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형외과 수술

검색결과 495건 처리시간 0.021초

병렬기구의 개발현황

  • 차영엽
    •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2-28
    • /
    • 2009
  • 병렬기구는 조립, 포장, 기계가공, 크레인, 수중공학, 항공 및 해양구조, 비행 및 3D 시뮬레이션, 위성 접시안테나 위치제어, 망원경 자세제어, 그리고 정형외과 수술 등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최소 침습적 외측 요추간 유합술: 적응증, 결과, 합병증 (Minimally Invasive Lateral Lumbar Interbody Fusion: Indications, Outcomes and Complications)

  • 소재완;이재철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03-210
    • /
    • 2019
  • 최소 침습적 외측 요추체간 유합술의 최신 지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직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았으나 근래에 각광받고 있는 최소 침습적 외측 요추체간 유합술에 대한 적응증 및 임상 결과와 유합률, 그리고 합병증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하였다. 외측 요추간 유합술의 적응증은 퇴행성 요추부 질환에서 고식적인 전방, 후방 추체간 유합술의 적응증과 거의 유사하다. 특히 척추관 협착증 및 퇴행성 척추 전방 전위증, 퇴행성 척추 변형, 퇴행성 추간판 질환, 인접 분절 퇴행성 질환에서 최소 침습적 수술로서 효과적이다. 또한 고식적 요추부 유합술과 비교하여 임상적 결과 및 유합률이 대등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수술 접근 및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술 후 고관절 굴곡근 약화 및 신경 손상, 혈관 손상, 장기 손상, 케이지 침강, 위탈장 등의 비특이적 합병증들이 보고되고 있다. 외측 추체간 유합술은 고식적인 전방 또는 후방 추체간 유합술의 장점을 취합하고 단점을 보완한 수술이며 그 임상 결과나 유합률에도 큰 차이가 없어 퇴행성 요추부 질환의 치료에 최소 침습 수술로서 유용한 치료법이다. 하지만 수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특이적 합병증들을 개선해야 하는 것이 향후 과제이다.

보존적 치료 중인 단분절 요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로 전환과 관련된 연관 인자 (Factors Associated with Conversion from Conservative to Surgical Treatment in Single-Level Lumbar Spinal Stenosis Patients)

  • 안영준;임세혁;박병규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60-168
    • /
    • 2018
  • 연구 계획: 전향적으로 수집된 자료의 후향적 연구. 목적: 보존적 치료 중인 단분절 요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로 전환과 관련된 연관 인자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지금까지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수술 및 비수술적 치료 후 임상 결과와 예후에 대한 다양한 보고가 있어 왔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 중 수술적 치료로의 전환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5월부터 2015년 5월까지 본원을 방문한 단분절 요추관 협착증 환자 중 3개월 간의 보존적 치료 후 수술을 권유 받고 최소 3년 이상 추적이 가능하였던 환자 40예를 대상으로, 수술을 받은 20예와 보존적 치료를 통해 수술을 받지 않은 20예를 분석해 수술 전환과 관련된 연관인자들을 조사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설문지를 통해 시행하였고, 영상 검사로 수술 권유 전 마지막으로 촬영된 자기 공명 영상에서 척추관 면적과 요추부 근육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자기 공명 영상을 사용하여 측정한 환자들의 척추관 면적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2그룹을 비교한 결과 수술군은 $81.40({\pm}53.61)mm^2$, 비수술군은 $127.75({\pm}82.55)mm^2$로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좁았다(p=0.042). 요추부 근육량은 수술군은 $5.17({\pm}1.30)cm^2$, 비수술군은 $6.40({\pm}1.56)cm^2$로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p=0.010). 설문지 항목 중 외상에 의한 반복적인 요추부 염좌와 헬스는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47, p=0.037). 그러나, 요추부 스트레칭을 지속적으로 시행한 환자는 비수술군에서 더 많았다(p=0.028). 결론: 보존적 치료 중 수술적 치료 전환 과 관련된 연관 인자들로는 척추관 면적이 좁은 경우, 요추부 근육량이 적은 경우, 헬스를 하는 경우, 반복적인 요추부 외상이 있는 경우와 요추부 스트레칭을 안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중 적은 요추부 근육량은 수술적 치료 전환과 관련된 중요 인자로 고려해 볼 수 있겠다.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소절개를 이용한 봉합술 (Mini open repair of the rotator cuff tear)

  • 이용걸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8-99
    • /
    • 2004
  • 소절개 봉합술은 관혈적 봉합술에 비해 동반된 관절와 상완 관절(glenohumeral joint) 내의 병변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처치를 시행할 수 있으며, 견봉하 감압술과 함께 동반된 견봉 쇄골 관절의 병변을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삼각근 기시부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빠른 재활과 조기 퇴원을 시행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관절경적 봉합술에 비해서는 수술 술기가 어렵지 않기 때문에 항상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수술을 시행할 때 관절경적 봉합술이 모든 경우에서 관혈적 또는 소절개 봉합술에 비해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환자가 심한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기술적 문제가 있는 경우, 봉합 후 회전근 개에 지나친 긴장이 염려될 때는 항상 소절개 봉합술로의 전환을 시도하여야 한다. 소절개 봉합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관절경적 봉합술시와 비슷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치료의 결과는 수술의 방법보다는 정확한 술기 및 수술 전 환자의 상태에 좌우된다고 하겠다.

  • PDF

수지의 종적 Bracket 골단에 대한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for Longitudinal Epiphyseal Bracket of the Finger)

  • 김성수;김기웅;김정호;이찬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54-161
    • /
    • 2020
  • 목적: 종적 bracket 골단으로 인한 측만지 변형에서 교정절골술, 골단판 유리술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측만지를 주소로 내원하여 종적 bracket 골단을 확인하고 교정절골술 및 골단판 유리술의 수술을 시행한 환아 11명(27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방사선 사진을 통해 수술 전후의 근위 및 원위 지간 관절의 관절 운동 범위와 환자의 외관적, 기능적 만족도, 이환된 수지의 편위된 정도를 평가하여 환자군을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군과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수술 방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방법에 따라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수술을 시행한 평균연령은 10.3세였으며 수술 전 이환된 수지의 편위각은 평균 25.7도에서 수술 후 13.5도로 평균 교정률은 47.4%였다.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수술을 시행한 평균 연령은 6.0세였으며 수술 전 평균 24.5도, 수술 후 10.7도의 평균 편위각을 보였다. 평균 교정률은 59.4%였다.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군과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군 간의 수술 전후 및 교정 각도에 대해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각각의 환자군에서 교정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 정도를 보였다. 근위 및 원위 지간 관절의 술 후 최종 추시 시 관절 운동 범위는 수술 전 관절 운동 범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능적, 외관적 만족도에서도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종적 bracket 골단으로 인한 측만지 변형을 보이는 환자에서 절대연령 및 골연령, 방사선적 진행 단계에 따라 교정절골술이나 골단판 유리술을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두 수술 방법 모두 양호한 임상적 결과와 변형 교정을 보였다.

무지 중수지 관절의 만성 파열된 척측, 요측 측부 인대 봉합술 후 결과 비교 (Comparison between Chronic Ulnar and Radial Collateral Ligament Repairs in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of the Thumb)

  • 이상림;하지윤;김지영;전숙하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
    • 제23권4호
    • /
    • pp.254-261
    • /
    • 2018
  • 목적: 무지 중수 수지 관절의 척측 측부 인대의 만성 파열에서의 직접 봉합술은 양호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요측 측부 인대에서의 결과는 논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지 중수 관절의 척측과 요측 측부 인대의 만성 파열에서 인대 재부착술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무지 중수 수지 관절의 6주 이상된 측부 인대 파열에서 봉합 앵커를 이용해서 재부착술을 시행한 요측 6예 및 척측 8예의 평균 22개월 추적한 방사선적 및 임상 결과를 후향적으로 검토하고,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척측 변위 각은 요측 측부 인대에서 $13.3^{\circ}$, 척측 측부 인대에서 $2.0^{\circ}$였다(p=0.020). 수술 후 인대 불안정성은 요측 인대 6예 중 4예에서 관찰되었으나, 척측 인대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 후 경과 관찰에서 관절의 아탈구는 요측 인대 2예에서만 관찰되었다. 결론: 무지 중수 수지 관절의 요측 측부 인대의 지연 봉합은 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며, 반 이상에서는 수술 후 인대의 불안정성이 관찰된다.

양측 족관절에 발생한 만성 재발성 비골건 탈구의 수술적 치료: 증례 보고 (Operative Treatment for Bilateral Chronic Recurrent Dislocation of the Peroneal Tendon: A Case Report)

  • 나화엽;송우석;이주영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61-164
    • /
    • 2020
  • A peroneal dislocation is a rare disease that is often misdiagnosed as a simple sprain and can be treated inadequately in the acute phase.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have an appropriate diagnosis in the early stages because it can progress to chronic and recurrent conditions. Surgical treatment is considered mainly when progressing to chronic recurrent dislocation. Recently, patients with an acute peroneal dislocation tend to prefer surgical treatment, so accurate ini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chronic recurrent peroneal tendon dislocation in both ankle joints, which was treated by a superior peroneal retinaculum reconstruction and a groove deepening procedure.

아킬레스건을 포함한 뒷발굽 접촉성 피부 화상에 대해 시행한 전외측 대퇴피부 피판술 및 아킬레스건 재건술: 증례 보고 -기능적 회복을 위한 수술적 치료법- (Anterior Lateral Thigh Free Flap and Achilles Tendon Reconstruction Surgery for Contact Dermal Burn of Heel Including Achilles Tendon: A Case Report -Surgical Treatment for Functional Recovery-)

  • 박준식;백승하;김갑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7-130
    • /
    • 2018
  • A 3rd degree burn on the heel including the Achilles tendon is vulnerable and requires active treatment to improve the functional outcomes. Previously, there have been a few treatments on severe burns, such as amputation, debridement or simple skin graft. The cooperative technique of an anterior lateral thigh flap with Achilles tendon reconstruction can be an innovative procedure that preserves the major arteries. The authors review a case and report the clinical outcome.

증강현실을 이용한 척추 수술 (Spine Surgery Using Augmented Reality)

  • 박상민;김호중;염진섭;신영길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6-32
    • /
    • 2019
  • 연구 계획: 종설 목적: 증강현실을 이용한 척추 수술에 대한 최신 지견의 소개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증강현실은 컴퓨터 그래픽 등을 이용하여 실제 주변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기술로, 최근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각광받는 분야 중 하나이다. 대상 및 방법: 관련된 문헌의 고찰 및 최신 연구의 소개 결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척추수술은 현재 연구 중이나 아직 기초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산학연이 협력하여 개발한다면 추후 사용가능한 단계까지 발전가능성이 높다. 결론: 아직 기초적인 단계의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의사 및 환자 친화적인 기술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본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비골 두에 발생한 골용해성 병변 (Osteolytic Lesion of the Fibular Head after Cemented Total Knee Arthroplasty)

  • 이채칠;박기봉;황일영;양두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87-92
    • /
    • 2021
  • 방사선 검사상 골용해성 병변이 슬관절에서 발견되는 경우 다양한 원인을 감별해야 한다. 특히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수술력이 있다면 골용해도 가능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저자들은 우측 무릎 통증으로 내원한 83세 여성 환자에서 시멘트를 사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경골 삽입물의 비감염성 해리가 선행된 비골 두의 골용해성 병변을 진단하였고 슬관절 재치환술을 통해 치료한 경험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