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전기 재해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전기화재(IV) -가연물 취급장소에서 고려하여야 할 정전기 대책-

  • 원종수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 no.3
    • /
    • pp.47-57
    • /
    • 1988
  • 정전기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려면, 정전기의 발생, 착화 능력을 가진 위험한 방전의 발생, 폭발성 가스, 증기가 공기와의 비율에서 폭발 한계 내에 존재할 것 등의 세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전기에 의한 착화, 폭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이 세가지 관점에서 검토하여, 어떤 조건 하에서도 3개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 정전기에 의한 재해 중에서 그 방전이 착화원이 되어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 등의 폭발, 화재에 의한 재해의 방지 대책에 한정해서 개설한다.

  • PDF

Two-body 모델을 이용한 대전 인체의 방전 위험성 예측에 관한 연구

  • 고은영;김두현;김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77-82
    • /
    • 1997
  • 현대 사회는 첨단 산업의 발전으로 공장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적절히 제어하지 않으므로 여러 형태의 산업재해와 생산성 저하등의 장ㆍ재해로 인한 많은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특히 정전기 방전 (Electrostatic Discharge)(1) 중에서 인체의 대전으로 인한 방전 현상은 다른 물체의 대전으로 인한 정전기 방전 문제보다 더 심각하게 취급하여 이에 대한 정량적 해석 및 그 위험성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전 인체와 근접 물체간의 방전 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인체와 근접물체의 정전 용량을 측정하여 이와 동일한 정전 용량을 가지는 구로 모델링한 two-body 문제로 정전기 현상을 해석하고자 한다. (중략)

  • PDF

가스 분출시 정전기 대전에 의한 위험성 평가 장치 개발

  • ;;;;;;Mizuki YAMAGUMA;Tsutomu KODAM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06a
    • /
    • pp.101-107
    • /
    • 2000
  • 가연성 가스가 누출함에 따른 화재 및 폭발 재해는 공업화 사회에 있어서 방치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기체, 액체, 분체가 단면적이 작은 분출구를 통해 공기중으로 분출될 때 분출하는 물질과 분출구와의 마찰로 인해 정전기가 발생한다. 분출되는 물질과 분출구를 구성하는 물질의 직접적인 마찰에 의해서도 정전기가 발생하고, 분출되는 물질 구성입자들간 상호충돌에 의해서도 정전기가 발생된다. 배관 내에 순수천연가스가 이송ㆍ분출할 때의 대전량은 매우 작다. (중략)

  • PDF

Electrification Phenomena of Paticles and Counter-Plan of Static Electricity Troubles (분체의 대전현상과 정전기 장해 대책)

  • 이덕출;황명환;육재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8 no.4
    • /
    • pp.223-230
    • /
    • 1993
  • 각종 산업에 있어서 분체는 여러가지 형태로 다량 사용되고 있으며 분체 취급시 정전기에 의한 폭발, 화재 등 많은 재해가 발생되고 있다. 분진폭발은 과거에 탄광에서 탄진폭발에 의한 것이 대부분 이었지만 최근 플라스틱 공업, 유기합성 공업, 분말 공업 등 원재료와 제품을 분체로 취급하는 공정이 증가하면서 분진폭발 사고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재해 방지를 위한 충분한 검토 및 대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