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제거능

Search Result 93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수중 중금속의 연속적인 제거에 있어 여러 흡착제의 제거능 비교에 관한 연구

  • 신주남;김동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2.05b
    • /
    • pp.281-288
    • /
    • 2002
  • Crab shell 충진 칼럼을 이용한 수중 중금속의 연속적 제거에 있어서 다른 흡착제 (CER, GAC, Zeolite)와 비교 실험을 통하여 crab shell의 중금속 제거능을 알아보았다. 수중 $Pb^2+/{2+}$ 의 column을 이용한 연속적제거에 있어서 미세침전부분이 외부로 배출됨으로 칼럼 외부에 여과시스템의 도입함으로써 중금속 제거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중금속의 연속적 제거에 있어서 CER의 1,000 BVs까지의 전체 제거량은 0.35mmol/g, GAC는 0.17mmo1/g, zeolite는 0.16 mmol/g으로 나타났고 crab shell에 의한 중금속 제거량은 0.61 mmol/g으로 다른 흡착제보다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수중 중금속의 연속적 제거에 있어서 여러 흡착제의 제거 순서는 crab shell > CER > GAC > zeolite 로 나타났다. Crab shell의 경우는 파과점이 2,000 BVs에서 나타나므로 일반적인 폐수처리의 화학적 처리 후 잔존하는 저농도의 중금속을 제거를 위해 crab shell 충진 칼럼이 유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Crab shell의 재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crab shell을 이용한 중금속 제거공정에서 연속적인 중금속제거와 탈착과정을 통하여 보았을 때 1회에서 $Pb^2+/{2+}$제거된 량은 0.71 mmol/g 제거되었고 2회에서는 0.27 mmol/g, 3회에서는 0.02 mmol/g으로 급격하게 crab shell의 제거능이 떨어지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 이는 crab shell이 재사용이 불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나 다른 흡착제보다 월등한 제거효율을 보이므로 수중 중금속의 연속적 제거 흡착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이온교환에 의한 Silica 제거능 연구

  • Yun, Tae-Gyeong;Lee, Gang-Chun;No, By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78-27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수중 silica 제거에 이온교환수지의 성능이 실험되었다. 음이온 단일수지에 비해 양이온/음이온 혼합수지가 silica제거에 효과적이었고, 혼합수지에서 온도가 높을수록 교환반응속도는 빨랐다. 음이온과 양이온교환능은 용액의 pH를 변화를 측정하여 해석할 수 있었다. 용액에 공존하는 양이온인 $Na^+$는 혼합수지에서 pH변화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었고, 이러한 pH의 변화는 silica의 제거능에 영향을 주었다. 각 온도에서 도달된 평형농도로부터 각 수지에 대한 silica의 선택도계수가 측정되었다.

  • PDF

게 껍질을 이용한 중금속 제거공정에서 각 중금속들($Pb^{2+}$, $Cr^{3+}$, $Cd^{2+}$)의 제거능 비교

  • 신주남;박병윤;김동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68-172
    • /
    • 2001
  • 실제로 폐수 등에는 중금속 이온이 단일이온으로 존재하기보다는 여러 중금속으로 존재하여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런 혼합 중금속의 이온들은 모두 경쟁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각각의 중금속이온의 제거능은 떨어지지만 전체적인 중금속 제거량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THM Formation Potential According to the Changes of Bromide Concentration of Influent Water in BAC Process (생물활성탄 공정에서 계절별 유입수의 $Br^-$ 농도변화에 따른 THM 생성능 구성종별 제거 특성)

  • Son, Hee-Jong;Yoo, Pyung-J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1 no.5
    • /
    • pp.378-38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evaluation of removal efficiency of THMFP in BAC. The changes of four types of THMFP and total THMFP were examined in the influent and effluent of BAC filter from March to December in 2008. It turned out that the amounts of brominated THMFP were obviously higher in winter and autumn compared to the spring and summer, which also resulted in an increase of the total-THMFP levels during winter and autumn. In addition, long-term running of BAC filter shows the good removal function of chloroform formation potential, but not brominated THMFP; with further bromination, this function was declined, as it shows the formation of bromoform in BAC filter during October and December. These results were caused by changing of the proportion of $Br^-$/DOC.

Studies on Protein Removing Activity of New Lens Cleaner

  • Jean Hyun;Park, Jong-Woo;Park, Kun-Hyo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6.04a
    • /
    • pp.275-275
    • /
    • 1996
  • Rudko method에 의한 단백질 제거능 시험 결과, 기존에 시판 중인 렌즈 세척제 보다 신규 처방화 된 렌즈 세척제의 단백질 제거능이 1.5배 이상 우수하였으며, 전자 주사 현미경 사진과 비교시 동일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가 있다.

  • PDF

Crab shell 충진 칼럼을 이용한 수중 중금속의 연속 제거능 비교에 관한 연구

  • 신주남;김동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2.05b
    • /
    • pp.289-295
    • /
    • 2002
  • Crab shell 충진 칼럼을 이용한 수중 중금속의 연속적 제거에 있어서 여러 중금속 ($Pb^{2+}$ , $Cd^{2+}$ , $Cu^{2+}$ , $Cr^{3+}$ )의 제거능 비교와 중금속 제거 전후의 crab shell의 표면 변화를 관찰해 보았다. Crab shell 충진 칼럼의 중금속 제거능을 알아보기 위해, 가장 변화가 많은 1,000 BVs까지의 crab shell g 당 각각 중금속의 제거량을 비교해 보면 $Pb^{2+}$(0.61 mmol/g) > $Cu^{2+}$(0.43 mmol/g) > $Cd^{2+}$(0.38 mmol/g) > $Cr^{3+}$(0.30 mmol/g) 순으로 나타났다. $Cd^{2+}$의 경우는 미세 침전보다는 내부의 화학적 침전이나 물리적 침전에 의한 제거가 더 많이 일어나고 $Pb^{2+}$의 경우는 유출되는 미세 침전량이 전체 제거량 중 26.6 %를 차지 하고 칼럼내 crab shell 표면에서도 다른 중금속들보다 월등히 많은 미세 침전물이 관찰 됨으로 $Pb^{2+}$의 경우는 중금속 제거는 화학적 침전이나 물리적 침전에 따른 미세침전에 의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Cu^{2+}$$Cr^{3+}$의 경우, 중금속의 고유 색깔인 청색이 중금슥 제거가 끝난 후 crab shell 표면에 착색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Crab shell 충진 칼럼을 이용한 수중 중금속 제거 후 중금속을 고농도로 수거하기 위한 탈착에 있어서는 초기 20 BVs 내에서 대부분의 중금속이 탈착되어 유출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mmonia-removing Bacteria from a Food-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식품 폐수 처리 시설에서 암모니아성 악취제거 세균의 분리 및 특성 분석)

  • Oh, Kyoung-Hee;Choi, In-Hak;Cho, Young-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6
    • /
    • pp.653-658
    • /
    • 2008
  • The bacteria responsible for the reduction of ammonia concentration in a food-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were isolat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isolated bacteria were closely related to the bacteria belonging to genus Citrobacter, Enterobacter, Buttiauxella, Shigella, and Aeromonas, which were found in gut of animals, indicating the isolated bacteria may come from the butchery-byproduct of pigs which is the main component of wastewater. When we monitored the concentration of nitrite and nitrate in the process, it was relatively constant, indicating the isolated bacteria reduce ammonia concentration through ammonia assimilation. Based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ammonia by the isolated bacteria, we concluded that they play a role in the reduction of odorous compounds.

Characteristics of Hydrogen-sulfide(H2S) removal by a Biofilter with Organic Materials, Peat and Rock wool (유기담체인 Peat 및 Rock wool을 사용한 바이오필터에 의한 황화수소(H2S)의 제거특성)

  • Kim, Nam-ji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9 no.3
    • /
    • pp.136-144
    • /
    • 2001
  • Two organic materials, peat and rock wool were used for removal of $H_2S$ by a biofilter inoculated with night soil sludge. By gradually increasing the inlet load of $H_2S$, the complete removal capacity, which was defined as the inlet load of $H_2S$ that was complete removed, and the maximum removal capacity of $H_2S$, which was the value when the removal capacity leveled off for organic materials, were estimated. Both values for Rock wool are larger than peat, based on a unit dry weight of material. By using kinetic analysis, the maximum removal rate of $H_2S$, $V_m$, and the saturation constant, $K_s$, were determined for all packing materials and the values of $V_m$ for rock wool was found to be larger. By using the kinetic parameters, the removal rates for $H_2S$ were compared both packing materials, and rock wool showed better performance for the removal of $H_2S$ in the inlet concentration range of 0~200ppm.

  • PDF

The Study on the Removal Process of Heavy Metals from Mine Drainage Using Coal Bottom Ash (석탄 바닥회를 이용한 광산배수의 중금속 제거 공정 연구)

  • Kim, Hye Rim;Lee, Jung Mi;Han, In Kyu
    • Resources Recycling
    • /
    • v.29 no.6
    • /
    • pp.41-47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tilize the coal bottom ash generated in a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boiler as a treatment agent for heavy metal ions,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remove heavy metal ions from the acid mine drainage. The bat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osage of ash, initial concentration of solution on the removal capacity of heavy metal ions (Cu, Cd, Cr, Pb).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total removal capacity of heavy metals was 30.8 mg/L and 46.4 mg/g, respectivel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oncentration of coal ash was added as 15 g/L of heavy materials and 10 g/L of light materials. After that, a long-term colum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maximum removal capacity of heavy metal ions (Cu, Cd, Cr, Pb, As), and the removal capacity for each metal component was investigated. After approximately 60 days of operation, the maximum removal capacity of heavy metals was 23.6 mg/g at pH 9.25.

Crab shell과 chemical sorbent의 중금속 제거능 비교에 관한 연구

  • 안희경;박병윤;김동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34-139
    • /
    • 2000
  • Crab shell의 중금속 제거 가능성과 그 효율을 검토하기 위하여 chemical sorbent인 cation exchange resin(CER), zeolite, granular activated carbon(GAC), powdered activated carbon(PAC)의 중금속 제거능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1) 0.1 mM~l.0 mM의 초기 중금속 농도에서 중금속 제거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았을 때 중금속 제거의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농도가 높을수록 오래 걸렸으며 단위 흡착제 질량당 중금속 제거량은 초기 중금속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구리 이온 제거 실험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crab shell의 구리 이온 제거량이 CER의 경우보다 조금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부분의 중금속 제거에 있어서는 crab shell이 다른 chemical sorbent에 비해 뛰어난 중금속 제거능력을 보였다. 2) 흡착 등온 모델에 적용해 보았을 때, 단위 흡착제 질량당 중금속 최대 흡착량이 crab shell > CER > zeolite > PAC =GAC의 순으로, 모든 중금속 제거 실험에서 crab shell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폐수처리 공정에서는 GAC나 PAC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수중의 중금속을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crab shell을 폐수처리 공정에 응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