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책적 투자

Search Result 1,58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대한민국 반세기 연구개발정책의 변천

  • 이공래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31 no.1
    • /
    • pp.1-28
    • /
    • 2023
  • 본 챕터는 과거 50년 연구개발정책의 역사를 돌이켜보면서 한국 산업과 경제의 성장과정에서 연구개발정책이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가를 조명한다. 1960년 초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추진하기 시작하던 때부터 1970년 대 말까지 연구기반 구축기, 1981년부터 2000년까지 연구역량 축적기, 2001년부터 2020년 현재까지 연구개발 도약기 등 3단계로 나눠서 살펴본다. 연구기반 구축기간 중에는 연구개발 투자의 증가와 함께 본격적인 연구와 우수 연구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여러 국책연구기관을 설립하였으며 연구 단지를 조성하는 등 연구기반을 구축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 연구기관의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자 주요 분야 연구조직을 KIST 부설 형태로 발족한 후 독립 연구기관으로 분리하는 것이 주요 정책이었다. 연구역량 축적기에는 정부가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하여 추진하였고 1990년대에 이르러서는 대학의 연구 잠재력을 조직화함으로써 연구역량을 축적하였다. 수출 고도화와 수출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향상해야 하는 기업들의 절박한 기술혁신의 필요성에 기인하여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가 급속도로 증가했다.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우리나라 연구개발투자가 절대규모에서도 세계 5위국으로 부상했고, GDP대비 연구개발투자 비중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이렇듯 연구기반 구축기, 연구역량 축적기, 연구개발 도약기를 거치면서 우리나라는 매 20여년의 주기로 연구개발 시스템을 시대 상황에 맞도록 정책을 혁신하여 추진함으로써 오늘에 이르렀다. 과학기술의 혁신은 산업과 기업의 성장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정부의 도전적인 연구개발 투자는 정밀한 정책 기획과 추진이 병행되면서 그 효과가 발휘되었고 산업과 기업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der Ownership and Financial Policy (기업소유구조와 재무정책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 자본구조, 투자 및 배당을 중심으로 -)

  • Cho, Ji-Ho;Kim, Chun-H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2 no.2
    • /
    • pp.1-41
    • /
    • 2005
  • In the literature, much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inancial policies and corporate valuation, including the effects that internal equity and capital structure have on corporate value, as well as how capital structures, investments and dividends relate to one another. However, comprehensive studies considering three facets of financial policies, namely capital structures, investments, and internal equity altogether, are scant. This study follows 361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excluding financial institutions, from 1996 to 2002. Using 3SLS method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relationships among capital structures, investments, dividends, and internal equity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Capital structures were found to be negatively related with investments, while investments were mainly related to dividends. Dividend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internal equity, simultaneously affecting capital structures. We were not able to find any clear evidence of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equity and capital structures; however they seemed to be indirectly related. Thus, there seems to be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financial policies and internal equity.

  • PDF

A Study for Raising up Entrepreneurship Facilitators with having Angel Investing Potentials to Promote "Creative Entrepreneurship" (창조형창업 활성화를 위한 엔젤투자역량 겸비 창업 Facilitators 양성방안 연구)

  • Yang, Young Seok;Hwangbo, Yun;Byun, Young J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8 no.3
    • /
    • pp.27-37
    • /
    • 2013
  • In recent, Korean government TF Team announced new entrepreneurship policy of establishing virtuous cycle in high-tech venture startup financing ecosystem with emphasizing on 'boosting up angel investment and M&A.' This policy is brought not only to come up with the previous policy defects of creating less creative starts-up despite that government has put die-hard efforts, such as big chunk of budget dumping and policy preference, to promote high-tech starts-up since the year of 1997, but also to found right momentum of shifting entrepreneurship policy paradigm from government-direct to entrepreneur into indirect via utilizing the market forces. In particular, this policy puts a highlight on promoting angel investment, representing unfolding red carpets for creative economy. However, this policy confront critical fatal flaws such as a serious lacks of business angels which carry out the core function of government policy. In worse off, business angels cannot be raised up in short term period by taking other practical entrepreneurship ecosystem cases. As alternative, this paper propose the raising-up over entrepreneurship facilitators with having angel investing potentials in short term. In specific, this paper suggest the training methodology over the previous BI manager, passive simple angel investors, and consultants in entrepreneurship for embedding entrepreneurship facilitators. This paper carries four different specific studies. First, this paper implement literature review for entrepreneurship policy with respect to evaluating the previous entrepreneurship policies and making a diagnosis over its consequences. Second, it carries theoretical literature reviews relating to Korean angel investment and business incubation. Third, it proposes th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facilitators. Fourth, it brings the alternatives of raising up entrepreneurship facilitators.

  • PDF

외국인투자기업(外國人投資企業)의 생산성효과(生産性效果) 분석(分析)

  • Kim, Seung-J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1 no.3_4
    • /
    • pp.215-272
    • /
    • 1999
  • 외국인투자 유치를 통해 국내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외국인투자가 한국의 산업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실증연구가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기업데이터를 이용하여 외국인투자의 생산성효과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소유기업의 노동생산성이 높다. 둘째, 외국인투자의 생산성 파급효과는 양(+)의 효과를 가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즉, 생산성 파급효과가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은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우선 외국인투자기업이 선진기술 및 경영노하우를 전수할 능력을 가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외국인투자를 유치하는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인 선진기술 및 경영노하우 전수의 전제조건인 외국인투자기업의 기술 및 노하우 소유가 실제로 성립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지만 외국인투자가 국내산업 전반의 효율성 제고로 이어지는 데는 아직 장애요인이 존재함을 암시한다. 경쟁규율이 확립되지 않았거나 기술파급을 위한 제도적 여건이 미비한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정책적인 시사점은 어떻게 기술파급효과를 극대화할 것인가에 집중된다. 경쟁에서 낙오한 기업의 퇴출을 확실히 제도화함으로써 외국인투자의 경쟁압력이 기업의 효율성 증가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각종 반경쟁적 관행 또는 행위를 단속할 수 있는 경쟁정책의 확립이 요구된다. 또한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산업입지정책의 효율화 등을 통해 외국인투자의 기술이전 및 확산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 by the Framework of Output Analysis and Policy Issue (공동체성 지향을 위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정책적 쟁점)

  • Bae, Hwa-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
    • /
    • pp.53-6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discuss what is needed for meaningful development of social service, focusing on Community Service Investment Project(CSIP). The contents of CSIP were analyzed on applying the Analytic Framework by N. Gilbert and H. Specht and the values that were the basis of social choice. Based on the analysis of output and policy value of this Project, this study draws three social service policy issues. First, 'localization' is needed to be emphasized more in CSIP because there are few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regional peculiarities. Second, as the social services focused on the individuality of the citizen is more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examine 'sustainability' of CSIP. Third, in relation to the community building,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modification of the CSIP's goals. As process for improving community, it is needed to review for local residents not participating in decision-making process, income-based user selection and appropriateness of the term 'investment' in the project name.

A Review of Laws Relating to Foreign Direct Investment Policy in Pakistan (파키스탄의 외국인직접투자 관련법에 관한 고찰)

  • Lee, Kyung-Kook;Won, Sung-Kwo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3 no.2
    • /
    • pp.526-548
    • /
    • 2009
  •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has played a vital role in the economic growth of Pakista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the Pakistan's FDI law and explore possibilities for research. We focus on the Foreign Private Investment (Promotion and Protection) Act 1976, Furtherance and Protection of Economic Reforms Act 1992, and Foreign Currency Accounts (Protection) Ordinance 2001. Major concern seems to be frequent change in policies, lack of follow up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good decisions above all the law.

사회간접자본투자(社會間接資本投資)(1970~85)가 지역성장(地域成長)에 미친 효과(效果)

  • Kim, Jong-G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9 no.3
    • /
    • pp.3-25
    • /
    • 1987
  • 본고(本稿)에서는 1970년 이후 한국(韓國)의 사회간접자본투자정책(社會間接資本投資政策)이 지역간 균형발전(均衡發展)에서 담당한 역할과 그 투자현황(投資現況)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분석에 의하면 사회간접자본투자(社會間接資本投資)는 지역발전의 주요정책수단이 되고 있다. 그러나 1970~85년의 기간에 도로(道路), 통신(通信) 등 주요 사회간접자본(社會間接資本)의 지역간 격차는 현저히 감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장(成長)의 지역간(地域間) 불균형(不均衡)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였다. 이는 사회간접자본(社會間接資本)의 지역격차 완화로 수도권(首都圈)을 중심으로 하는 성장지역(成長地域)의 입지여건(立地與件)의 비교우위성이 약화되었으나, 수도권지역(首都圈地域)의 입지적(立地的) 이점(利點)을 상쇄할 만한 투자환경(投資環境)이 지방에 조성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질적인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는 입지여건(立地與件)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지방에 기업투자(企業投資)를 유인(誘引)할 수 있는 세제(稅制), 금융(金融) 및 행정절차상(行政節次上)의 지원책(支援策) 등을 강화하여 해당지역의 산업활동(産業活動)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이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의 필요성에 부응하는 사회간접자본투자(社會間接資本投資)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수성과 주민의 여론을 반영하여 지방정부(地方政府)가 투자결정을 주도할 수 있도록 지방정부의 재정지출 재량권이 제고되어야 한다.

  • PDF

The Analysis of S&T Policy Changes and Investment Direction of National R&D (과학기술 정책기조 변화 분석과 국가 연구개발 투자방향 연구)

  • Choe, Jong-Il;Kim, Jeong-E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2
    • /
    • pp.11-23
    • /
    • 2012
  •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National R&D policy by the comparative analysis in terms of R&D policy regime. We characterize the related issues on the National R&D policy, and analyze the dir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S&T) policy using the method of scientometrics. The result shows that the policy regim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with respect to the R&D efficiency and the keywords; Regime 1: National S&T Innovation 5-year Plan(1999-2002) and National S&T Master plan of the previous adminstration(2003-2007), Regime 2: National S&T Master Plan(2002-2006) and National S&T Master Plan of the previous administration(2003-2007), Regime 3: National S&T Master Plan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2008-present).

Now ESCO 2 - 2011년 하반기 ESCO 자금지원정책, 이렇게 변한다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72
    • /
    • pp.46-49
    • /
    • 2011
  • 우리나라 ESCO사업은 지난 1992년 도입되어 1997년까지는 연 평균 50억 원 이내의 투자사업을 실행하였으나, 1998년부터는 정부의 적극적인 ESCO활성화 정책과 국내 유가상승 등에 힘입어 시장규모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더구나 ESCO사업은 연간 1억 원 투자시 약 4천만원의 절감효과를 가지고 있을 만큼 투자대비 효율성이 확실한 사업으로 2011년에는 ESCO정책자금 예산이 3,900억원에 이를 만큼 에너지절약사업의 선두로 각광받고 있다. 2011년 하반기 ESCO정책자금 지원지침의 변경사항에 관해 알아보기로 한다.

  • PDF

China's Global Investment Policy and Precondition for China Money FDI in Korea (중국의 해외투자 정책과 중국자본 유치의 전제조건)

  • Park, Moon-Suh;Kim, Mea-Jung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4 no.1
    • /
    • pp.171-195
    • /
    • 2012
  • This paper is aimed to prepare some policy-measures which is helpful for China Money FDI in Korea by analysing FDI-related data and political strength and weaknes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studying fundamental preconditions required for Korea's China Money FDI strategies. As the result of research, key preconditions found ou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cause China-Korea economic relationship is largely insufficient in a complementary view as well as in a cooperative state level, Korea should remove the threats in advance that could lead two countries to unlimited competition, and then expand to a relationship of trust between China and Korea. Second, Korea, at least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 may not be an attractive investment desti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dvantage of Korea's FTA-expansion-strategy opportunities such as Korea-US FTA which has entered into force recently. Third, because China always has a lot of alternative investment opportunities among world instead of Korea, so Korea should not overlook the fact that China has the bargaining power in large part related on the investment conditions in Korea, such as investment field, investment size, how to invest China Money to Korea, etc. Fourth, if Korea's FDI policy is trapped in the existing rules of the political frame, and moreover Korea can not have the role of rule breaker, it will be difficult to expect Korea's China Money FDI results compared to those efforts. Fifth, if Korea will execute China Money FDI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overestimating the China Power or China Money, it should be noted that Korea may have unexpected losses lead to a national by reason of outward and quantitative investment or bad inves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