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책 수립

Search Result 4,05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C Security Management Control System using Agent (에이전트를 이용한 PC 보안 관제 시스템)

  • 김우년;노원섭;이승우;이종남;강창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4-47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의 보안성을 높이고, 중앙에서 PC 보안 정책을 조직 내에 일괄 적용하고 관리할 수 있는 PC 보안 관제 시스템의 개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에이전트는 각 PC에서 보안 정책을 적용하고 보안 로그를 수집하여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관제 시스템은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조직내의 PC 보안정책을 일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에이전트를 이용한 PC 보안 관제 시스템은 에이전트에서 수집된 보안 로그를 이용하여 보안 정책을 조직에 알맞게 수립할 수 있으며, 수립된 조직의 정책이 조직내의 PC에 적용할 수 있고, 정책에 위배되는 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Building up Road Transport Research Directions of Korea through Trend Analysis (국내.외 도로교통 연구동향과 시사점)

  • 김응철;권영인;박규영;정병두;최연숙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4
    • /
    • pp.165-17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내ㆍ외의 도로교통부문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현재 미국, 영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추진중인 도로교통분야 연구과제들을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향후 도로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도로교통분야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와 선진국의 도로교통 연구분야를 크게 10가지로 제시하였으며, 국내의 도로교통분야 연구 중 미약한 분야와 초기단계분야 및 중간단계분야를 정성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중, 지속 가능한 도로교통체계의 확립분야, 인간중심의 도로교통체계분야, 연계교통체계 및 복합운송체계 분야, 육상(도로) 물류분야에 과감한 연구개발 및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엇보다도 도로교통분야 연구전반에 지속적이고 과감한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Quantify)-공급(Supply)-중심의 도로교통정책에서 질(Quality)-성과(Performance)- 중심의 도로교통정책이 수립되어야 하며, 향후 도로교통정책의 결정시 관련 분야 연구와의 연동화를 통한 도로교통정책-연구의 연동시스템이 정착되어야 한다.

사학연금 재정계산제도 개선방향

  • Kim, Byeong-Ryul;Kim, Jae-Gyeong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1
    • /
    • pp.189-241
    • /
    • 2016
  • 1991년 사학연금제도에 재정계산제도가 도입되었으나 법적 근거만이 존재할 뿐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시행주체 및 절차, 재정계산의 역할과 범위 등 주요 내용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결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기별로 재정계산 추진방법이 다소 상이한 측면이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사학연금 재정계산 실시의 일관성(coherency)과 신뢰성(credibility) 확보에 어려움이 노정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학연금 재정계산 시행현황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국내·외 공적연금의 재정계산제도 시행사례를 비교·분석함과 동시에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사학연금 재정계산제도의 향후 정책과제 및 개선 기본방향을 ①재정평가 및 재정계획 체계, ②재정계산 실시내용, ③재정계산보고서, ④담당주체 및 보고절차, ⑤재정계산 법적 근거 등을 위주로 하여 정책제언(政策提言)하였다. 이 글이 사학연금의 발전적인 재정계산 정책수립에 이바지하고 나아가서는 우리나라 공적연금의 지속가능한 재정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Water Governance and Basic Water Law (물거버넌스와 물관리기본법)

  • Lee, Seung-Ho;Kim,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85-38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물거버넌스 개념과 1997년, 2006년 물관리기본법안 분석을 통해 한국의 새로운 물관리 체제를 모색하는 것이다. 물거버넌스는 물관리정책과 계획의 수립, 시행, 평가에 있어 정부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 시민, 환경단체, 전문가 등 여러 이해당사자를 참여시키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거버넌스란 기존의 정부 주도의 정책 계획, 수립, 시행이 아닌 비정부 조직과의 타협, 협의, 논의를 통한 양방향 정책결정 과정을 뜻한다. 따라서 물거버넌스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다양한 이해당사자 참여를 통한 정책결정의 복수화 과정이다. 한국의 물거버넌스를 시행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요건은 이해당사자 참여를 우선 중앙, 지방정부에서 그 필요성을 인식하고 법, 제도 등을 통해 제도화하는 것이다. 환경부 주도로 입안된 1997년 물관리기본법안은 물관리일원화, 적정사용, 유역관리, 비용부담, 균형배분의 5원칙을, 2006년 물관리기본법안은 물관리일원화 대신 통합물관리, 적정사용 대신 수요관리를 삽입하여 5원칙을 제시하였지만 이해당사자 참여는 원칙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해당사자 참여 원칙의 제도화가 없이는 위의 두 법안이 제시한 원칙의 적용과 시행이 어려움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다른 원칙은 다양한 이해당사자 참여를 통한 사회적 합의 없이는 시행이 쉽지 않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항들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물의 균형배분 원칙 관련, 만약 상류와 하류 주민 간의 합의가 없이 어느 한 이해당사자의 일방적 행위가 있을 경우 큰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물거버넌스을 실행하기 위해 중앙에 필요한 조직은 물이용 관련 물분쟁 발생 시 이를 조정하고 국가물관리계획을 수립하며 물관리 문제 전반을 총괄하는 조직이다. 1997년, 2006년 기본법안은 국가물관리위원회 설치를 제시하였고 2006년 기본법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위상, 운영, 역할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하지만 국가물관리위원회는 물관련 중앙부처의 장, 지방행정조직의 장만을 포함하여 유역관리를 책임질 유역관리조직의 장에 대한 언급이 없다. 물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유역관리 시행이 바람직하기에 유역관리조직의 장도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 기본법안 모두 국무총리실 산하에 위원회를 속하게 하였는데 이를 수정하여 대통령 직속기구로 규정하는 것이 국가물관리위원회가 정치, 행정, 재정적 압력에서 벗어나 일관성 있는 정책을 펼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또한 지방의 물문제를 물관리계획에 적절히 반영하고 대응방안을 수립, 시행하기 위해서는 정부 관료뿐만 아니라 지방의회 의원, 환경단체, 기업, 시민, 전문가 등의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유역위원회가 필수적이다. 또한 유역 관련 물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유역관리청도 필요하다. 유역위원회와 유역관리청은 유역 내 여러 이해당사자들이 물관리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고 토론하며 합의점에 이르는 거버넌스를 수립할 수 있는 중요한 조직이다. 두 기본법안은 유역관리 원칙을 제시하긴 하였지만 유역관리 시행 관련 조직, 역할, 운영 등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었다. 한국의 물관리는 소득, 문화 수준 향상으로 인한 양질의 물공급에 대한 요구, 시민사회의 발전, 지방분권화 등 정치, 경제, 사회의 변화를 수용하고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여러 이해당사자의 참여와 합의에 바탕을 둔 물거버넌스 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물관리기본법을 하루 속히 제정하여 제도적 기반을 갖춰 보다 효율적인 물관리시스템을 수립해야 한다.

  • PDF

초점 - '책임성 있는 에너지 정책 수립을 촉구하는 교수 일동' 성명서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7 no.7
    • /
    • pp.9-12
    • /
    • 2017
  • 전국 60개 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중심의 전임교수 417명이 참여한 '책임성 있는 에너지 정책수립을 촉구하는 교수 일동'은 7월 5일 오전 10시30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리적인 에너지 공론화가 필요하며 국회를 비롯한 국가의 정상적 의사 결정 체계가 작동해야 한다고 강력 촉구했다. 참여 대학은 공과대학 소속 79명의 전임교수가 참여한 서울대(82명)를 비롯해 부산대(58명), KAIST(43명), 조선대(32명), UNIST(15명), 경희대(16명), 한양대(17명), 중앙대(13명) 등 60곳이며, 미국 퍼듀(Purdue)대, 미시간대(U. Michigan) 등 외국 대학 4곳도 포함됐다. '책임성 있는 에너지 정책수립을 촉구하는 교수 일동'명의의 성명서 발표는 지난 6월 1일 성명서에 이어 두 번째다. 성명서 전문과 설명 자료('정부 탈원전 기조의 문제점')를 게재한다.

  • PDF

에너지정책 성과분석 및 향후 전략

  • Korea Energy Forum
    • 에너지협의회보
    • /
    • s.76
    • /
    • pp.26-37
    • /
    • 2006
  • 최근 신 고유가에 대응하는 정부의 에너지정책에 대한 점검과 향후 미래 에너지정책 과제에 대한 전략수립을 위한‘제4차 국가에너지 자문회의’가 개최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날 발표된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하여 게재한 것 입니다.

  • PDF

세계의 축산 현황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6 no.5 s.55
    • /
    • pp.37-39
    • /
    • 1974
  • $\blacksquare$이번 세계의 축산현황 씨리즈(3)에는 세계 주요국의 식육정책을 소개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가축의 생산 및 무역, 수출사정에 따라 자국의 식육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이번호에 소개되는 호주, 뉴질랜드, 알젠틴, 덴마크 등의 식육정책을 보면 국가에서 생산업자와 소비자간에 각종 보조정책을 취해서 육축 및 식육정책을 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조사 분석 -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8 no.6
    • /
    • pp.33-38
    • /
    • 2018
  • 지난해 6월 19일 문재인 대통령이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서 "탈원전, 탈석탄 로드맵과 함께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겠다고 천명한 이후 1년이 지났다. 지난 1년간 진행된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해 국민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을까? 현대경제연구원이 6월 18일 발표한 '탈원전 에너지전환정책의 성공 요건 : 원전 및 에너지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리포트를 통해 알아본다.

  • PDF

Research on the Issues and Policy Instruments for Policy Portfolio of Wind Power Industry (풍력에너지 정책 포트폴리오 구상을 위한 수단과 쟁점사항 고찰)

  • Lee, Dongjun;Shin, Youngeun;Yoo, Kyungjin;Heo, Eunn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50.2-150.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풍력에너지 보급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정책의 포트폴리오의 구성이라는 최종 목적 하에 먼저 적용 가능 수단 및 주요 쟁점사항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먼저 FIT(Feed in Tariff)와 RPS(Renewable Energy Portfolio) 등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들과 선진국 사례들을 중심으로 적용 가능한 그 외의 정책에 대하여 검토해보았다. 또한 이러한 정책을 시행하였을 때 성공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내 주요 정책 변수에 대하여 조사해 보고, 향후 예상되는 국내 산업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장기적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정책에서 공통된 주요 이슈들과 블레이드의 대형화나 해상풍력발전 등 풍력산업에서 차별화되어 나타나는 이슈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러한 이슈들을 정책 포트폴리오 구성에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연구가 되지 않도록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신재생에너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하여 태양광과 풍력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발전전략을 세우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풍력발전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장기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tudy on establishing Green Port Policy in Korea to meet Ports' Characteristics: Development of Ulsan Green Port Policy by using AHP (우리나라 항만특성에 맞는 그린포트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AHP를 이용한 울산항 그린포트 정책 우선순위 개발)

  • Kim, Tae-Goun;Kim, Hwan-Se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5
    • /
    • pp.549-559
    • /
    • 2014
  • The increasing demand of maritime transportation and port development especially due to increased international trade resulted in a strengthening of regulat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mainly from ships b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Responding to thes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enforcement,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seaports have expanded their Green Port Policy, which can promote the public welfare by reducing pollution caused by ships and ports. Accordingly, in 2010,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and had pushed for all Korean ports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ir own green port polici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Green Port Policy Plan for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 friendly operations and developments of Ulsan port, which plans to be the oil hub port of Northeast Asia. To this end, we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environmental policy issues in Ulsan Port and international-&-domestic case studies on establishment of green port policy. With these studies, Ulsan green policy alternatives were identified that through the experts advice, and then were prioritized by adopting AHP survey analysi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notified that LED lights replacement and AMP establishment as the hardware policy and the port environmental management department as the software policy were equally important policy op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Ulsan Green Port Policy to meet port's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