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책발달동인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한국 환경정책의 발달동인 : 정책의 창문은 어떻게 열렸는가? (Dynamics of Environmental Policy Development in Korea : How did the Policy Windows have been opened?)

  • 이정전;정회성
    • 환경정책연구
    • /
    • 제2권1호
    • /
    • pp.1-29
    • /
    • 2003
  • This paper examines the dynamics of environmental policy development in Korea by reviewing some of the ways on how the policy windows have been opened. There are a lot of theoretical arguments about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policy development or changes. Many scholars have believed that severe pollution accidents or salient environmental episodes might have been the main motivation of environmental policy development. This line of argument seems valid, especially with the water pollution control policy in Korea. Water pollution control programs had rapidly expanded along with the series of water pollution accidents in the tap water sources from the late 1980s to mid-1990s. However, regarding other major env. issues, various other factors have played more important roles in the development of the relevant policies. In case of air pollution control policy international sport events such as, 1986 Asian Games, 1988 Summer Olympics, and 2002 World Cup Competition, have contributed for the development. The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policy partly owed its development to the introduc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in the mid-1990s. Even the foreign currency crisis occurring in December 1997 helped the policy paradigm shift from rigid supply-oriented to soft demand-oriented approaches. After closely looking at the dynamics of environmental policy development in Korea,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logical background of the observed outcomes.

  • PDF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직업학 연구동향 분석 (Text Mining-Based Analysis for Research Trends in Vocational Studies)

  • 육동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86-599
    • /
    • 2017
  • 본 논문은 빅데이터 분석방법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직업학 분야 전반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에서 직업학은 1997년 IMF외환위기를 기점으로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는 등 글로벌 경제위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 주제가 정부 정책이나 제도 등 '거시'에서 개인의 진로 설정 등 '미시'로 전환되고 있고, 연구 관점도 장애인 여성 등 사회적 약자에서, 은퇴자 실업자 등 경제적 약자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조사 대상은 초 중 고등학생보다 대학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진로상담의 임상적 결과분석이나 직업정보가공, 직업발달사적 논점의 시도는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분석대상을 학술지 초록에 한정하여 수행했다는 한계점이 존재하나,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토픽분석을 통해 검색이 가능한 논문을 전수 조사하는 등 직업학 연구에 있어 정량적 분석 방법론의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직업학 연구의 발전단계별 논점들을 분석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