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작과 수급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Production, Supply and Demand of Najeonchil Craft Works with a Focus on the Artisan, Min Jong-tae (나전칠 공예품 제작과 수급(需給)에 관한 연구 - 나전칠기장 민종태 제작 활동를 중심으로 -)

  • CHAE Yo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3
    • /
    • pp.100-115
    • /
    • 2023
  • The modernization of najeonchil, or mother-of-pearl lacquerware, began in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period and started to set in during the phase of industrial development after the Korean War. Especially, the rise and fall of najeonchil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00s fluctuated more compared to other types of craft.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duction, supply and demand activities of the works by Min Jong-tae, who was born in 1915, began his career in 1929 and devoted 70 years of his life creating najeonchil craft and furniture. As an apprentice under Jeon Sung-gyu, who revived the craft of najeonchil, Min Jong-tae was not only an artisan who ranked alongside Kim Bongryong, Song Juan, Shim Bugil, Kim Taehee, but also a businessman. In particular, Min led the boom of modern najeonchilgi during the 1970s-80s in Seoul,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market at that time. However, studies about Min Jong-tae are almost non-existence, despite his accomplishments. This study first describes how Min Jong-tae began the craft of najeonchil and early days of his career around the liberation period, then retraced his efforts in building a supply and demand system in the 1950s-60s. Moreover, this paper covers not only his creations of large-scale najeonchil furniture in the advent of an era of 'wardrobe culture' in the 1970s-80s, but also his exported pieces to Japan, including incense boxes and tea container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deriv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Min Jong-tae's role as an artisan of najeonchil- designated as Seou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4 in the field of craft.

Effective Way of Providing Digital Contents Under Ubiquitous and Changing Media Environment (유비쿼터스와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콘텐츠 수급방안)

  • Lee, Jei-Young;Ryu, Seung-K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4
    • /
    • pp.123-132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contents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lso, it investigated the problems in terms of production of contents and circulation in order to find an effective way of providing contents that can keep pace with ubiquitous environment as well as one source multi use in various platforms and channels. In conclusion, it is viewed easy to expect that content would be the most valuable assets in ubiquitous media environments and the importance of contents will be more growing. Rather than game and enjoyment-related contents, more informative and cultural programs will be more valuable so policy-makers as well as industry need to more cultivate this area.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method for copyright protection and suggested that governmental policy fostering independent production should also be followed.

부표류 중추 재활용 의무화 실현

  • 유상민;김정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12
    • /
    • 2023
  • 부표관리청에서 부표를 정기적으로 교체·수리하고 있으며 수리가 불가한 등부표는 불용하여 신규로 제작하고 있다. 부표 불용 시 부표의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해 하단부에 설치된 중추는 재활용 가능함에도 재활용에 대한 기준이 없어 모두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중추를 재활용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였고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중추를 민간 부표 제작업체에서는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하였고 국가 예산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 PDF

Patterns of Mother-of-Pearl Craftwork Sketches and the Way of Supply and Demand of the Works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근·현대 나전도안과 공예품의 수급(需給)형태 - 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장 송방웅 소장 나전도안을 중심으로 -)

  • Lee, Yeon Ja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3 no.3
    • /
    • pp.334-365
    • /
    • 2010
  • Mother-of-Pearl craftwork sketch involves the whole process of making a piece of work. Therefore, it includes types, forms, sizes, and patterns of the work. Some information about when and by whom those works were manufactured and who ordered them are still found in some sketches. This paper seeks to find out popular types and patterns of the works in each period and its demand and the way of supply by examining the collection of approximately 1700 Mother-of-Pearl craftwork sketches from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up to the present time, which are owned by Mr. Song Bang-wu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10. Typical patterns of sketches are the hua-jo(花鳥 : Flowers and Birds), the Sakunja(四君子 : Four Gracious Plants), cultural treasures, figures in folk tales, 'Su-bok(壽福)' characters, and landscape. The pattern sketches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Korean societ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from the 1920s to the 1940s the manufacture and the supply and demand of Mother-of-Pearl craftworks were contro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s a result, many of the patterns were adjusted to the Japanese taste. Most of its customers were also Japanese. During the 1950s after Independence the American Military Forces appeared as new customers due to the Korean War. Thus, the traditional Korean patterns to decorate accessories adored by American soldiers gained popularity. Foreign Mother-of-Perls were imported from the late 1960s to the 1970s. They were bigger and more colorful than those of Korean and it enabled the sketches bigger and the patterns more various. The most popular pattern in this period was the pattern of cultural treasures, such as an image of Buddha, metalcraft works, porcelains and pagodas. In terms of a technique, new techniques, such as engraving and rusting were introduced.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Mother-of-Pearl craftworks in the 1970s as people were highly interested in them. They were entirely made to order and there was a large demand from diverse organizations, furniture dealers and individuals. And the Mother-of-Pearl craftwork was in full flourish in the 1970s due to the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growth of national income. Mass production of the works was possible and the professional designers who drew patterns actively worked in this period. The favor of Mother-of-Pearl craftworks declined in the 1980s since the built-in furniture and the Western style of furniture became prevalent due to the change of housing into apartments. But it seemed that the manufacture of Mother-of-Pearl craftworks revived for once the technique of Kunum-jil(끊음질 : cutting and attaching) became popular in Tong-young(統營). After the 1990s, however, the making of Mother-of-Pearl craftworks gradually declined as the need of them decreased. Now it barely maintains its existence by a few artisans.

Water Budget Analysis of Four big river basin based on K-WEAP (K-WEAP을 이용한 4대 권역별 물 수지 분석)

  • Moon, Jang-Won;Choi, Si-Jung;Lee, Dong-Ryul;Yoon, Seo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62-1366
    • /
    • 2006
  • 우리나라에서는 하천법 제11조에 의거하여 10년마다 한 번씩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5년마다 이를 수정 보완하고 있다. 2001년 7월 수자원장기종합계획(Water Vision 2020)이 수립된 이후 잦은 봄 가뭄 등 이수측면에서의 사회, 경제, 환경의 변화와 최근 이상홍수 등으로 인한 대규모 홍수피해 발생에 따른 치수측면의 종합적인 대책의 제시가 요구되면서 2001년 수립된 계획에 대한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수자원계획의 신뢰성에 대한 시민단체 등의 문제제기와 지역 차원의 수자원계획 및 수자원환경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대로 인해 계획 수립 과정과 결과에 대한 국민적인 공감대 형성을 위한 체제의 구축이 금번 보완 계획의 수립을 통해 추진되고 있다. 금번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보완은 투명성 확보라는 큰 목표를 가지고 수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가 수자원 관리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물 수급 전망 및 용수수급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 있다. 기 개발된 한국형 통합수자원평가계획 모형인 K-WEAP 모형을 보완 계획 수립 과정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K-WEAP 모형을 통해 물 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수급 균형을 판단함으로써 일반 대중에게 물 수급 관련 상황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WEAP 모형을 이용하여 각 권역별로 2003년의 물 수급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하천의 관측유량과 비교해봄으로써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각 권역에서 시나리오별로 추정된 용수수요량을 이용하여 물 수지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목표연도별 물 수급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물 수급 분석 시 지하수 및 농업용 저수지 등 하천과 다목적댐 이외의 지역 공급원에 대해서도 고려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자원계획 수립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인공순환에 의한 저감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조사 기간중 H호의 현존 식물플랑크톤량의 $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

  • PDF

Rapid demolition of locally damaged steel truss bridge (국부손상 철골 교량 구조물의 긴급해체 사례)

  • Park, Hoon;Noh, You-Song;Suk, Chul-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97-198
    • /
    • 2017
  • 인공재해와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비정상 하중에 의해 국부손상이 발생된 철골 교량 구조물은 추가적인 2차 붕괴의 위험요소들을 내재하고 있어 신속한 전면 해체가 요구된다. 본 시공 사례는 건설실패와 태풍 및 지진으로 국부손상이 발생된 철골 트러스 구조의 교량의 긴급해체를 위해 발파해체 공법을 적용한 사례이다. 철골 부재의 절단을 위해 성형폭약이 필요하지만 현지에서 수급이 불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장약용기를 직접 제작하고 에멀젼 폭약을 충전하여 만든 성형폭약을 이용하여 발파해체에 적용하였다. 직접 제작한 성형폭약을 이용하여 발파해체한 결과 철골 부재가 정확히 절단되면서 교량의 중앙부가 수직자유낙하하고, 교량의 양 끝단은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낙하 하였다. 또한 존치 구조물 및 주변에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발파 후 파쇄 상태는 매우 양호하였다. 이로 인해 직접 제작한 성형폭약의 절단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신속하고 안전하게 국부손상이 발생된 구조물을 해체하였다.

  • PDF

Fabrication of Si substrate for photovoltaic using anti-reflection patterns with nano-protrusion (나노 돌기를 가진 저반사 패턴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 제작)

  • Shin, Ju-Hyeon;Han, Kang-Soo;Lee, H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04.2-104.2
    • /
    • 2011
  •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친환경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태양전지의 경우 원리가 간단하고 에너지원의 수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 태양전지의 경우, 태양전지 기판에서의 반사로 인하여 발전 효율이 낮아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텍스처링 공정을 통해 태양전지 기판에서의 반사를 줄이고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 돌기를 가진 저반사 패턴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을 제작함으로써, 태양전지 기판에서의 반사를 줄이고자 하였다. 나노 돌기를 가진 저반사 패턴이 형성 된 태양전지용 실리콘 기판을 제작하기 위해 ICP 장비를 이용한 $Cl_2$ 플라즈마 식각공정을 진행하였다. 먼저 Au agglomeration 기술을 이용하여 Au nano particle을 실리콘 기판 위에 형성 후, 이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ICP 식각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나노 돌기가 형성 된 실리콘 기판 위에 $Cl_2$ 플라즈마에 내식각성이 우수한 레지스트를 이용하여,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기술을 통해 저반사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 방법으로 형성 된 저반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앞의 공정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리콘 기판을 식각하였다. 최종적으로 agglomerated Au particle과 $Cl_2$ 플라즈마에 내식각성이 우수한 레지스트를 이용하여 나노 돌기를 가진 저반사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제작하였다.

  • PDF

Thermodynamic Analysis of Silicon Reduction Reaction in Arc Furnace (아크로를 이용한 실리콘 환원 반응의 열역학적 해석)

  • Park, Dongho;Kim, Dae-Suk;Lee, Sang-Wook;Moon, Byoungmoon;Yu, Tae 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70.2-70.2
    • /
    • 2010
  • 고순도 금속규소는 반도체, 태양전지 및 규소화 화합물 등의 원료로 사용되어왔으며, 최근 태양전지 시장 확대로 인해 고순도 금속규소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량 수입 중인 고순도 금속규소의 수급 안정성과 품질 균일성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고순도 생산 공정 및 생산 에너지를 절감 공정에 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속규소의 원료인 규석(SiO2)과 카본(C)의 환원반응을 온도와 압력별로 살펴보고, 평형 상태의 금속규소수율 조건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아크로 내부 위치에 따른 산화/환원 반응식을 고찰하여 주요 반응식의 깁스 자유 에너지를 비교 분석 하였다. 본 해석을 통한 실험용 아크로 제작과 기초실험을 통해 금속 규소 생산 수율 및 순도를 평가하였으며, 생산된 실리콘의 최대 순도는 약 99.8%로 측정되었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Table Contents using the Projection Mapping (프로젝션 매핑 기법을 활용한 테이블 기반 상호작용 콘텐츠의 개발)

  • Lee, Bum-R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317-31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이나 혼합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프로젝션 매핑 기법을 활용하여 상호작용이 가능한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구현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프로젝션 매핑은 구현의 측면에서 기술 문턱이 높지 않고 하드웨어의 수급이 용이하다는 점과 콘텐츠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홀로그램과 같은 궁극의 증강현실 기술이 완성되기 이전까지 매우 현실적인 대안 기술로 인식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프로젝션 매핑 기반의 증강현실 프레임워크를 완성하고 기본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콘텐츠를 제작하여 프로젝션 매핑 기반의 콘텐츠의 우수성과 가능성을 실증해 보이고자 한다. 향후 본 논문에서 실증한 상호작용 프로젝션 매핑 분야의 기술들은 전산업계에서 매우 파격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The development of biodiesel production technology for additional improvement of Rapeseed (유채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 개발)

  • Lu, Jeong-Woo;Park, Gi-Don;Kwon, En-Suk;Ko, Jeo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537-540
    • /
    • 2006
  • 국제 유가의 상승으로 대체 에너지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지금 수송연료인 디젤의 대체 원료로 바이오디젤이 부각되었다. 차세대 대체연료인 바이오디젤의 합성 원료의 국산화로 수급의 안정성과 농가소득향상을 위해서 국내산 유채 착유기의 개발 및 유지의 함량을 측정하고 바이디젤로서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며 유박에서의 유지 추출 Biomass활용방안을 도출한다 국내산 유채 착유기 및 착유기술 평가를 통해 중소형 유채 착유기의 제작과 기본 조건을 도출을 위해 유채 착유실험을 진행하였다. 유채유의 착유온도에 따른 물성변화와 산가, 수분, 착유율의 변화와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roaster의 온도를 고온과 저온으로 나누어 착유하여 각각의 물성 실험과 산가, 수분, 착유율을 측정 비교하였다. 유채유는 저온보다 고온에서 착유량이 높으나 많은 검질과 높은 산가로 인해 바이오디젤 합성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유채의 유박을 바이오디젤과 에탄올로 각각 Extraction.한 결과 바이오디젤보다는 에탄올이 적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