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목

Search Result 65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Object Model of Korean Web Pages for Title Identification (웹문서의 테이블 객체 모델링을 통한 제목 추출 방법)

  • Yoon, Ju-Hyoung;Park, Se-Jong;Lee, Seung-Wook;Han, Young-S.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18-21
    • /
    • 2003
  • 한국어 웹 문서에는 일반적으로 제목이 명시가 되어 있음으로 텍스트를 요약하는 방식의 제목추출과는 달리 여러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웹 문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목에 해당하는 테이블 객체를 찾아내야 한다. 웹 문서를 테이블 객체의 리스트로 보고, 이들을 휴리스틱 규칙에 의해서 본문 후보와 이를 기준으로 하는 제목 후보 객체들로 구분하는 단계와 제목 후보들 간의 확률적 분포 값과 본문과의 언어적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목 객체를 결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목을 인식한다. 인식의 정확성에 기여하는 것은 제목과 본문 객체를 구분하는 규칙 그리고 제목의 확률분포 및 언어적 유사 정도 등이며 이들 각 정보가 정확성에 기여하는 정도를 실험하였다. 무작위로 추출된 500개의 다양한 양식의 웹 문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목인식 정확성은 95.1%였다.

  • PDF

An Object Model of Korean Web Pages for Title Identification (테이블 객체 모델링을 이용한 웹 문서의 제목추출)

  • 박세종;윤주형;이승욱;한영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41-543
    • /
    • 2003
  • 한국어 웹 문서에는 일반적으로 제목이 명시가 되어 있음으로 텍스트를 하는 방식의 제목추출과는 달리 여러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웹 문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목에 해당하는 테이블 객체를 찾아내야 한다. 웹 문서를 테이블 객체의 리스트로 보고, 이들을 휴리스틱 규칙에 의해서 본문 후보와 이를 기준으로 하는 제목 후보 객체들로 구분하는 단계와 제목 후보들 간의 확률적 분포 값과 본문과의 언어적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목 개체를 결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목을 인식한다. 인식의 정확성에 기여하는 것은 제목과 본문 객체를 구분하는 규칙 그리고 제목의 확률분포 및 언어적 유사정도 등이며 이들 각 정보가 정확성에 기여하는 정도를 실험하였다. 무작위로 추출된 500개의 다양한 양식의 웹 문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목인식 정확성은 95.1%였다.

  • PDF

Remnants of Culture in Journal Article Titles: A Comparis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논문 제목상의 문화적 흔적: 한국과 미국의 사회과학분야 비교)

  • Kim, Eungi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6 no.1
    • /
    • pp.345-372
    • /
    • 2015
  • Most academic journals in the world today typically require submission of journal article titles in English. However, most authors and reviewers are insensitive to the fact that cultural differences at a national level exist in writing titles. In this paper, journal article titl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were compared in order to find cross-n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se titles. To conduct this study, sample title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were obtained from two bibliographic databases-Scopus and RISS. A frequency count on number of variables was used: length of title, types of titles and n-gram phrases. In addition, a variety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und from this study including the type of words and phrases that Korean authors tend to favor in journal artic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cultural related variability in the construction of journal article titles. This study suggests that cross national characteristics of journal article titles should be emphasized in the future.

Summarization Based Multi-news Title Extraction Using Term Relevance Estimation and Byte Pair Encoding (단어 관련성 추정과 바이트 페어 인코딩(Byte Pair Encoding)을 이용한 요약 기반 다중 뉴스 기사 제목 추출)

  • Yu, Hongyeon;Lee, Seungwoo;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115-119
    • /
    • 2018
  • 다중 문서 제목 추출은 하나의 주제를 가지는 다중 문서에 대한 제목을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다중 문서 제목 추출에서는 다중 문서 집합을 단일 문서로 본 다음 키워드를 제목 후보군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를 나열하는 형식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다중 문서를 단순히 하나의 문서로 보는 방법은 전체적인 주제를 반영한 제목을 추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키워드를 조합하는 형식의 방법은 키워드의 단위를 찾는 방법에 따라 추출된 제목이 자연스럽지 못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한계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단어 관련성 추정과 Byte Pair Encoding을 이용한 요약 기반의 다중 뉴스 기사 제목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평가를 위해서는 자동으로 군집된 총 12개의 주제에 대한 다중 뉴스 기사 집합을 사용하였으며 전문 교육을 받은 연구원들이 정성평가를 진행하여 5점 만점 기준 평균 3.68점을 얻었다.

  • PDF

Automatic Naming of Document Clusters by Using their Hierarchical Structure (계층구조를 이용한 문서 클러스터 제목의 자동생성)

  • Kim, Tae-Hyun;Myaeng, Sung-Hy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163-170
    • /
    • 2001
  • 웹에서 정보를 찾고자 하는 사용자들을 돕기 위해서는 조직화된 방법으로 검색 결과들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문서 클러스터링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문서 클러스터링은 사용자들이 관심의 대상이 되는 문서들을 더욱 쉽게 배치할 수 있게 하고, 검색된 문서집합에 대한 개관을 손쉽게 얻을 수 있게 한다. 클러스터링 결과로 주어지는 각 클러스터의 주제를 사용자들이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하려면 클러스터 제목을 표현하는 문제가 중요시 된다. 본 연구에서는, 웹 디렉토리의 계층적 구조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클러스터 제목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대상이 되는 클러스터에 있는 문서들의 내용과 부합되는 계층상의 노드를 계층구조 상에서 찾아내어, 계층구조의 루트로부터 그 노드에 이르는 경로명을 클러스터의 제목으로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은 '야후' 디렉토리를 사용하여 실험되었다. 실험 결과, 실험대상 클러스터의 본래 제목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제목을 찾을 수 있는 경우의 정확률이 57.5% 의미적으로 본래 제목에 부합되는 제목을 찾을 수 있는 경우의 정확률이 대략 90%에 이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Title Named Entity Recognition based on Automatically Constructed Context Patterns and Entity Dictionary (자동 구축된 문맥 패턴과 개체명 사전에 기반한 제목 개체명 인식)

  • Lee, Joo-Young;Song, Young-In;Rim, Hae-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4.10d
    • /
    • pp.40-4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영화명, 도서명, 음악명 등의 제목 개체명 인식을 위한 새로운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제목 개체명은 개체명 내부에 기존 MUC에서 분류한 인명, 지명, 기관명 등과 같은 일반적인 개체명과는 달리, 철자 자질 등 내부 자질을 사용하기 어려우며, 제목 개체명 부착 말뭉치가 없기 때문에 기존 연구에서 좋은 성능을 보인 방법들을 적용하기는 힘들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원시 말뭉치에서 자동으로 구축한 문맥 패턴 정보와 개체명 사전을 사용하여 제목 개체명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패턴과 제목 개체명 사전 구축을 위해, 사전 정보를 이용한 패턴 확장과 이렇게 구축된 패턴 정보를 사용한 사전 확장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문맥 패턴과 제목 개체명 사진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정보가 제목 개체명 인식에 도움이 됨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 PDF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hooking headlines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낚시성 기사 제목 분류에 대한 연구)

  • Choi, Yong-Seok;Choi, Han-Na;Shin, Ji-Hye;Jeong, Chang-Min;An, Jung-Yeon;Yoo, Chae-Young;Im, Chae-Eun;Lee, Kong-J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5-17
    • /
    • 2015
  • 본 논문은 낚시성 기사 제목과 비낚시성 기사 제목을 판별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시한다. 서포트 벡터 머신(SVM)을 이용하여 기사 제목을 분류하며, 분류하는 기준은 딥러닝 기법중의 하나인 워드임베딩(Word Embedding), 군집화 알고리즘 중 하나인 K 평균 알고리즘(K-means)을 이용한다. 자질로서 기사 제목의 단어를 사용하였으며, 정확도가 83.78%이다. 결론적으로 낚시성 기사 제목에는 낚시를 유도하는 특별한 단어들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 PDF

Untitled Effect: Effect of Type of Artwork Title on Audience Reaction (무제의 효과: 미술품 제목의 유형이 관람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 Park, Ju-Yeon;Shin, Hyung-D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9
    • /
    • pp.600-611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s of types of titles of artworks, especially 'untitled', on audience reponse. Generally, naming can be a tool to represent characteristics of objects, affecting their market value and price. Since contemporary artworks are often untitl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naming 'untitled' would affect audience response. As the size of arts market increasing, how the audience, potential buyer of artworks, responds to artworks is important. Based on prior research, we hypothesized that the audience would have different level of understanding, attention, attractiveness and curiosity to untitled artworks, controlling other factors. In the regression results from the data of 305 respondents, we found that people ha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understanding and attention on untitled artworks than on artworks of explanatory or associative titles. In addition, respon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uriosity when the artwork was an painting. This study confirmed the assertions of prior research that titles are indeed important, and further implied that artwork creators should be more concerned on naming their artworks since titles as well as artworks themselves could actually affect audience response.

Automatic Title Detection by Spatial Feature and Projection Profile for Document Images (공간 정보와 투영 프로파일을 이용한 문서 영상에서의 타이틀 영역 추출)

  • Park, Hyo-Jin;Kim, Bo-Ram;Kim, Wook-Hy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1 no.3
    • /
    • pp.209-214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of segmentation and title detection for document image. The automated title detection method that we have developed is composed of two phases, segmentation and title area detection. In the first phase, we extract and segment the document image. To perform this operation, the binary map is segmented by combination of morphological operation and CCA(connected component algorithm). The first phase provides segmented regions that would be detected as title area for the second stage. Candidate title areas are detected using geometric information, then we can extract the title region that is performed by removing non-title regions. After classification step that removes non-text regions, projection is performed to detect a title region. From the fact that usually the largest font is used for the title in the document, horizontal projection is performed within text area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of segmentation and title detection for various forms of document images using geometric features and projection profile analysis. The proposed system is expected to have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document title recognition, multimedia data searching, real-time image processing and so on.

Cross-Lingual Style-Based Title Generation Using Multiple Adapters (다중 어댑터를 이용한 교차 언어 및 스타일 기반의 제목 생성)

  • Yo-Han Park;Yong-Seok Choi;Kong Joo Le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2 no.8
    • /
    • pp.341-354
    • /
    • 2023
  • The title of a document is the brief summarization of the document. Readers can easily understand a document if we provide them with its title in their preferred styles and the language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cross-lingual and style-based title generation model using multiple adapters. To train the model, we need a parallel corpus in several languages with different styles. It is quite difficult to construct this kind of parallel corpus; however, a monolingual title generation corpus of the same style can be built easily. Therefore, we apply a zero-shot strategy to generate a title in a different language and with a different style for an input document. A baseline model is Transformer consisting of an encoder and a decoder, pre-trained by several languages. The model is then equipped with multiple adapters for translation, languages, and styles. After the model learns a translation task from parallel corpus, it learns a title generation task from monolingual title generation corpus. When training the model with a task, we only activate an adapter that corresponds to the task. When generating a cross-lingual and style-based title, we only activate adapters that correspond to a target language and a target style. An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our proposed model is only as good as a pipeline model that first translates into a target language and then generates a title.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natural language generation due to the emergence of large-scale language models. However, research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natural language generation using limited resources and limited data needs to continue. In this regard,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such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