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어장치

Search Result 6,141,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 study on controlled switching device for high voltage circuit breaker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제어 장치 적용 연구)

  • Cho, Chul-Hee;Lee, Jeong-Bok;Min, Byoung-Woon;Kim, Young-S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41-542
    • /
    • 2015
  • 초고압 차단기는 개방 또는 투입 기능을 수행시 과도현상에 의한 개폐서지(Switching Surge)가 발생하여 차단기 구성품들에 부담이 가해진다.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제어 장치는 이러한 차단기의 개폐 동작시 차단기 접점의 분리 또는 접촉 순간을 제어하여 개폐서지를 최소화함으로써 접점의 마모와 구성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장치이다. 즉, 차단기에 인가되는 전압의 위상을 기준으로 원하는 개폐시점에서 개방 및 투입이 일어나도록 제어하는 기기이다. 국외에서는 해외 선진사들이 이미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제어 장치를 상용화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기술의 검토 단계를 지나서 장치를 개발하고 시험하여 상용화하는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화를 위하여 개발된 초고압 차단기용 개폐제어 장치에 대하여 하드웨어 구성을 소개하고, 운영 소프트웨어를 설명하며, 개폐제어 장치의 개폐제어 동작 성능을 자체 모의시험과 GIS(Gas Insulated Switchgear) 차단부와의 연계 시험을 통하여 평가한다.

  • PDF

Design of Total Train Control system for CBTC (CBTC를 위한 열차집증제어장치의 설계)

  • Jang, Youn-Hwan;Oh, Seong-Taek;Cho, Dong-Rae;Lee, Hi-Young;Ryou, Myung-Seon;Choi, Cha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247-248
    • /
    • 2007
  • 컴퓨터의 발전은 철도 산업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기계식이나 수동식 신호 장치들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면서 전자식, 자동식으로 변경되면서 철도 신호 시스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로 인해 안전성은 더 높아지고 수송력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이런 변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열차집중제어장치이다 열차집중제어장치는 기본적인 역할은 운행되는 열차들의 운전정보를 획득하고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차량을 운행하게 제어하는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철도 차량들이 생겨나고 신호 시스템이 발전하게 되면서 열차집중제어장치도 더 다양한 기능과 처리 능력을 가지도록 설계되어져야 한다. 특히, 현재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무인운전, 무선을 이용한 철도 시스템에서는 열차집중제어장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차량을 안전하게 제어하며, 모든 상황들을 정보화할 수 있는 열차집중제어장치에 대한 설계를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ER Suspension System with Energy Generation (재생 에너지를 특징으로하는 ER현가장치 연구)

  • 김기선;김승환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T
    • /
    • v.36T no.1
    • /
    • pp.71-78
    • /
    • 1999
  • This paper presents a new type of energy generative ER suspension system which does not require external power sources. This is accomplished by converting vibration energy(kinetic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In order to undertake this, an appropriate size of the ER damper is manufactured by incorporation a mechanism which changes the linear motion of the ER damper to the rotary motion. This rotary motion is amplified by gears and activates a generator to produce the electrical energy. The efficiency of energy generation is evaluated and the level of damping force with generated power is also investigated. Then, the ER suspension system is applied to the quarter car model, and its vibration isolation is experimentally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 piston speed.

  • PDF

Study on th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icro Gas Turbine (마이크로 가스 터빈의 감시 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

  • Cho, Chang-Hee;Park, Min-Kook;Ahn, Jong-Bo;Kim, Sung-Sh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733-1735
    • /
    • 2005
  • 최근의 소형 분산 전원의 보급 필요성의 커짐으로 전력과 열에너지를 동시에 생산, 이용함으로서 종합 에너지 효율이 높고 공해 배출 및 소음 특성이 우수한 초소형 가스터빈 발전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마이크로 가스터빈 시스템과 그 제어장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가스터빈 감시 제어장치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마이크로 가스 터빈은 초고속(수만$\sim$10만 RPM)으로 회전하여 발전을 하므로 터빈 및 전동기 설계 기술과 더불어 고성능의 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마이크로 가스터빈의 감시 제어 시스템은 터빈, 발전기 및 전력 변환장치를 제어하는 고성능의 DSP 제어장치들과 고속 직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시스템의 제어 및 상태 감시를 위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서 마이크로 가스터빈의 개발자와 운용자의 보조 역할을 담당한다.

  • PDF

A Study On Propulsion Control System for Korean Train Express(KTX-Sancheon) (KTX-산천 고속열차 추진제어장치 개발)

  • Cho, Sung-Joon;Jeong, Man-Kyu;Lee, Kwang-Ju;Park, Geon-Tae;Kim, Du-Si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07a
    • /
    • pp.295-29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고속전철용 추진제어장치의 개발 및 본선 주행시험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고속열차용 추진제어장치는 입력 전류의 고조파를 감소하기 위하여 단상 PWM 컨버터 2대가 병렬로 구성되고 인버터는 3상 인버터 1대로 구성된다. 추진제어장치의 전력회로를 간단히 구성하기 위하여 최대용량(4500V/4200A)의 IGBT 전력소자를 적용하였다. 3상 인버터는 가속시 스위칭 기어현상을 저감하기 위하여 저주파 동기 PWM 기법을 적용하였다. 추진제어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차량이 운행될 본선에서 속도 300km/h까지 가속시험, 비상제동 시험, 구배기동 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시험을 통하여 제작된 추진제어장치가 성능사양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 PDF

EPICS를 이용한 ECR 이온원 운전 제어 시스템 구성 방안

  • Jang, Dae-Sik;Jin, Jeong-Tae;O, Byeong-Hun;Kim, M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37-237
    • /
    • 2011
  • 다가 이온원 제조를 위한 ECR 이온원 제작과 더불어 이를 효과적으로 운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 이 운전 제어 방안은 두 가지 기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하는데, 초기 실험실에서 ECR 이온원의 성능 검증을 하기에 유리하도록 알고리즘이나 시퀀스를 보다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만들고 이후 확정된 알고리즘과 시퀀스를 이용하여 이온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최소한의 운전자만으로도 운전 가능하도록 구성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ECR 이온원 운전 제어와 관계된 모든 부대 장치들을 EPICS (Experimental Physics and Industrial Control System)로 운전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통합하면서 알고리즘의 복잡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부대 장치를 구성하는 개별 장치 단위로 알고리즘을 만들어 EPICS database로 구현하고 운전 및 장치 보호를 위해 필요한 시퀀스는 EPICS sequencer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현재까지 ECR 플라즈마 생성, 빔인출 그리고 입자 진단을 위해 사용된 전원 장치들을 운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된 내용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별 장치에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Design of a Ticket Based Admission Controller for Users’ Fairness of Web Server (사용자 평등성을 제공하는 웹 서버 허용 제어 장치 설계)

  • Lee, Chul;Im, Sang-Seok;Hwang, Ju-Young;Park, Kyu-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538-54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웹 서버의 허용 제어 장치를 설계하였다. 웹 서버 허용 제어 장치는 웹 서버의 처리 용량을 초과하는 사용자 요청을 차단하여, 과부하로부터 웹 서버를 보호한다. 허용 제어 장치에 의하여 요청이 차단된 사용자는 재시도하는 특성을 보이는데, 이로 인하여 웹 서버의 부하는 가중된다. 기존의 웹 서버 허용 제어 장치는 이러한 사용자의 재시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재시도하는 사용자가 다시 허용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티켓 기반 웹 서버 허용 제어 장치는 재시도하는 사용자를 구분하고 우선적으로 서비스하여, 웹 서버의 과부하시에 사용자간 평등함을 제공한다.

  • PDF

Controller Design of Hybrid Tuned Mass Damper (하이브리드 제진장치 콘트롤러 설계기술)

  • Joo, Seok-Jun;Lee, Sung-Kyung;Shin, Koon-Jae;Kwon, June-Yeop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392-395
    • /
    • 2010
  • 최소질량형 제진장치는 초고층건물의 풍진동 제어시 질량체의 관성력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이동질량의 크기를 최소화한 제진장치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순수 국내기술에 의한 능동제어(active control)와 수동제어(passive control)의 특성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제진장치(hybrid control device)의 콘트롤러 설계기술 개발이다. 이를 위한 1차적인 목표로 여기에서는 국내에 설치된 기존의 능동진동제어장치의 전체적인 설계과정을 살펴본다.

  • PDF

Necessary Conditions for Optimal Actuator and Sensor Locations for Suboptimal Control of Distributed Parameter Systems (연속계 제어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구동장치와 측정장치의 최적위치 선정)

  • Cho, H. S.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6 no.2
    • /
    • pp.191-195
    • /
    • 1982
  • 연속계의 동적 시스템을 제어하고저 할 때에는 구동장치와 측정장치를 어느 위치에 두느냐에 따라 시스템의 제어 성능이 상당히 달라지기 때문에 위치선정 문제가 매우 중요한 설계변수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연속계의 제어시스템을 설계하고저 할 때를 고려하여, 그들의 최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조건식을 최적 제어 이론을 바탕으로 유도하였다.

공조덕트용 능동소음제어 장치

  • 이종식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3
    • /
    • pp.262-267
    • /
    • 1992
  • 이 글은 평면파 소음의 감소 성능을 향상시키고 고차모드로 전달되는 소음의 감소도 가능한 공 조덕트용 능동소음제어장치의 개발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실험결과 개발된 능동소음제어장치의 성능 및 안전성이 기 상품화되어 있는 외국의 제품에 비해 손색없이 뛰어남을 발견하였다. 능 동소음제어장치는 앞으로 고도의 청정, 정숙환경이 요구되는 반도체공장, 방송국 등에 폭넓은 적용이 기대되며, 기존의 흡음처리 대책보다 설치, 보수 및 유지가 간편하다. 특히 덕트내 주요 소음원인 블로워의 소음특성이 저주파 부근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능동소음제 어기술의 공조덕트내 소음제어에의 적용은 매우 효과적이며 경제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