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세동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level of Knowledge Related to Diseas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 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정도)

  • Kim, Kyunghee;Song, Juhyun;Shin, Seung Y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6
    • /
    • pp.249-258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knowledge related to diseas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We used the Jessa Atrial fibrillation Knowledge Questionnaire (JAKQ) and Knowledge of Atrial Fibrillation and Stroke Prevention Questionnaire(KAFSP). A total of 222 AF patients completed the JAKQ and KAFSP. The mean score of the JAKQ and KAFSP 54.7 and 18.5 points, respectively. In general,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were well aware that atrial fibrillation causes stroke and that anticoagulants should be taken to prevent blood clots. However, they were not well aware of the precautions for taking anticoagulants, symptoms of atrial fibrillation, and treatment of atrial fibrill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trial fibrillation knowledge score according to anticoagulants but the degree of knowledge related to VKA was low in patients taking VKA. The both score of JAKQ and KAFSP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rial fibrillation knowledge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mprove the knowledge of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Comparative Study on Defibrill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Defibrillation Type (제세동 유형에 따른 제세동 효율성 비교 연구)

  • Lee, Hyeon-Ji;Hwang, Jeong-Hy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7
    • /
    • pp.579-58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fibrill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defibrillator type among paramedics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est compression pause time and defibrillation efficiency after providing simulation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 paramedics who were selected from a provincial 119 safety cent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single-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from March 2 to August 31,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21.0, and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ly greater decrease in the chest compression pause time during CPR after providing simulation education when semi-automated defibrillators were used than when manual paddles and manual pads were employed.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erformance time of defibrillation when semi-automated defibrillators were used than when manual paddles and manual pads we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paramedics with simulation education on how to promptly read ECGs using the manual mode of a semi-automated defibrillator to help more patients revive and on how to facilitate their job enlargement.

Detection of Ventricular Fibrillation using Time-Frequency Analysis (시간-주파수 공간 분석법을 이용한 심실세동의 자동 검출에 관한 연구)

  • 이승하;황성오;윤영로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6
    • /
    • pp.561-571
    • /
    • 1999
  • 심실세동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가장 치명적인 부정맥으로서, 심실세동의 발견즉시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못할 경우 환자는 급사한다. 심실세동을 정지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전기적 제세동이며 이는 환자의 심장 부위에 전기적 에너지를 가해 정상 심장 리듬을 되찾도록 하는 방법이다. 심실세동의 발생은 예측할 수 없고, 이를 진단하기 위한 심전도 교육을 모든 의료인에게 할 수 없으므로 심전도를 자동 분석하여 심실세동을 조기에 검출하는 자동 분석장치의 개발은 심실세동에 의한 급사를 줄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차간섭성분의 제거 능력이 뛰어나며 쉽게 구사할 수 있는 Choi-Williams distriguteion (CWD) 방법을 이용하여 급사를 초래할 수 있는 심실세동을 자동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두 그룹의 심실세동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검출 알고리즘은 심실세동의 시간 및 주파수 특성을 일곱가지 조건들에 대한 만족 여부를 이용하여 심실세동을 판정하였고, 실험의 민감도와 선택도는 각각 92.1%, 97 .2% 이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External Biphasic Defibrillator System II (Biphasic 자동형 제세동기 시스템 개발 II)

  • 권철기;정석훈;방경섭;채종필;변길호;김응주;박희남;김정국;김영훈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c
    • /
    • pp.2761-276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biphasic 자동형 제세동기 시스템의 임상적 효용성을 동물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제세동기 시스템은 기존의 monophasic 제세동기와는 달리 낮은 에너지로 세동을 제거하는 biphasic 형으로, 이미 실험실 환경의 테스트를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알고리즘의 탁월한 검출 능력이 확인되었다. 시스템의 임상적 안전성 및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8마리의 돼지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적절한 세동 검출 및 세동제거능력을 실험하였고, 그 후 시스템의 효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로 같은 양의 에너지를 다른 전압 레벨에서 방전시켜 이에 따른 제 세동 효율을 조사하고, 또한 세동 신호의 규칙성과 방전시점에 따른 제 세동 효과를 평가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Slide-Covered of Slide-Covered Contemporary Charging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on Rapidity and Convenience of Defibrillation (슬라이드 커버 동시충전 자동심장충격기가 제세동의 신속성과 편의성에 미치는 효과)

  • Park, Si-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8
    • /
    • pp.325-333
    • /
    • 2020
  • This study compares the rapidity and subjective convenience of T-AED and SC-AED for health care providers and the general public.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AED (n=77) and SC-AED (n=79) groups. Each group conducted defibrillation, with subsequent measurement of the rapidity of defibrillation in peri-shock pause, pre-shock pause, hesitation pause, and post-shock pause. Defibrillation and chest compression delay times for both equipment were analyzed by t-test. On conclusion of the experiment, subjects answered a questionnaire on the subjective convenience of defibrillation, as measured for confidence, convenience, and clear decision. Comparisons of subjective convenience analyzed by t-test revealed significantly shortened peri-shock pause (11.22s), pre-shock pause (11.04s), and hesitation pause (2.15s) in the SC-AED group, as compared to the T-AED group (p<0.001).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post-shock pause values. Comparing subjective convenience, confidence (T-AED: 7.62±1.25VAS vs. SC-AED: 7.80±0.98VAS, p=0.358) was not significant, whereas convenience (T-AED: 7.05±1.36VAS vs. SC-AED: 8.95±0.89VAS, p<0.001) and clear decision (T-AED: 6.58±1.73VAS vs. SC-AED: 9.08±0.98VAS, p=0.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ur results indicate that compared to T-AED, SC-AED has significantly shortened pauses. Moreover, it is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and significantly aids in clear decisions.

Mid-term Result of Operations for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 수술의 중기적 결과)

  • 최종범;고광표;한재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3 no.11
    • /
    • pp.876-880
    • /
    • 2000
  • 배경: Maze수술은 승모판 질환에 동반되는 심방세동의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있다. 이 연구는 승모판 수술과 심방세동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환자에서 심방세동 수술 후 중기적인 결과와 그 재발 여부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방세동 수술과 승모판 수술을 받은 11예의 환자(10예는 류마티스성 승모판 질환)를 대상으로 하였다. Maze II 수술 및 그 변형수술을 6예에서 시행했고, Maze III 수술 및 그 변형수술을 5예에서 시행하였다. 심방세동 수술 후 좌심방의 수축정도를 심방세동 수술 없이 승모판 수술만으로 동율동을 얻은 경우와 비교하였다. 결과: Maze II 수술을 받은 환자 6예 중 5예(83.3%)에서, maze III 수술을 받은 환자 5예 모두에서 동율동을 회복하였다(전체적으로 90.9%). 전자의 1예(20%)와 후자의 2예(40%)에서 수술 후 각각 23, 2, 13개월만에 심방세동이 재발하였다. 그 후 다시 2예는 동율동으로 전환되었으나, 1예는 재발된 심방세동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변형술을 받은 3예에서는 심방세동의 재발이 없었다. Maze 수술 후 4예(40%)에서만 좌심방의 수축기능을 보였으며, maze 수술 후 좌심방 수축 정도(승모판의 A파의 속도)도 maze 수술 없이 승모판 수술과 항부정맥제 투여로 동율동을 회복한 경우보다 낮았다. 결론: 심방세동을 동반한 승모판 수술 환자에서 maze 수술로써 심방세동으로부터 동율동을 회복할 수 있으나 중기적으로 재발할 수 있으며, maze 수술 후 좌심방 수축정도는 상당히 떨어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Long-Term Results of Atrial Fibrillation Surgery with Mitral Valvular Disease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 수술의 장기 결과)

  • 장병철;맹대현;강정한;조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3 no.11
    • /
    • pp.881-885
    • /
    • 2000
  • 배경: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의 경우 그 기간이 길면 승모판막 질환을 수술하여도 동성 율동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적다. 본 연구는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에 대한 변형 Maze 수술후 장기 결과와 심방세도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승모판막 질환과 동반된 심방세동으로 외과적 요법을 시행받은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심방세동의 평균 유병기간은 평균 7.7$\pm$4.5년이었고 수술은 승모판막 대치술 34례(재수술 3례)와 승모판막 성형술 1례를 시행하였고 승모판 질환 수술 외에 동반 수술로는 삼첨판륜 성형술 4례, 삼첨판막 대치술 3례 였다. 심 방세동에 대한 수술은 좌측 폐정맥 부위는 격리하지 않는 변형 Maze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동성 율동으로 회복여부, 심방세동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과 장기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직후 2례를 제외한 33례(93.9%)에서 동성율동으로 돌아왔으나 수술 후 퇴원 전에 12례에서 심방세동이 재발되었다. 수술환자중 1례에서 수술 후 3일에 동성 정지에 따른 심정지가 발생하여 소생되었으나 뇌손상으로 수술 후 15일에 사망하였다. 심방세동이 재발된 경우 수술 후 약 2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항부정맥 약물(mquinidine)과 전기적 제세동으로 치료하여 12례중 10례에서 동성 율동으로 돌아온 환자는 항부정맥 약물을 모두 중단하 였으며, 수술 후 3년에서 9년(평균 71.1$\pm$17.5개월) 추적 관찰 중 9례에서 심방세동이 재발되어 장기간 동성 율동이 유지된 환자는 34명중 25명으로 73.5%이었다. 승모판 질환이 있던 환자에서 수술 후 심방세동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 수술전 심방세동의 기간(동성율동 유지군 : 재발군=6.3년 : 10.3년, P=0.008)과 수술 전 단순 흉부 X선상 심흉비율(0.58 : 0.72, p=0.009)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심초음파 검사상 좌심방의 직경(57.2mm : 77.4mm, p=0.106)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 질환 수술시 병행하여 수술한다면 정상 동성 율동으로 회복될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수술후 재발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술기의 변형에 대한 연구와 약물요법의 병행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hospital care in Pre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y Paramedic's Reports (구급일지를 통한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병원전 응급처치)

  • Koh, Bong-Yeun;Park, Young-S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4
    • /
    • pp.1540-1546
    • /
    • 2010
  • In order to report characteristic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 in whom 119 rescuers used prehospital care by Paramedic's Reports. 1,016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were transferred to hospitals by 119 rescuers between January 1st and December 31st, 2008. Prehospital reports of 983 cardiac arrest patients by 119 were analyzed. Shockable rhythm with AED use was 20.3%(VF 18.4%, VT 1.9%), then 66.5% of shockable cardiac arrest patients was resuscitated by AED. Bystander basic life support was 14.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urrent survival rates between shockable rhythm and non-shockable rhythm(13.0% vs 2.0%,7.4%, p=0.000).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urrent survival rates between adequacy rate of AED(21.6% vs 2.4%, p=0.000).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urrent survival rates between done bystander CPR and none(9.0% vs 5.5%, p=0.10). The performance of bystander CPR and usage of AED, and appropriate CPR done by 119 rescuers were unsatisfactory by paramedic's reports. To improve the adequacy of Basic life Support an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n Advanced Life Suppport, we must challenge to develop the emergency medical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