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확도 분석

검색결과 16,498건 처리시간 0.048초

지상에 배치된 의사위성의 위치에 따른 측위 정확도 분석 (Analysis of DOP using pseudolite on the ground)

  • 채규수;임중수;김민년;김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01-203
    • /
    • 2011
  • 본 논문은 지상에 배치된 의사위성의 배치에 따른 측위 정확도 분석에 대한 연구결과이다. 의사위성의 배치 간격에 따라 수신기에서의 측위 정확도(DOP, Dilution of Precision)가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배치에 따른 측위 정확도를 이론적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특히 의사위성의 배치 시 디지털 지형 지도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계산 될 수 있도록 하였고 측위정확도를 계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 PDF

IGS 정밀궤도력을 이용한 SBAS 위성궤도 및 시계보정정보의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SBAS Satellite Orbit and Clock Corrections using IGS Precise Ephemeris)

  • 정명숙;김정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78-186
    • /
    • 2009
  •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시스템에서는 GNSS 사용자들의 위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위성궤도 및 시계보정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보정정보의 정확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에서 제공하는 GPS 위성의 정밀궤도력을 참값으로 가정하고, 그에 대한 오차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분석/수행하였다. 이때 IGS 정밀궤도력과의 정확한 비교를 위해 GPS 위성에 대한 안테나 위상중심 편차와 P1-C1 편이를 고려하였다. SBAS 위성궤도 및 시계보정 정보로는 미국의 WAAS와 일본의 MSAS 보정정보를 이용하였다. 정확도 분석을 통해 SBAS에서 제공하는 위성궤도 보정정보와 위성시계 보정정보가 상당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정정보의 정확도는 SBAS 시스템의 지상 네트워크 크기와 위성의 궤적에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앙상블 기법을 활용한 온라인 음식 상품 리뷰 감성 분석 (Sentiment analysis of online food product review using ensemble technique)

  • 김한민;박경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115-122
    • /
    • 2019
  • 온라인 마켓에서 소비자는 다양한 상품을 접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한다. 소비자의 상품 리뷰가 다른 소비자와 온라인 마켓의 성공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온라인 마켓은 판매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정확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 분석 기법 중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은 상품에 대한 소비자 리뷰를 분석하여 상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선행 연구들은 데이터 도메인과 사이즈에 따라 분석 결과의 정확도가 다르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특정 도메인과 2만개 미만의 데이터를 분석해왔다. 또한,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추가 요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앙상블 기법을 활용하여 기존 연구에서 주로 다루지 않은 음식 상품 도메인의 72,530개 리뷰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정확도 향상과 관련하여 요약 리뷰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다르게 부스팅 앙상블 기법이 가장 높은 분석 정확도를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요약 리뷰는 분석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 레이저 매핑 시스템에 의한 DTM 생성의 정확도 분석 (Accuracy Assessment of DTM by Airborne Laser Mapping System)

  • 김영배;서정헌;임삼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5-11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항공 레이저 매핑 시스템(Airborne Laser Mapping System, ALMS)에 의해 생성된 DTM의 정확도 분석을 위해 500 m 간격으로 측점지역을 선정하고 GPS 측량을 통한 다양한 검증방법으로 DTM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ALMS에 의한 DTM의 각 점 사이의 고도값 추정을 위해 TIN을 제작하였고, GPS를 이용한 측점들의 커버리지를 제작하여 TIN과 중첩하는 방법으로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ALMS에 의한 DTM의 고도값 정확도는 기존의 수치표고모델 제작방법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1/5000이상의 수치표고 제작에 ALMS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형 푸시브룸 센서모델의 번들조정 정확도 및 외부표정요소추정 정확도 분석 (Investigation on the Accuracy of bundle Adjustments and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 Estimation of Linear Pushbroom Sensor Models)

  • 김태정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7-145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선형 푸시브룸 방식으로 촬영한 위성영상에 대한 다양한 센서모델들의 정확도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센서모델의 정확도를 번들조정의 정확도와 외부표정요소추정의 정확도로 분리하여 고찰하려고 한다. 번들조정 정확도는 수립된 센서모델이 얼마나 기준점에 잘 부합하는 가를 알려주는 척도로 이제까지 대부분의 센서모델 정확도 분석에 사용되어온 기준이다. 이에 반하여 외부표정요소추정의 정확도는 센서모델이 얼마나 정확하게 촬영당시의 위성의 궤도 및 자세를 예측할 수 있는 지의 척도로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간과해온 부분이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센서모델 중에서 사진측량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변형된 공선방정식기반 모델과 위성지상국 또는 자세제어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궤도좌표계 및 자세각에 기반한 모델의 정확도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실험은 다목적실용위성 1호 EOC 영상과 GPS 수신기에서 취득한 기준점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번들조정 정확도는 두 모델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부표정요소추정 정확도는 궤도좌표계 및 자세각에 기반한 모델이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지상에 배치된 전파항법 신호원의 거리오차 분석 (Analysis of HDOP for RF navigation transmitters on the ground)

  • 임중수;채규수;김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49-651
    • /
    • 2011
  • 본 논문은 지상에 배치된 전파항법신호원의 배치에 따른 거리측정 정확도 분석에 대한 연구이다. 전파항법신호원의 배치 형태에 따른 수신기에서의 수평 측위 정확도(HDOP, Horizontal Dilution of Precision)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배치에 따른 측위 정확도를 이론적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전파항법신호원의 배치를 위한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다.

  • PDF

횡단면 유속 분포를 이용한 표면영상유속계의 정확도 개선 (Accuracy Improvement of SIV(Surface Image Velocimetry) by using Cross-Section Velocity Distribution)

  • 류권규;김서준;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898-1902
    • /
    • 2009
  • 영상 분석에서는 적절한 탐색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측정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탐색 범위는 흐름장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탐색 범위를 작게 잡을 경우 분석 시간이 절약되고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나, 지나치게 작게 되는 경우는 오히려 유속 분포 추정에 큰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에 탐색 범위를 크게 잡을 경우에는 유속 분포 추정에 큰 오류를 범할 가능성은 줄어들지만, 분석 시간이 길게 되며 전반적인 정확도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탐색 범위의 설정은 영상 분석의 정확도 향상에서 큰 관건이 된다. 실험실 수로의 경우 유속 분포에 대해 사전에 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유속이나 수위가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적절한 탐색 범위의 선정이 어렵지 않다. 그러나, 현장 적용을 위한 고정식 표면영상유속계의 경우, 수위와 유량이 급변하고 또한 수위에 따른 유속 분포의 변화가 매우 심하므로 적절한 탐색 범위의 선정이 용이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된 탐색 범위를 설정하여 일차적으로 유속 분포를 추정하고, 여기서 얻은 유속 분포에 기반하여 탐색 영역을 보다 정밀하게 설정하고 재탐색을 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유속 분포에 기반한 탐색 영역의 설정을 통하여 유속 분포 추정의 정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괴산댐 하류에 위치한 수전교에서 2008년 7월 $23{\sim}24$일 동안의 영상 자료를 이용한 추정 결과, 추정 유량의 오차를 절반 정도 줄여서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VRS GNSS의 지적측량에 적용을 위한 정확도 분석 (The Accuracy Analysis of VRS GNSS for Applying Cadastral Surveying)

  • 홍성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94-1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VRS GNSS(GPS/GLONASS)를 이용하여 지적측량에서의 위치결정 정확도를 분석하여 보고, 이를 토대로 성과결정의 정확도 향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GPS 위성데이터만을 수신 한 결과 보다 GPS/GLONASS 위성데이터을 통합으로 수신해 위치를 결정한 결과가 대략 3cm 정도 위치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VRS GNSS 통합 수신 방식이 지적측량에 도입된다면 위치 정확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 질의응답시스템에서 구문정보에 기반한 질의분석 (Question Analysis based Syntactic Information in Korean Question Answering System)

  • 신승은;서영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931-93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질의응답시스템에서 정확한 정답추출을 위한 구문 정보에 기반한 질의분석을 제안한다. 질의분석은 세부 정답 유형 결정, 세분화된 키워드 추출을 통해 정확한 정답추출을 목적으로 한다. 술어 유형 정보를 이용하여 대분류 수준의 정답 유형으로 질의분석을 수행하고. 구문 구조 정보를 이용하여 중요 키워드와 일반 키워드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정답 유형 자질 명사를 이용하여 세부 정답 유형을 결정한다. 실험을 통해 세부 정답 유형 결정에서 정확률 59%, 세분화된 키워드 추출에서 정확을 66%를 보였다.

  • PDF

육상 국지 예보 구역의 예보 정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ecast Accuracies by the Localized Land Forecast Areas over South Korea)

  • 박창용;최영은;김승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육상 국지 예보 구역을 대상으로 예보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평가 요소별 정확도는 강수 유무가 가장 낮았고 하늘 상태가 가장 높았다. 지역적으로 예보 정확도는 강원도에서 가장 낮았으며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에서 높았다. 계절별 예보 정확도의 만점 빈도는 겨울에 가장 높았고 여름에 가장 낮았다. 예보 정확도가 낮은 날의 기압 배치형을 분석했을 때 여름철에는 정체전선형 기압 배치에서 강수 유무의 예보 정확도가 낮았다. 가을과 겨울에는 한대 고기압 확장형 기압 배치에서 기온 예보의 정확도가 크게 낮아지는 경우가 많았다. 봄과 가을의 이동성 고기압형 기압 배치에서는 날씨가 급격하게 변하여 예보 정확도가 낮았다. 예보 정확도가 가장 낮은 지역인 영동 지역의 상층 850hPa 고도의 풍향 자료와 예보 정확도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최저 및 최고 기온은 서풍일 때, 강수 유무의 경우 동풍일 때 예보 정확도가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