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책적 투자

Search Result 1,58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해외직접투자(海外直接投資)의 효과(效果)에 관한 고찰(考察)

  • Kim, Seung-J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9 no.3
    • /
    • pp.75-138
    • /
    • 1997
  • 해외투자로 인해 수출 및 고용이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본고는 이론적, 통계적,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이에 관한 논의를 하고 향후 전망과 함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분석결과 및 투자제도 개선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해외투자가 아직까지 수출을 대체하였다는 근거는 없다. 향후 국내부품업체의 현지동반진출 확대, 해외자회사의 역할 증대, 국제분업생산체제의 진전 등 해외투자전략의 변화에 따라 해외투자가 수출을 대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나 해외투자의 제한시에는 수출 및 고용에 더욱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해외투자를 제한하는 것은 예상되는 실업을 단지 연기시키는 것에 불과하며, 오히려 향후 실업문제가 훨씬 심각해질 수 있다. 해외투자는 기업의 경쟁력 유지 및 구조조정을 위해서는 타대안보다 고용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해외투자가 기업 및 국내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여 해외투자를 규제하는 것도 설득력이 약하다. 정부가 해외투자의 과도성 여부를 판달할 능력이 기업보다 우월하다고 할 수 없다. 설령 해외투자 결정이 비합리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 하더라도, 이 문제는 투자기업 및 여신은행 등의 책임을 분명히 하여 기업은 투자성과의 책임을 지고, 여신은행, 채권자 등은 투자기업의 재무현황 및 투자계획의 성공가능성을 고려하여 자금제공을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따라서 일부 대규모 해외투자에 대한 사전심의로 대표되는 현행규제는 철폐되어야 한다. 일부 대규모 해외투자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운용되고 있는 해외투자 심의는 실효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해외투자결정을 방해할 수 있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해외투자로 인한 국제분업을 국내고용 및 수출의 증가뿐만 아니라 경제성장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국내의 입지여건을 혁신활동 및 고부가가치 활동에 적합하도록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한편 단기적 고용감소에 대비한 정책도 필요한데, 고육훈련제도의 개선,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고용서비스 개선은 이런 마찰을 완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the Policy Lags and Policy Direction in the FDI inflow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정책의 정책시차 및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Ji, Young-Han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6 no.3
    • /
    • pp.183-202
    • /
    • 2014
  • The time-lag effect of the policy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financial subsidies which are the incentive for attracting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for the Korean industries from 2007 to 2012.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Korea's policy for attracting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has the time leg of 2 or 3 y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If the goal is to attract the foreign investment or introduce the advanced industrial technologies, the tax reduction system would be better. However, if the goal is to get the short term effects such as job creation or regional development, the direct subsidy or the financial support (financing) or the lexic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for foreign investment would be more effective for attracting the foreign investment. Accordingly, the Korea's policy for attracting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should be focused on the realistic policies such as direct subsidies or financial support (financing) rather than the tax reduction system.

  • PDF

The Impact of Innovation Policy Mix on SME R&D Investment: Focusing on Financial Instruments (혁신정책 조합이 중소기업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 : 재정지원을 중심으로)

  • Kim, Kiman;Lee, Sooyeo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1
    • /
    • pp.1-12
    • /
    • 2020
  • The Government provides a financial assistance to stimulate firm R&D and innovation activities. Previous papers on the impact of public subsidies on firm R&D investments mainly had a focus on an individual policy tool regardless of potential impacts of other policy instruments.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examining the effects of policy mix regarding a subsidy and a tax credit. The empirical analyses from fixed effect model using Survey on Technology of SMEs 2015-2017 revealed valuable points. First, policy mix induces more R&D investment of SMEs, which in turn, show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wo instruments. Second, even if impact of tax credit controlled, subsid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MEs R&D investment. These findings justify policy mix interventions to promote SME R&D activity. Moreover, grants can be applied as a more useful policy tool for SMEs that are constrained by resources and capabilities.

Economic Effects of Policy Loans: Focusing on Alleviation Effect of Investment Liquidity Constraint (정책융자의 경제적 성과분석: 투자의 유동성 제약완화 중심으로)

  • Nam, Joo-ha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5 no.1
    • /
    • pp.173-193
    • /
    • 2011
  • Most of the research regarding economic effects of policy loans has thus far been focused on whether policy loans can improve the financial status or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Unlik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implemented an empirical analysis focused on the contribution of policy loans to easing the liquidity restriction of investment. To analyze whether investment liquidity restriction can be alleviated or not, this study attempted an empirical analysis utilizing the nonlinear Euler equation induced through optimization of investment and GMM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as its analysis methodology. With the SMEs that received policy financing from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Corporation (SBC) in 2004, this study analyzed three years of panel data before(2001~2003) and after(2004~2006) receipt of policy loan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it appears that policy loans had effects on resolving liquidity restriction of investment, implying that policy financing eases the liquidity restriction of SME investment and would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MEs. Further, I checked robustness of empirical results using Tobin's q model. The empirical results also support that policy loans help to resolve liquidity constraint. With these results, it is understood that the critical view to date, which has emphasized the ineffectiveness of policy financing due to it having no or insignificant economic effects, may be wrong.

Efficiency of the Emission Trading Scheme in Imperfectly Competitive Markets (불완전경쟁시장에서의 배출권 거래제도의 효율성)

  • Yoon, Kyoung-so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4 no.2
    • /
    • pp.173-204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the equilibrium investment on the pollution abatement when firms are facing Cournot competition in the output market while the pollution permit market is perfectly competitive. Unlike standard perfect competition scenario, the abatement investment delivers an indirect effect in which it reduces other firms' equilibrium output. Consequently, compared with the socially optimal level, overinvestment arises. I also overview the potential inefficiencies that imperfect market structure induces under the emission trading scheme, presenting policy implications.

  • PDF

Policy of Surging Investment to Early Startups Via Boosting up SAFE in Korea (창업초기투자 촉진을 위한 한국형 SAFE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Park, Jin;Yang, Youngseo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6
    • /
    • pp.1-12
    • /
    • 2022
  • This paper put the goal on boosting up early startup investment by delivering and positioning SAFE as the main early startup investment type in Korea. In particular, this paper proves the better fitting of SAFE as to the early stage of venture investment than these of Convertible Note. This paper as referring the previous studies of SAFE as the major keystone issues determining active SAFE applying (legal positioning issue, tax treatment issue, failure of inducing the following investment with uncertainty over maturity) proposes boosting up policy of Korean SAFE. First, as to accounting treatment of SAFE, it suggests SAFE to recognize legally as "the capital" on the Korean Venture Investment Act of introducing SAFE actively as venture investment type. Second, as to tax treatment issue, it proposes on amending venture indication rule as the best alternative of resolving tax issue by accepting SAFE as the investment meeting to venture investment requirement. Third, as benchmarking foreign cases, it delivers the method of modifying foreign SAFE Contract Format by adding up more clauses about safety vehicles against the failure of the following investment and fixing maturity date and event. Ultimately, all resolutions of this paper fall on highlighting the role of Korean Venture Investment Act and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An Evaluation on the Audio-visual Investment Fund's Contribution to Korean Film Production Capital (한국영화 제작자본에 대한 영상전문투자조합 정책의 기여도 평가)

  • Kim, Mee-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9
    • /
    • pp.212-220
    • /
    • 2019
  • This study evaluates the extent to which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policy, the Audio-visual investment fund, contributed to raising capital for Korean films. Audio-visual investment fund in the Korean film industry, which has been formed through the public sector support since 1999. The Audio-visual investment fund is a leading financial support policy for the Korean film industry, and began with the investment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Film Council. It has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Korean film production costs and has spread to other cultural industry sectors, as a way of capital procurement for a start-up companies and cultural projects. This study reconstruct the data of the organizations such as the size of a new investment fund by public sector, the ratio of public capital contribution, the amount and number of investment in Korean films, investment multiplier compared to equity investment, and the internal return rate(IRR) of liquidation funds in the Korean film capital market from 1999 to 2017. The purpose of this project was to provide the basis for assessing the achievements of the Audio-visual investment fund policy in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the film industry.

민간 중심 벤처 생태계 활성화 위한 벤처 투자 시장의 자율 규제 방안 연구

  • 황보윤;양영석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39-44
    • /
    • 2023
  • 우리나라에서는 벤처생태계의 구성이 태생적으로 정부 주도로 법제화된 정부자금의 지원이 기초가 되어 이루어지면서 공적 자금의 정책적 목적에 따라 운영되어왔다. 따라서 벤처투자기구에 대해서 이해상충 가능성 배제, 고도의 윤리성, 공정성 및 투명성 등을 요구하는 등 강한 규제가 반영되게 되었다. 이러한 공적규제가 일면 타당성이 있을 수 있으나, 공적규제 위주의 관리감독 체계는 규제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한국 벤처투자 시장의 성격상 민간자금의 유입을 제한할 수 있다. 민간 중심의 벤처투자 시장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공적규제를 강화하기보다는 자율규제 영역을 확대하여 업계의 전문성과 효율성에 친화적인 규제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벤처투자 시장의 자율규제 가능 영역을 살펴보고, 벤처투자기구의 운용사 관점에서의 자율규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 방안 중 하나로는 출자자 사이의 자치적 규범이라고 할 수 있는 규약의 표준이 참여자의 전문적인 식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마련된 것이므로, 펀드 결성 이후 출자자 사이의 규약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자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1차적인 분쟁 조정 절차를 마련해 볼 수 있다.

  • PDF

인도 항만물류시설 투자유망지역 평가

  • Choe, Na-Yeong-Hwan;Jo, Ji-Seong;Kim, By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48-150
    • /
    • 2019
  • 인도는 2014년 모디 정부 출범 이후 부정부패 척결, 기업환경 개선, 적극적인 외자유치 등의 경제개방 및 개혁정책을 추진하는 들 높은 경제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인도의 면적은 329만 $km^2$로 서유럽 면적과 비슷하고, 인구는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 많은 약 13억 명으로 높은 생산 소비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모디 정부 출범 이후 전 정부 대비 인프라 개발 예산을 4배 이상 배정했고, 주요 항만 개발 및 제조업 육성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도 시장에 대한 우리나라의 해운 항만 물류기업 진출 및 투자 지원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인도에 진출하는 우리나라 화주기업 및 물류기업의 물류 애로사항 해소 지원, 해운 물류기업의 경쟁력 강화 등 정부차원의 다양한 정책과 지원 사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인도시장에 진출하는 우리나라 물류 기업의 항만 물류시설 투자 후보지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분석을 통해 투자유망지역을 선정하는 것이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도의 경제 및 교역, 물류시설 및 관련 정책 등의 현황 조사를 실시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물류기업 진출 시 투자가 유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정성적 정량적 분석을 통해 투자유망지역을 선정하려 한다.

  • PDF

국내 과학기술 연구개발 현황 및 전망

  • 조경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7-17
    • /
    • 2003
  •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시작과 함께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한 투자가 본격화되었고, 과학기술 혁신이 정부정책의 가장 중요한 시책으로 부각되었다. 지난 40 여 년간 우리나라 과학기술은 선진기술의 모방에서 출발하여 효율적으로 단계별 성장을 거치면서 2000 년대에는 세계수준의 지식 및 기술을 창출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한국과학기술의 현주소와 향후 전망을 분석하여 국내 연구개발의 방향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1982년 특정연구개발사업을 시작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목표설정 및 연구개발 자원을 전략적으로 집결하여 다양한 국가 연구개발 사업들이 수행되어 왔다. 그 후 20여년이 지난 현재 20개 부처에서 200 여개의 국가 연구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개발사업의 성과로서 DRAM, TFT-LCD, CDMA 등 첨단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경쟁력을 갖춘 기술들이 다수 확보되었다. 주력 산업인 IT산업, 자동차, 철강, 조선, 섬유 등도 기술혁신에 의한 국제 경쟁력 강화로 수출이 확대되면서 우리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연구개발 투자규모는 3배 이상 증가하여 2000년 기준으로 세계 8위의 투자규모를 달성하였으며, 민간의 연구개발 투자 비중도 크게 늘어나 민간주도형 연구개발체제로 전환되게 되었다. 2001년에 이르러서는 총연구비 투자규모가 15조 이상으로서 이는 전체 GDP의 ∼3% 에 해당되는 수치이며 선진국 수준에 육박하고 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는 연구개발 투자를 계속 확대할 정책을 시도하고 있으며 창의적 과학기술인력의 양성 체제 구축 및 효율적인 활용에도 적극 투자하고 있다. 과학기술부는 과학기술혁신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20,000여개이상의 과제를 수행하여 국가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여왔다. 정부는 국내외 과학기술 환경변화가 심한 21세기를 맞이하여 새로운 기회와 도약을 위하여 과학기술 중심국가 건설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게 되었다. vision 2025를 통해 2025년까지 21세기 첫 4반세기 동안 과학기술 경쟁력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려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선진국 진입을 실현하고자 다양한 정책적 대응을 물색하고 있다. 세계 시장규모, 전략적 중요성 등을 토대로 한 10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과학기술부는 기술수요조사를 바탕으로 49개 주요기술을 도출하여, 과학기술 일류 국가 실현, 국민소득 2만불 달성이라는 국가적 슬로건을 내걸고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범정부차원의 기획과 연구비의 집중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