함을 제시하였다. 난류수역에서는 5월에 수온이 상승 한 반면에 다른 해역에서는 수온이 감소하였다. 5월에 제주해협 중앙부에서는 해 협의 서쪽으로부터 저온, 저염의 해수가 유입되어 4월에 비해 수온과 염분이 급격 히 감소하였다.

  • PDF

초겨울 제주해협 근해에서 형성되는 전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ront near the Cheju Strait in Early Winter)

  • 이재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1-58
    • /
    • 1983
  • 한국 남서해 연안에서 여름에 발달했던 성층이 겨울철에 접어들면서 파괴되어 수직적으로 균일한 수온분포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가 11월에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변절기에 차고 염분이 낮은 연안 수괴가 대마난류와 접한 경계에 전선이 거의 수직으로 발달하며, 대마난류의 세력이 약한 제주해협의 중앙부를 제외하고는 수심 $70{\sim}90m$의 해역에서 수온전선과 염분전선의 위치는 일치하였다. 1980년 11월에 남해연안 중앙부에서 투하한 해류병이 주로 완도 근해에서 회수된 결과는 전선의 연안쪽에 있는 수괴가 서쪽으로 이동하는 남해연안반류의 존재를 뒷받침 해 주었다.

  • PDF

시계열 수질 분석에 의한 제주도의 해저용출수 탐사 및 검증 (Exploration and Verific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on Jeju Island by Remotely Sensed Based Water Quality Analysis)

  • 백승균;박맹언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4호
    • /
    • pp.395-409
    • /
    • 2005
  • 새로운 수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이 대두되는 제주도 연안의 해저에 존재하는 용출수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원격탐사 자료와 GIS 기법을 적용하였다. 4월, 8월, 12월에 촬영된 Landsat TM자료를 이용하여 해수면 온도, 투명도, 클로로필-a 분포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제주도 연안 해저의 용출수와 관련된 이상대를 파악하였다. 또한 지질도, 수계분포도, 분석구 분포 밀도도, 선구조 분포 밀도도, 지하수위도 등의 주제도를 이용한 퍼지기반 공간통합분석을 실시하여 제주도 해안에 주로 분포하는 용천수의 분포 특징을 분석한 결과 Landsat TM 자료 분석 결과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채집된 양볼락과 쑥감펭속 한국미기록종, Scorpaenopsis neglecta (New Record of the Yellowfin Scorpionfish, Scorpaenopsis neglecta (Scorpaeniformes: Scorpaenidae) from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 김병직;안정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3-248
    • /
    • 2015
  •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채집된 쏨뱅이목 양볼락과 (Scorpaenidae) 쑥감펭속 (Scorpaenopsis)에 속하는 연안성 해산어류 3개체 (표준체장 131.8~163.4 mm)에 근거해 Scopaenopsis neglecta를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들은 등지느러미 극조수가 12개인 점, 구개골치가 없는 점, 등지느러미 첫 번째와 세 번째 극조 사이에 흑색 반점이 없는 점, 그리고 두부가 측편하는 점에서 쑥감펭속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양안간격이 안경보다 넓고, 양안 중앙융기연이 없으며, 최상부 새개골극이 다분지하고, 가슴지느러미 내측 기부에 흑색 반점이 산재하고, 지느러미 가장자리에 검은 띠가 있는 특징에서 동속 타종과 구별된다. 본 종의 신한국명으로 산지인 서귀포어시장에서 불리는 방언인 '쏠치우럭'을 제안한다.

하계 대한해역 서수도에 유입되는 쓰시마 난류수의 기원 ( 1 ) - 표층수에 대한 고찰 - (In Summer , the Origin of Tsushima Warm Current Water in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 1 ) - On the Water in Surface Layer -)

  • 조규대;윤종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2호
    • /
    • pp.184-191
    • /
    • 1990
  • 하계 대한해협 서수도에는 연직적으로 특성이 서로 다른 세 개의 수괴가 존재한다. 그 중 표층수에 대하여 인접 해역의 해수 특성과 상호 비교함으로써 그 기원과 유로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표층수는 동지나해의 대륙붕 상에서 형성된 Kuroshio수와 중국대륙연안수의 혼합수로써, 중국대륙연안수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표층수는 Kyushu Island의 서쪽 해역, 경도 126$^{\circ}$E와 127$^{\circ}$E 사이 해역과 제주도 동쪽 해역을 거쳐 유입되고, 한국 연안 부근에 있는 일부 표층수는 제주도 서쪽해협을 거쳐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제주도 남부연안에서 출현한 당멸치 Elops hawaiensis (당멸치목: 당멸치과)의 엽상자어 (A Leptocephalus Larva of Elops hawaiensis (Elopiformes: Elopidae) from Jeju Island, Korea)

  • 김병직;고유봉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7-220
    • /
    • 2005
  • 2004년 8월 제주도 남부연안에서 집어등에 의한 연안 자치어 조사과정 중에 당멸치과 (당멸치목)에 속하는 엽상자어 3개체 (표준체장 33.4~35.2 mm)를 채집하였다. 이들 엽상자어는 꼬리지느러미가 이차하고, 뒷지느러미가 작으며, 그 기점이 등지느러미 후단부 하방에 위치하는 점에서 '당멸치 Elops hawaiensis'로 동정되었다.

제주도(濟州道) 연안(沿岸) 해양(海洋) 중(中) benomyl의 잔류(殘留) (Residue of benomyl in the coastal environment on the Cheju island)

  • 김정호;서승교;오윤근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1-56
    • /
    • 1999
  • Benzimidazole계 농약인 benomyl네 의한 제주도연안 해양오염을 규명하고자, 1996년 5월, 8월, 10월에 제주시와 서귀포시 근해 해양 환경시료에서 benomyl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Benomyl은 자연계에서 주로 carbendazim (methyl 2-benzimidazolecarbamate)으로 빠르게 변환되고 대사 되기 때문에 carbendazim 잔류량을 benomyl 잔류량으로 하였다. UV-HPLC에 의한 benomyl의 최소검출농도는 해수 중에서 $0.2{\mu}g/L$이었고, 저니토, 우뭇가사리, 미역, 소라, 성게 등 고체시료는 $0.4{\mu}g/kg$이었다. 모든 시료의 해수와 저니토에서 benomyl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우뭇가사리와 미역, 소라, 성게의 모든 시료에서 benomyl이 불검출 되었다. 이는 농약살포기인 5월, 8월과 농약 비살포기인 10월에도 같은 결과였다. 또한 감귤농업을 상대적으로 적게 하는 북제주도의 제주시부근 뿐만 아니라, 감귤농업을 많이 하는 남제주도의 위미연안에서도 benomyl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benomyl에 의한 제주도 연안 해양환경의 오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제주도 연안에서 처음 출현한 동갈돔과 유어 Apogon semiornatus (First Occurrence of a Juvenile Halfband Cardinalfish, Apogon semiornatus (Apogonidae: Perciformes) from Jeju Island, Korea)

  • 김병직;박태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7-229
    • /
    • 2012
  • 제주도 연안에서 처음 채집된 동갈돔과 유어 1개체(체장 20.7 mm)를 근거로 Apogon semiornatus를 한국미기록종으로서 기재하였다. 본 종은 등지느러미 기조수 VI-I, 9, 가슴지느러미 기조수 12; 뒷지느러미 기조수 II, 8, 채색은 황적색 바탕으로 체측에 2개의 흑색 사행대가 있는 점에서 국내의 동속 유사종과 쉽게 구별되며, 국명은 '검은두줄붉은동갈돔'으로 명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