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도(制度)

Search Result 16,199,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사학연금 재해보상제도 개선 방안 연구

  • Jeong, Chang-Ryul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2
    • /
    • pp.11-46
    • /
    • 2017
  • 이 연구는 사학재해보상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사학재해보상제도의 제도 성격부터 시작하여 제도의 내용과 현황, 그리고 문제점을 산재보험과 공무원재해보상제도와의 비교를 통해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사학재해보상제도는 공무원재해보상제도를 준용하여 왔기 때문에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공무원재해보상제도가 최근 들어 재해보상제도의 성격에서 벗어나서 보훈적 성격을 강화하면서 두 제도 사이의 괴리가 커지고 있다. 사학재해보상제도를 포함하는 사학연금은 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아왔기 때문에 독자적인 제도를 운영하지 못하고 공무원연금제도를 준용하여 왔으나, 퇴직연금이나 퇴직수당과 달리, 사학재해보상제도는 정부의 재정지원으로부터 벗어나 있다는 점에서 중장기적으로 제도의 독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도 개선 사항을 제시하였다. 휴업급여를 도입하여 요양중 소득손실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고, 장해연금과 유족연금을 산재보험 수준으로 높이되, 유족보상금과 유족연금부가금을 폐지하고 장해연금과 퇴직연금 사이의 병급을 일부 조정하도록하며, 직무상 사망에 대한 사망조위금은 높이되 가족의 사망에 대한 사망조위금을 폐지하도록 한다.

2004 건설정책$\cdot$제도 무엇이 어떻게 바뀌나 - 실적공사비적산제$\cdot$최저가낙찰제 및 저기심의제, 민자유치제도 등의 변화가 핵심 -

  • 이상호
    • 주택과사람들
    • /
    • s.164
    • /
    • pp.30-32
    • /
    • 2004
  • 2004년도 건설 정책 및 제도 변화의 핵심이슈는 공사 원가 산정 제도 개편, 최저가 낙찰제 확대와 관련 제도 변화, 민자유치제도 개선, 턴키/대압 입찰제도 개선, 건설 업역 규제개선, 부정/부패 척결, 지방 분권과 지자체 조달 권한 확대 추진, DDA/FTA 타결에 대비한 제도 정비 등으로 요약해볼 수 있다.

  • PDF

Report - 상표법상 법정손해배상제도에 관한 비교법적인 검토 및 제언

  • Jeong, Tae-Ho
    • 발명특허
    • /
    • v.37 no.7
    • /
    • pp.28-33
    • /
    • 2012
  • '법정손해배상제도'는 개정 상표법에 새롭게 도입된 제도인데, 한 미 FTA 협정에서 법정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것에 근거하여 동 협정문의 제18.10조 제6항을 국내법에 반영하기 위해 상표법 제67조의2에 도입한 것이다. 법정손해배상제도는 미국의 제도를 반영한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미국의 제도를 그대로 도입한 것도 아니고, 저작권법상의 법정손해배상제도에 관한 규정의 내용과도 다소간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우리나라의 상표법상 법정손해배상제도를 미국 상표법상 법정손해배상제도 및 우리나라의 저작권법상의 법정손해배상제도와 비교해 보면서, 그 차이점과 보완할 점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보도록 하겠다.

  • PDF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에서의 업무관리 프로세스 제안

  • Kim, Bu-Yeong;Choe, Un-Gyu;Kim, Yeong-Du;Jo, Ik-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34-236
    • /
    • 2012
  •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이하 제도)의 고도화를 위하여 제도 및 법적 체계의 개선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사업자를 비롯한 관련기관들은 제도 체계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제도를 규제로 보는 인식이 늘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업자를 비롯한 관련기관들의 제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제도에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제도의 프로세스 분석을 실시하게 되었다. 프로세스 분석은 개정된 해상교통안전진단 시행지침 중 "제2장 안전진단 및 안전진단서", "제3장 안전진단서 제출 면제사업 및 의견서 작성"의 안전진단항목 결정절차, 안전진단서의 제출 및 사전검토 절차, 진단면제의견서 검토절차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이는 제도의 교육자료 및 가이드북의 내용으로서 활용할 예정이다.

  • PDF

How Does Foreign Direct Investment Affect Unbundled Institution? (외국인 직접투자는 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Suh, Hanseok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5 no.3
    • /
    • pp.535-558
    • /
    • 2011
  • Based on the Rodrik's four-way partition of institutions; market creating, market regulatory institution, market stabilizaing and market legitimizing institution, we analyze how FDI and interaction between FDI and democracy affect four kinds of institutions. By using fixed effect and system GMM model we estim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FDI on institutions within a large panel data set of 186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for the period 1985-2009. We show that FDI inflows do not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most kinds of institutions while interaction between democracy and FDI inflows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market creating, market legitimizing and market stabilizing institution. The implication is FDI inflow does not directly lead to change the quality of institution but can indirectly improve it on the condition that democracy of host country become mature.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article to empirically test the FDI and four-way unbundled institutions linkages.

미국, 일본의 원자력 수출통제제도 분석 및 국내제도 구축방향

  • 최영록;최영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1081-1086
    • /
    • 1995
  • 미국과 일본이 원자력공급국그룹(NSG)의 지침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원자력 수출통제제도의 구축방향을 제시하였다. 미국의 제도와 일본의 제도는 법체계 등 자국의 특성을 반영하여 서로 다르게 구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경우도 우리의 주변 환경과 각국 제도의 장점을 반영한 효율적인 제도 구축 노력이 필요하다.

  • PDF

Party Autonomy in Korean and U.S Court-Annexed Mediation System (한국과 미국의 법원내 조정제도에서 당사자 자치 원칙)

  • Chang, Moon-Chul
    • Journal of Arbitration Studies
    • /
    • v.17 no.2
    • /
    • pp.125-139
    • /
    • 2007
  • 최근 한국과 미국 법원에서는 조정제도를 자주 이용하고 있다. 조정제도를 이용함으로써 법원은 사건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송지연을 막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조정제도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일반 조정제도의 기본원칙인 당사자 원칙을 최대한 반영하고 법원의 개입은 제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점에 있어 미국과 한국의 법원내 조정제도에 비교해볼 때, 전자가 법원의 개입은 필요한 최소한에 그치고 조정인과 분쟁당사자간의 당사자자치를 최대한 보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은 한국과 미국의 법원내 조정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효과적인 법원내 조정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개선해야 한 점을 제시하고자한다. 한국과 미국의 법원내 조정제도의 근본적인 차이는 조정절차진행에서 법원의 역할과 관련되어 있다. 특히 미국법원은 분쟁 당사자들 스스로 분쟁해결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에 주력하는 반면, 한국법원은 조정절차 전 과정에서 분쟁해결에 적극 개입한다. 보다 공정하고 효율적인 민사조정절차를 위해서는 관련법의 정비뿐만 아니라 조정인의 교육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 PDF

Vocational Training and Qualifications Systems in Britain and Germany: Their Distinct Features and Recent Developments (영국과 독일의 직업훈련·숙련자격제도: 특정 및 최근 변화)

  • Jeong, Jooyeo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6 no.1
    • /
    • pp.75-110
    • /
    • 2003
  • It is urgent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vocational training and qualification systems in advanced nations in order to evaluate and reform the Korean counterparts. In the British case, the system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market-led one to the state-led one while the German system is still classified as a corporatistic one. This structural difference is crucial to understand their performances and the German one won a relatively more positive evaluation in its performance. Howev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erman system has lately revealed numerous limitations in face of the political unification and long duration of economic recessions. This study shows that those differences in structural and functional features and recent developments of the systems in two nation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ir differences in educational philosophies and occupational cultures, roles of the state and employers, and operation mechanisms of training courses and vocational qualifications systems. Understanding those national differences raises a fundamental question on the hasty prescription of some domestic studies that a few policies in the foreign systems must be implanted to reform the Korean counterpart without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domestic and those foreign systems.

  • PDF

전자정부 소프트웨어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개발보안 제도 연구

  • Park, Yang Hwan;Kim, Min Kyoung
    • Review of KIISC
    • /
    • v.26 no.1
    • /
    • pp.20-26
    • /
    • 2016
  • 국내 개발보안 제도는 2012년 12월부터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제도'를 의무화 하며 시작 되었다. 3년여가 지난 지금 시점에서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제도는 안정화가 되어가고 있지만 보완할 사항도 일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제도가 먼저 정착된 미국의 개발보안 제도의 동향과 국내에서 개발보안 제도가 정착되는 과정에서의 변화된 점에 대해서 분석한다. 또한 개발보안 제도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한 개선 방향에 대해서 제시한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Surveying System (우리나라 측량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유복모;조영원;조기성;박성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9 no.2
    • /
    • pp.57-66
    • /
    • 1991
  •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present situation of our national surveying system, in fields such as professional surveyor system, the surveying industry, the consultancy pricing system. The problems are identified to presen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system. The professional surveyor system was compared to other systems in the Asia Zone and the surveying industry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with the regulations of the architectural industry. The improvements suggested include upgrading of surveying technology and of surveying personnel, increase investment into education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in policy upgrading such as providing aids to small scale companies and in distributing the concentrated activities in the capital city to other regional areas. Also the pricing for the surveying activities and consulting activities should he adjusted in fields such as price items, grades of surveyors and overhead cos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