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목 생성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ross-Lingual Style-Based Title Generation Using Multiple Adapters (다중 어댑터를 이용한 교차 언어 및 스타일 기반의 제목 생성)

  • Yo-Han Park;Yong-Seok Choi;Kong Joo Le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2 no.8
    • /
    • pp.341-354
    • /
    • 2023
  • The title of a document is the brief summarization of the document. Readers can easily understand a document if we provide them with its title in their preferred styles and the language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cross-lingual and style-based title generation model using multiple adapters. To train the model, we need a parallel corpus in several languages with different styles. It is quite difficult to construct this kind of parallel corpus; however, a monolingual title generation corpus of the same style can be built easily. Therefore, we apply a zero-shot strategy to generate a title in a different language and with a different style for an input document. A baseline model is Transformer consisting of an encoder and a decoder, pre-trained by several languages. The model is then equipped with multiple adapters for translation, languages, and styles. After the model learns a translation task from parallel corpus, it learns a title generation task from monolingual title generation corpus. When training the model with a task, we only activate an adapter that corresponds to the task. When generating a cross-lingual and style-based title, we only activate adapters that correspond to a target language and a target style. An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our proposed model is only as good as a pipeline model that first translates into a target language and then generates a title.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natural language generation due to the emergence of large-scale language models. However, research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natural language generation using limited resources and limited data needs to continue. In this regard,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such research.

Automatic Naming of Document Clusters by Using their Hierarchical Structure (계층구조를 이용한 문서 클러스터 제목의 자동생성)

  • Kim, Tae-Hyun;Myaeng, Sung-Hy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163-170
    • /
    • 2001
  • 웹에서 정보를 찾고자 하는 사용자들을 돕기 위해서는 조직화된 방법으로 검색 결과들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문서 클러스터링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문서 클러스터링은 사용자들이 관심의 대상이 되는 문서들을 더욱 쉽게 배치할 수 있게 하고, 검색된 문서집합에 대한 개관을 손쉽게 얻을 수 있게 한다. 클러스터링 결과로 주어지는 각 클러스터의 주제를 사용자들이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하려면 클러스터 제목을 표현하는 문제가 중요시 된다. 본 연구에서는, 웹 디렉토리의 계층적 구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클러스터 제목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대상이 되는 클러스터에 있는 문서들의 내용과 부합되는 계층상의 노드를 계층구조 상에서 찾아내어, 계층구조의 루트로부터 그 노드에 이르는 경로명을 클러스터의 제목으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은 '야후' 디렉토리를 사용하여 실험되었다. 실험 결과, 실험대상 클러스터의 본래 제목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제목을 찾을 수 있는 경우의 정확률이 57.5% 의미적으로 본래 제목에 부합되는 제목을 찾을 수 있는 경우의 정확률이 대략 90%에 이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erformance Comparison of Keyword Extraction Methods for Web Document Cluster using Suffix Tree Clustering (Suffix Tree를 이용한 웹 문서 클러스터의 제목 생성 방법 성능 비교)

  • 염기종;권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28-335
    • /
    • 2002
  • 최근 들어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웹 상에 많은 자료들이 산재해 있습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키워드 검색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키워드 검색은 사용자들이 입력한 단편적인 정보에 바탕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들을 자체적인 기준으로 순위를 매겨 나열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들의 생각과는 다르게 결과가 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검색 시간을 줄이고 편리하게 검색하기 위한 환경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uffix Tree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관련있는 문서들을 분류하고 각각의 분류된 클러스터에 제목을 생성하기 위하여 문서 빈도수, 단어 빈도수와 역문서 빈도수, 카이 검정, 공통 정보, 엔트로피 방법을 비교 평가하여 제목을 생성하는데 어떠한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비교 평가해본 결과 문서빈도수가 TF-IDF보다 약 10%정도 성능이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Title Generation Model for which Sequence-to-Sequence RNNs with Attention and Copying Mechanisms are used (주의집중 및 복사 작용을 가진 Sequence-to-Sequence 순환신경망을 이용한 제목 생성 모델)

  • Lee, Hyeon-gu;Kim, Harksoo
    • Journal of KIISE
    • /
    • v.44 no.7
    • /
    • pp.674-679
    • /
    • 2017
  • In big-data environments wherein large amounts of text documents are produced daily, titles are very important clues that enable a prompt catching of the key ideas in documents; however, titles are absent for numerous document types such as blog articles and social-media messages. In this paper, a title-generation model for which sequence-to-sequence RNNs with attention and copying mechanisms are employed is proposed. For the proposed model, input sentences are encoded based on bi-directional GRU (gated recurrent unit) networks, and the title words are generated through a decoding of the encoded sentences with keywords that are automatically selected from the input sentences. Regarding the experiments with 93631 training-data documents and 500 test-data documents, the attention-mechanism performances are more effective (ROUGE-1: 0.1935, ROUGE-2: 0.0364, ROUGE-L: 0.1555) than those of the copying mechanism; in addition, the qualitative-evaluation radiative performance of the former is higher.

Analysis of the feasibility of using title-id indexing in a news recommendation system (뉴스 추천 시스템에서의 제목 인덱싱의 활용 가능성 분석)

  • Jun-Pyo Kim;Tae-Ho Kim;Sang-Woo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4.05a
    • /
    • pp.680-682
    • /
    • 2024
  • 현재까지 연구되었던 뉴스 추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뉴스 제목, 뉴스 본문, 카테고리 정보 등의 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춤 뉴스를 추천해주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구체적으로는 뉴스의 텍스트 정보를 통해 뉴스를 표현하는 임베딩 벡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맞춤 뉴스를 추천하는 task-specific 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task-specific 아키텍처 내의 뉴스의 임베딩 벡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BERT 와 같은 언어모델을 이용하여 텍스트 정보를 더 잘 반영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구조와 다르게, 뉴스 제목 인덱싱을 통해 전체 뉴스 추천 시스템에서의 언어모델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utomatic Generation of Structured Hyperdocuments from Multi-Column Document Images (복잡환 다단 문서 영상으로부터 구조화된 하이퍼문서의 자동 생성)

  • 이지연;강희중;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458-46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객체를 포함한 다단 문서 영상을 원본 문서와 거의 유사한 형태의 HTML 문서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논문이나 매뉴얼, 책의 한 단원 등 여러장의 입력 문서의 경우, 문서의 논리적인 구조 분석을 수행하고 장이나 절 등의 섹션 제목들을 계층화하여 다단 문서의 변환과 동시에 구조화된 목차 페이지도 함께 자동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다단 문서 변환 알고리즘을 잡지, 신문, 광고지, 매뉴얼 등, 비정형화된 문서에 적용한 결과, 원본 문서의 형태와 구조에 큰 변함없이 유사하게 변환되었고, 논리적인 구조 분석 및 섹션 제목들의 계층화 작업 또한 정확히 수행되어 구조화된 목차 페이지의 자동 생성이 가능하였다.

  • PDF

A Pitch Contour Retrieval Algorithm Using Voice Input (음성 입력에 의한 음곡선 검색 알고리즘)

  • 이호선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0.10a
    • /
    • pp.339-347
    • /
    • 2000
  • 본 논문은 디지털 음악 도서관에서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생성한 음곡선에 의해 임의의 음악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종래의 전형적인 음악정보 검색 항목인 제목이나 작곡자 또는 주제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음악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음악의 일부를 마이크를 통해서 노래한다. 그러면 입력된 음성에 대한 음 신호를 처리하여 음표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정 곡선을 생성하여 이를 탐색 패턴으로 사용한다. 제안한 검색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근사 탐색을 위해 많이 사용하는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과 함께 실험을 통해 탐색 시간을 비교하여 향상된 탐색 시간을 보인다.

Knowledge Base Population Method using Wikipedia (위키피디아를 이용한 지식베이스 개념 확장 방법)

  • Hwang, Myung-Gwon;Choi, Dong-Jin;Kim, Pa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1-4
    • /
    • 2010
  • 다양한 분야에 소속된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개념들을 기존의 워드넷과 같은 지식베이스가 모두 포함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지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위키피디아 문서집합의 분석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위키피디아는 현재 320만개 이상의 유/무형의 개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으며, 현재도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제목(주제) 생성 및 내용 작성이 수행되고 있다. 이에, 위키피디아 문서는 지식베이스의 개념 확장을 위해 아주 유용한 자원이 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위키피디아 문서 제목의 개념화를 통해 기존의 지식베이스와 연결하는 의미적인 방법을 기술한다. 이를 이용한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가 우월한 가능성이 있음을 파악하였다.

  • PDF

Document Classification of Green Technology Literature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s (녹색기술문헌 자동 범주화를 위한 문서 분류기 개발)

  • Joo, Won-Kyun;Park, Min-Woo;Choi, K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762-1763
    • /
    • 2012
  • 최근에 이슈화되고 있는 녹색기술문헌의 중요성에 부합하여 녹색기술 문헌을 자동으로 분류해주는 문서 분류시스템 개발하였다. 분류체계로는 14개의 관심 녹색기술 분류 체계를 선택하였고, 다양한 문서 분류 기법 중 SVM(Support Vector Machine)에 기초를 둔 방법을 이용하였다. 문서 벡터를 생성할 때 제목과 본문에 동일한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법을 벗어나서 제목의 키워드에 좀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Design of a Retrieval System for Digital Music Information (디지털 음악정보 검색 시스템의 설계)

  • 지정규;오해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425-437
    • /
    • 1997
  • 본 논문은 디지털 도서관에서 임의의 음악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종래의 전형적인 음악정보 검색 항목인 제목이나 작곡자 또는 주제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음악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자 하는 음악의 일부를 마이크를 통해서 노래한다. 그러면 입력된 선율에 대한 음 신호를 처리하여 음표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정곡선을 생성하여 이를 탐색 패턴으로 사용한다. 동요를 대상으로 하여 음악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때는 각각의 곡에서 추출한 음정곡선을 이용하여 색인과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색인은 유사 탐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Trie 구조를 사용한다. 탐색패턴을 이용해서 메타 데이터를 탐색할 때는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을 이용하여 유사 탐색을 함으로써 노래의 어느 마리를 부르더라도 쉽게 후보곡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음악의 첫째 동기를 부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첫째 악절로 구성한 색인을 먼저 탐색토록하고, 색인에서 탐색을 실패한 경우(음악의 첫째 동기 이후를 부른 경우)에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유사 음표열 탐색을 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검색이 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