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지용의 시

Search Result 14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f Sowol's and Jiyoung's Sijo (소월(素月)과 지용(芝溶)의 시조(時調))

  • Lee, Tae-Hyee
    • Sijohaknonchong
    • /
    • v.26
    • /
    • pp.243-261
    • /
    • 2007
  • In this study, I have looked though the Sijo made by Sowol and Jiyoung who were the frontiers of the Korean modern poetry. Through this study, I've tried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e verse and their versifying Sijo. Sowol made the eight Sijo : six Sijo made in his early days. and the others made in later days. Sowol's early free verse tended to show the regular form. Although his 6 Sijo maintained the traditional form, he tried to make the formal changes. But the subject of those were in the way of view points of old Sijo. But the rest two Sijo strongly showed the problem of reality. Jiyoung made the 9 Sijo in his early days. But Jiyoung's is different from Sowol's. Jiyoung tried to make a new way of expressing the poetic images while Sowol was focused on the formal changes. Also, his final work 'Eun' had the feature of fixed form of verse. Through the research mentioned above, I confirmed that their tries to make the fixed form of verse were the background of developing and pioneering their free verse.

  • PDF

Analysis of COSPAS-SARSAT 406 MHz Personal Locator Beacon Specification (COSPAS-SARSAT 406 MHz 개인용 탐색구조 단말기의 기술기준 분석)

  • Jeong, Gi-ryong;Jeong, Seong-hoon;Lim, Jong-gu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2 no.6
    • /
    • pp.514-521
    • /
    • 2018
  • COSPAS-SARSAT 406 MHz emergency beacons include ELTs for aviation, EPIRBs for maritime, and PLBs for individuals in distress. They are used to sending messages encoded on 406 MHzdistress frequency and sending alertsfor search and rescue in distress. C/S T.001 and T.018 are COSPAS-SARSAT technical documents. They include basic technical information needed for developing beacons, howmessages are constructed, and test methods for type approval. COSPAS-SARSAT systems that use existing low earth orbit (LEO) and geostationary earth orbit (GEO) satellites do not have a return link service (RLS). So, the survivors could not confirm whether the distress signal was sending or not. However, a new medium earth orbit (MEO)satellite system has been added to thissystem, allowing confirmation through the RLS function. This paper analyzed C/S T.001 and T.018 needed to develop navigation structuresthat incorporated improved PLB of 406 MHz, a homing signal generator of 121.5 MHz, and a VHF AM transmitter for aviation of 243 MHz.

Development of the Modular PCS for ESS with Hot-swap Function (핫스왑 기능을 가지는 에너지저장시스템용 모듈라 PCS 개발)

  • Ahn, Kang-Soon;Lee, Sang-Taek;Oh, Yong-Se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3
    • /
    • pp.31-37
    • /
    • 2018
  • Energy Storage System(ESS) is a system that maximizes energy efficiency by selectively storing and using the generated power when needed. Therefore, energy must be able to be charged or supplied at any time, and non-operating time should be minimized even in the case of failure or maintenance. However, current large-capacity energy storage systems must be shut down during maintenance due to structural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PCS for 1MW ESS by configuring modular for large capacity ESS in parallel and verified of the hot swap technology that can replace, change, and repair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system while keeping the system operating.

Application of Batteries for DC Power System in Korea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발전소 직류전원계통용 축전지 적용사례)

  • Kim, Dae-Sik;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173-1174
    • /
    • 2011
  • 원자력발전소에 사용되는 직류전원계통은 발전소 운전제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축전지는 교류전원 상실시 전원이 회복될 때까지 발전소의 계통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계측제어설비의 전원공급과 발전소의 안전정지 등에 대비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설비이다. 발전소 직류전원계통용 축전지에 대한 설계 및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국내 외 기술기준과 축전지 용량 및 동작책무 그리고 안전등급 축전지가 공급하는 부하, 축전지의 점검 및 성능시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현재 전기자동차에 사용될 축전지와 신재생에너지의 출력변동 보상용 축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향후 축전지의 연구개발로 축전지 형식이 납축전지에서 기타 다른 우수한 방식의 축전지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될 축전지의 특성, 배터리관리시스템, 축전지에 대한 원자력발전소용 기술기준의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Aerostatic Gas Bearing (공기정압 베어링의 정 동특성에 관한 연구)

  • 전경석;한동철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6 no.2
    • /
    • pp.60-67
    • /
    • 1990
  • 최근 전자 및 광학 분야에 있어서의 눈부신 발전은 다면경 가공기나 초정밀 연삭기와 같은 초정밀 가공기계의 개발과 실용화에 힘입은 바 크다. 이러한 초정밀 가공기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서 추축계를 들수 있으며, 비교적 소형 경량의 공박물을 가공하는 기계의 주축용 베어링으로는 오일 베어링을 대신하여 공기 베어링이 점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공기에 많이 사용되는 외부 가압 공기 베어링은 동압 공기 베어링과는 달리, 외부에서 가압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공기막을 형성하므로, 시동과 정지시 마멸이 없고 저속에서도 비교적 높은 하중 지지력을 얻을 수 있으며, 오일 베어링과 비교하여서는 발열이 적고 윤활제의 유출에 의한 오염의 위험이 없다는 특성외에 공기막에 의한 평균화 효과에 의하여 고정도의 운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급기원의 가정하게 직접 수치해법을 사용하는 해석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무차원화된 설계 변수들에 대한 외부가압 공기베어링의 정$\cdot$동특성수들을 구하고자 한다.

A construction case study of the Soyang hydropowerplant switch-yard modernization project (소양강수력발전소 옥외변전소 현대화 사업 시공 사례 연구)

  • Lim, Sun Taik;Choi, Seung Chul;Kim, Kyung Nam;Kim, Young Ho;Oh, Bong Gun;Kim, Jeoung Hyeon;Ham, Dong 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442-1443
    • /
    • 2015
  • 42년간 장기사용해온 소양강 수력은 옥외 철구형 송변전 설비 노후화로 설비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저하되었고 관련설비의 국내 제품생산 중단으로 사고발생 시 장기간의 발전정지가 우려됨에 따라 조속한 시설대체가 요구되었다. 본 논문은 소양강수력발전을 사례로 수력발전소의 전력공급 신뢰도를 확보하는 옥외변전설비 현대화사업의 주요 공정에 대하여 분석한다. 변압기 및 GIS 제조구매 설치, 154kV 송전용 철탑공사, 모선보호반 설치공사를 세가지 주요공정으로 구분하고, 각 공정별로 현장여건, 필요설비, 공정상의 이슈 해결 등 시공과 관련한 제반 사례 연구결과를 기술, 공유하고자 한다.

  • PDF

Apparatus for Measuring Fan Stall of Boiler for Power Station (화력발전용 보일러의 맥동 측정 장치)

  • Cho, Hyun-Seob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3
    • /
    • pp.1681-1684
    • /
    • 2014
  • In this paper, in the ventilation system of coal-fired power boilers can measure in real time the fan stall mechanism is all about. The fan stall guard system of boiler airing system of the class of 500MW capacity to protect fan. But because confidence is loosed and operation is influenced by frequent fault of fan stall guard system, confidence is improved by substituting DCS Logic for it.

Study on numerical analysis for cable anchorage device of arch type cable stayed bridge for light railroad (경전철용 아치형 사장교의 보강형 정착구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 Kong, Byung-Sueng;Jeong, Ji-Cha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619-622
    • /
    • 2011
  • 케이블 정착구 검토를 위해서 사장교 전 체계를 모델링하는 것은 전체모델링 해석시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고 해석결과의 분석 또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문제가 예상되는 부분만을 국부 상세해석하여 구조적 거동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케이블 정착부에는 여러 보강재들로 구성되어 있어 국부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실제와 가능한 한 근접하도록 모델링을 하고 전체 구조물의 거동을 국부 상세모델에 적적히 반영할 수 있도록 경계조건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 지하철 4호선의 아치형 사장교를 국내 범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MIDAS/CIVIL을 이용하여 아치리브와 거더정착구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해석 후 해석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정착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검토 분석 하고자 한다.

  • PDF

Phase-Difference Control of Ultrasonic Motor (초음파 모터의 위상차 제어)

  • 김영동;오금곤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0 no.1
    • /
    • pp.66-74
    • /
    • 1996
  • 최근 진행파형 초음파 모터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저속 고 토크이어서 직접 구동()용으로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응답이 빠르고, 정지 토크가 크며 설계자유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운전시 소음이 없고 자계에 강해 자동화 설비 분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매우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모터의 2상 입력전원의 위상차를 조절하여 속도와 토크 특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위상차 제어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위상차 제어방식을 채용한 경우 초음파 모터의 위치 및 속도제어는 물론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토크 제어가 가능함을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위상차 변화에 따라 속도가 토크가 거의 비례해서 변화하였다. 이것으로 전원 전압의 위상차 조절을 통해서 속도와 토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크센서 없이 각도 센선 만으로도 위치제어는 물론 토크 제어도 큰 오차 없이 행할 수 있음을 밝혔다.

  • PDF

한전의 국산 배전자동화 시스템

  • 고인석;서정윤
    • 전기의세계
    • /
    • v.46 no.9
    • /
    • pp.55-63
    • /
    • 1997
  • 도시화 과밀화에 따른 수요의 고밀도화가 도시기능의 고도화 및 다양화에 수반하여 전력공급 신뢰도 향상의 필요성은 나날이 고조되고 있다. 도시기능의 고도화가 진전되면 도심지에 있어서 정전사고라든가 설비재해에 의한 사고시 도시기능이 마비되어 그 영향은 큰 사회문제로 발전하기 때문에 정전시간의 단축과 정전구간의 최소화, 사고파급방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데, 도시의 과밀화와 수용의 고밀도화는 그 어느것이나 사고파급방지, 정전시간의 단축을 위한 대책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소이다. 더욱이 근년의 POWER, ELECTRONICS기술의 급속한 진보에 의해 가전제품, 각종 OA기기로부터 산업용 기기에 이르기까지 반도체 응용기기의 보급이 확산되어 있다. 이러한 기기의 일부는 특성상 계통사고의 인지에서 재폐로까지의 극히 짧은 시간동안의 순시 전압강하에서도 그 기능이 정지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양질의 전력공급은 고도 정보화 사회의 진전, 도시기능의 고도화를 지탱하는 중요한 사회적 기반으로 앞으로도 그 중요성은 더욱 고조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전력에서는 이러한 고객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고, NEEDS의 다양화에 적극 대응하고 기업경영에 효율성을 제고하는 대책으로 국산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하여 실증시험을 거쳐 실계통 운전에 들어가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