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제조비용

검색결과 1,076건 처리시간 0.013초

생산 시스템에서 제조 비용 분석 모델의 연구 (A Cost Analysis Model in Manufacturing Systems)

  • 한주윤;정봉주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85-88
    • /
    • 2000
  • 제조 원가는 기업의 목표인 이익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지만 분석적인 방법론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단순한 재무적인 구조를 통하여 얻어지는 제조 원가는 현 시장에서 커다란 의미를 갖지 못한다. 따라서 생산 시스템 차원에서 제품의 제조원가 측정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 시스템에서 제품의 제조 원가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직접 원가 측정 모델과 제조 간접비 측정 모델로 이루어진 제조 원가 측정 모델을 제안하고 이러한 모델을 통하여 생산 시스템의 변화가 제품의 제조 원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직접 원가 측정 모델은 생산되어지는 각 단위 제품별로 직접적으로 쓰여지는 비용에 대하여 제조 원가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각 단위제품별 제조 원가의 총합과는 별도로 제품의 생산에 간접적으로 쓰여지는 비용들은 따로 측정하여 전체 생산 시스템에서의 제조 간접비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생산 시스템의 성능(Performance)이 제조 원가 측정 모델에 포함되도록 하여 시스템의 성능에 따른 제조 비용의 변화를 알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초음파전파매개물의 융복합 제형 연구 :제조비용, 윤활성에 대하여 (Convergence Formulation studies of Diagnostic Ultrasound Transmission Media:focusing on the manufacturing costs and rheology)

  • 이혜남;박미순;박연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369-37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매개물의 1차적인 목적이외에 부가적인 특징을 조합하여 새로운 초음파매개물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임의 제조된 각 제형에 따른 유동학적 특징과 제조비용을 기성품 제제와 비교 분석하였다. 초음파전파매개물은 제형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적 특성을 지니게 되며, 저점도에멀전과 오일젤에서 유동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제조비용에서는 수화젤 제형이 물성분이 많을수록 제조비용이 가장 낮았으며, 에멀전과 오일젤 제형에서는 오일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제조비용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초음파의 다양한 영역의 전문성을 겸비한 새로운 초음파매개물의 연구에 대한 초석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안전재고의 경제적 품질률 결정에 관한 연구 -철도차량부품을 중심으로- (Learning Effects on a Joint Buyer/manufacturer Inventory Model)

  • Ho Ki, Nam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1권17호
    • /
    • pp.25-37
    • /
    • 1988
  • Joint inventory 방법을 다룬 기존의 연구는 생산비용이 일정하다는 조건만을 고려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에다 새로운 변수(learning curve ratio and learning retension)를 제조업자 측면에서 고려하여 보다 확장된 모델을 다룬다. Joint inventory 모델은 첫째 단일구매자와 둘째 학습곡선비율과 learning retention의 정도에 있어서 그 범위를 결합시키는데 이용되기 위해 개발되어 졌다. 구매자와 제조업자를 위한 로트 사이즈를 결정하기 위하여 증분비용접근방법 (Incremental Cost Approach, ICA)을 쓴다. 총결합비용은 기존모델보다 현저하게 적은데 그 이유는 학습과 learning retention 효과로 인한 제조업자의 생산비 절감과 재고유지 비용의 감소 때문이다. 학습과 learning retention이 현격한 경우, 총결합비용은 제조업자와 구매자의 개별적인 최적정책에서의 비용합(합)보다 적다. 소개된 모델의 효과를 보이기 위해 수치예제를 이용하였다.

  • PDF

공용매 첨가가 비대칭 기체 분리막의 구조 및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

  • 유성현;안태완;조재영;강용수;원종옥;김은영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6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53-54
    • /
    • 1996
  • 비대칭 분리막의 제조에 있어서는 용매와 비용매의 교환에 의한 상분리 현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용매와 비용매의 성질이 막 제조 공정에 중요한 변수가 된다. 고분자 용액에 공용매를 첨가할 경우 용액의 점도, 용매와 비용매의 상호 작용 정도 등의 용액의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변화에 따른 분리막의 구조 변화를 관찰하여 그 상관 관계를 규명하면 분리막의 미세 구조 조절 및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폴리이미드(PI)를 고분자로 사용하였고, 용매로는 NMP, 공용매로는 $\gamma$-butyrolactone($\gamma$-BL)을 사용하여 고분자의 농도가 15 wt%인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용액을 유리판에 균일한 두께로 casting 한 후 물을 비용매로 사용하여 immersion precipitation 방법으로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막은 24시간 동안 물 속에 방치하여 용매를 충분히 제거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켰다. 투과도 측정은 soap bubble flow 방법으로 시행하였으며 단면 구조는 주사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 PDF

정밀여과막의 공경 및 분포 제어

  • 홍재민;하성룡;강용수;안규홍;김은영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4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6-76
    • /
    • 1994
  • 일반적으로 다공성 비대칭막은 상분리법에 의하여 제조하는데, 분리막을 구성하는 고분자를 적절한 용매에 녹인 제막용액을 일정한 두께로 casting하고 이를 비용매에 담가서 binodal/spinodal decomposition이 일어나도록 하여 제조한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분리막의 성능은 표면층에 존재하는 pore의 크기와 그 분포 및 porosity에 의해 결정된다. Casting된 고분자 용액을 비용매에 침지시켜 다공성막을 형성시킬 경우 막의 표면과 비용매 사이의 계면에서 용매와 비용매의 교환이 일어난다. 용매-비용매 교환이 일어나면 제막된 고분자 용액내의 비용매의 양이 증가되어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해져 상분리가 일어난다. 그런데, 이때 용매-비용매의 교환이 매우 빠른 속도로 일어나므로 pore-size 및 그의 분포를 조절하기가 매우 어렵다. 표면층의 pore size와 분포를 조절하기 위하여 그간 고분자 용액내의 고분자 농도조절, 첨가제의 사용, 비용매의 조성을 바꾸는 등의 여러가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 PDF

습도를 이용한 정밀여과막의 pore size 제어

  • 홍재민;강용수;안규홍;김은영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4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38-38
    • /
    • 1994
  • 일반적으로 다공성 비대칭막은 상분리법에 의하여 제조하는데, 분리막을 구성하는 고분자를 적절한 용매에 녹인 제막용액을 일정한 두께로 casting하고 이를 비용매에 담가서 binodal/spinodal decomposition이 일어나도록 하여 제조한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분리막의 성능은 표면층에 존재하는 pore의 크기와 그 분포 및 porosity에 의해 결정된다. 표면층의 pore size와 분포를 조절하기 위하여 그간 고분자 용액내의 고분자 농도조절, 첨가제의 사용, 비용매의 조성을 바꾸는 등의 여러가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Casting된 고분자 용액을 비용매에 침잠시켜 다공성막을 형성시킬 경우 막의 표면과 비용매 사이의 계면에서 용매와 비용매의 교환이 일어난다. 용매-비용매 교환이 일어나면 제막된 고분자 용액이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해져 상분리가 일어난다. 이 때 용매-비용매의 교환이 매우 빠른 속도로 일어나 pore-size의 분포를 조절하기가 매우 어렵다.

  • PDF

제조업체의 유통업체 물류창고 활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ing Factors for Manufacturers to Distributors Warehouse in Supply Chain)

  • 이상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5-20
    • /
    • 2013
  • 본 연구는 대형유통업체와 거래 관계에 있는 제조업체가 대형유통업체가 보유한 물류창고를 활용하는 데에 따른 물류비용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요인들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대형유통업체와 거래를 하고 있는 제조업체가 물류 방식을 결정할 때 대형유통업체의 물류창고를 이용하거나 혹은 제조업체가 보유한 자체 물류창고 및 이미 활용하고 있는 외주 물류창고를 이용할 수가 있다. 이 때 제조업체가 어떠한 물류창고를 이용하는가에 따라 물류비용의 효율성은 달라질 것이다. 또한 제조업체가 이용할 물류창고를 결정하게 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체가 이용할 물류창고 결정 요인으로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간의 시장지배력과 같은 영향력 변수로써 사업 환경의 불확실성의 정도, 제조업체가 보유한 역량, 제조업체와 대형유통업체의 거래 특성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들 요인은 물류창고 비용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중앙정부의 환경투자 관련 제조업의 비용분석 (Cost Structure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connect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Environmental Investment)

  • 민승기
    • 환경정책연구
    • /
    • 제9권4호
    • /
    • pp.3-27
    • /
    • 2010
  • 중앙정부의 환경투자 관련 제조업의 비용구조를 트랜스로그 가변비용함수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정부에서 진행하는 환경투자의 적정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충족도를 살펴본 결과, 적정수준인 1에 못미치는 0.7230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따라 생산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중앙정부는 환경투자를 적정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중앙정부는 환경투자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잠재가격이 시장가격보다 작아 투자여건은 유리하지 않다. 그러나 중앙정부의 환경투자는 제조업체의 산출증대를 가져오고, 가변비용을 절감하며, 규모의 경제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제조업체의 공해방지투자와 중앙정부의 환경투자를 비교해 본 결과, 전자 후자 모두 투자가 적정수준에 못미치고, 투자여건이 양호하지 못하며, 규모의 경제를 가져오고, 산출 증대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앙정부의 환경투자는 정(+)의 잠재가격에 따라 효율적이므로 가변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조업체는 중앙정부의 환경투자 부족이 가변비용을 증가시켜 생산비효율을 가져오고 있다. 그러나 제조업체의 공해방지투자는 부(-)의 잠재가격에 따라 비효율적이므로 가변비용을 절감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제조업체의 공해방지투자 부족은 오히려 가변비용을 절감시킴에 따라 생산효율을 가져오고 있다. 그러므로 제조업체는 공해방지투자를 적정수준으로 끌어올려 효율화함으로써 가변비용을 절감시켜 생산효율을 달성해야 할 것이다.

  • PDF

클러스터 콘트롤러 (The Cluster Controller)

  • 이해문;정태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3권1호통권49호
    • /
    • pp.29-40
    • /
    • 1998
  • 반도체 산업에서는 디바이스 제조 비용의 절감과 정밀도 향상을 위한 공장자동화의 한 방향으로 '80년대 후반부터 여러 공정의 반도체 제조장비를 클러스터화 하여 국제적 표준으로 제정하려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반도체 장비의 클러스터 표준화는 제조 메이커가 각기 상이한 장비의 호환성과 상호 운용성을 증대시킴으로 장비 고유의 생산성과 디바이스 제작 능력의 한계를 확장시키고 제조기간과 비용을 크게 절약시킬 수 있다. 본 고에서는 클러스터 툴이라고 하는 반도체 장비의 핵심기술인 클러스터 콘트롤러에서의 모듈간 통신 및 제어 기술을 중심으로 국제적 표준활동의 진행과 기술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