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자의 수

검색결과 665건 처리시간 0.03초

사람 정자에 대한 유인능과 운동성에 미치는 난포액의 영향 (Effect of Follicular Fluid on Attraction and Motility of Human Spermatozoa)

  • 곽대오;전병균;문진수;김광철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59-165
    • /
    • 2001
  • 사람 정자에 대한 유인능과 운동성에 미치는 난포액의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난관 폐색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채취한 난포액 sample A, 남성 배우자의 불임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채취한 난포액 sample B, Sample A를 가열처리한 난포액 그리고 modified human tubal fluid(m-HTF)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한 각각의 모세관을 1, 2 및 4시간 동안 배양하여 유인된 정자의 수와 운동성을 가진 정자의 비율을 조사하였다. 유인된 정자 및 운동성을 가진 정자의 비율은 난포액 sample A에서 m-HTF, 난포액 sample B 및 가열 처리한 난포액보다 유의 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불활성화 난포액보다 신선 난포액에서 유인능 및 운동성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 PDF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소 정자세포구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Bovine Spermatozoal Components by 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s)

  • 최승철;천장혜;이상호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9-346
    • /
    • 1994
  • 정자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자세포구성분의 분리가 필요하다. 본 실험은 동결융해된 한우정액에 다양한 물리·화학적 처리를 하여 효과적인 정자세포구성분의 분리방법을 확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물리적 분리방법으로는 vortexing 처리, 26 gauge needle 또는 strained 26 gauge needle을 1ml 주사기에 부착시킨 후 반복된 pumping, 동결보존액없이 반복된 동결융해처리등을 시행하였다. 또한, 화학적인 분리를 위해 trypsin, dithiothreitol, sodium dodecylsulfate, mercaptoethanol 등을 사용하였다. 모든 처리구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정자두부와 미부의 절단을 strained 26 gauge needle이 부착된 주사기를 사용한 반복된 pumping에 의해 얻어졌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95∼100%의 높은 정자구성분의 분리가 이루어졌다. 분리된 정자구성분의 두부표면의 보존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250g/ml FITC-UEA 1 염색을 실시하였지만 특별한 두부표면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른 물리적 처리방법들도 높은 정자구성분의 분리결과를 보여주었지만, strained 26 gauge needle를 사용한 방법에 비해서는 분리효율, 시간등 여러면에서 비효율적이었다. 화학적 처리에 의한 정자구성분의 분리결과는 물리적 처리에 비해 효과적이지 못했다. 분리된 정자두부와 미부를 각각 회수하기 위해 sucrose 용액을 2M, 1M, 0.5M, 0.25M 순으로 시험관에 넣은 후 1,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결과, 1M과 2M의 경계부분에 형성된 정자두부층을 얻을 수 있었다. 정자구성분의 효과적이고 간편한 분리방법이 본 실험에 의해 확립되어졌으며, 위의 방법에 의해 분리, 회수된 정자구성분은 생화학적 연구, 난자활성화기작의 이해등 다양한 응용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구자 투약기간이 수컷 생쥐의 생식능력에 미치는 영향 (Administration Term-dependent Effects of Allii Tuberosi Semen Extract Solution on the Reproductive Capacities in the Mice)

  • 이진무;이창훈;조정훈;장준복;이경섭;박대순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1-82
    • /
    • 2007
  • 목 적 : 본 연구는 기간별 구자 투약이 생쥐의 생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이를 위해 30일, 60일, 90일 및 120일간의 구자 투약이 생쥐의 총 정자수, 활동 정자수, 정상형태 정자수, 고환조직 및 hyaluronidase activity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 과: 1. 총 정자수는 60일과 90일 투여 후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2. 활동 정자수는 60일, 90일 및 120일 투여 후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3. 정상 형태 정자수는 60일, 90일 및 120일 투여 후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4. 고환 세정관의 조직학적 변화는 60일 투여 후에 가장 현저히 나타났다. 5. Hyaluronidase activity는 모든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60일 이상의 구자 투약이 남성 생식능력을 활성화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Chromatography용 Paper, $\mu$RPC Column 및 Superose Column을 이용한 정자의 이동을 자극하는 난포액 성분의 분리 (Separation of Follicular Fluid Components Stimulating Sperm Migration with Chromatographic Paper, $=mu$RPC and Superose Columns)

  • 박영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01-312
    • /
    • 1998
  • 난포액내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성분 중에서 sucrose 층으로부터 정자의 swim-up 이동을 자 극하는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paper chromatography (PC) 및 reverse phase column (RPC) 과 superose column (SC)를 이용한 액체 chromatography의 분리효과를 조사하였던 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hromatography용 paper로 분리한 각 band 의 성분은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정자의 이동과 운동을 자극하였으며, 특히 band 1 성분은 정자의 이동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동일 첨가수준에서 bands 성분의 정자 이동과 운동자극효과는 난포액의 효과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2. $\mu$RPC를 이용 2~5mm 난포로 부터 분리한 성분중 RT3.33, RT7.00, RTl3.87 및 RTl6.6A 성분은 정자의 이동을 자극하였으나, 자극효과는 매우 적었다. 3. $\mu$RPC를 이용 10mm 난포로 부터 분리한 성분은 정자의 이동과 활력을 자극하지 않았다. 4. SC를 이용 2-5mm 난포로 부터 분리한 성분 중 RVI.35 성분과 RV0.82 성분은 정자의 이동과 운동을 유의하게 자극하였다. 결론적으로 난포액내 정자의 이동과 운동을 자극하는 단백질 성분은 superose column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RVI.35 성분과 RV0.82 성분은 정자의 swim-up 분리를 자극하였다.

  • PDF

방사선 조사에 의한 몽고리안 저빌 고환의 형태 및 정모세포의 DNA 손상 변화 (Morphological change of Mongolian gerbil testis and DNA damage of spermatocytes by irradiation)

  • 김진규;송치원;김무강;김봉희;천기정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1년도 춘계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 /
    • pp.120-120
    • /
    • 2001
  • 방사선 조사는 생물체의 여러 장기에 큰 손상을 일으키며 생식기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숫컷의 고환내의 분화중인 정모세포는 매우 민감함을 나타내며 그 결과 방사선 조사 정도에 따라 정자의 이상 형태 및 정자수의 감소를 나타내어 무정자증까지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는 8주된 Mongolian gerbil 숫컷을 사용하여 5Gy 및 10 Gy(선량률 : 1 Gy/분)를 조사하였으며 방사선 조사 바로 직후 및 7일에 고환을 채취하였다. (중략)

  • PDF

폐쇄성과 비폐쇄성 무 정자증 환자의 고환 내 세포 자연사 관련 인자들의 발현 변화와 SELDI-TOF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단백질 발현 분석 (Differential Expressions of Apoptosis Regulators and Protein Profiling by SELDI-TOF Mass Spectrometry in Human Testis with Obstructive and Non-obstructive Azoospermia)

  • 김슬기;김호승;이호준;박용석;서주태;윤용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2호
    • /
    • pp.121-132
    • /
    • 2005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자형성과정의 이상과 고환세포의 세포자연사와의 연관관계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SELDI-TOF MS 분석을 통하여 고환 내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질환에 따른 효과적인 biomarker 개발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재료 및 방법: RT-PCR 및 면역조직화학법을 사용하여 고환에서의 Fas, FasL, Bcl-2, Bax와 Caspase-3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in situ DNA 3'-end-labelling 방법으로 고환세포의 세포자연사 양상을 확인하였다. SELDI-TOF MS 분석법에 의한 고환의 병리학적 소견에 따른 단백질 발현 변화는 소수성 칩 ($H_4$)을 사용하여 분자량 10~100 kDa 범위 내에서 분석하였다. 결 과: 정상적인 정자형성과정을 보이는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의 고환에 비해 지주세포 증후군 (Sertoli cell only syndrome)과 성숙정지 (maturation arrest)를 보이는 고환 내 생식세포와 지주세포에서 세포자연사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자연사 관련인자들의 발현 양상을 확인한 결과,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 환자군에서 Fas와 FasL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bcl-2, bax와 caspase-3 mRNA 발현의 경우에는 두 질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FasL 단백질 발현의 경우, 세포자연사의 증가가 관찰되었던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를 보이는 환자의 간질세포와 지주세포에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SELDI-TOF MS 분석 결과에서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군에 비해 전체적인 단백질 발현양이 지주세포 증후군과 성숙정지 환자의 고환에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16.730 kDa 단백질의 현저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자형성과정의 장애는 생식세포의 비정상적인 세포자연사와 연관되어 있으며, 고환 내 Fas와 FasL의 비정상적인 발현이 주된 원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ELDI-TOF MS 분석법을 통한 단백질 발현 양상의 연구는 무정자증 환자에서의 다양한 병리학적 소견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biomarker 발굴뿐만 아니라 질환의 원인규명을 위한 연구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백한우의 성판별 정액을 이용한 수태율 추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stimation of Pregnancy Rate of White Hanwoo (Albino Korean Native Cattle) with Sexed Semen)

  • 김성우;최진석;최창용;김동교;고응규;소충실;성환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5-50
    • /
    • 2015
  • 본 연구는 백한우 개체 1두에서 성판별된 정자를 제조하고 원하는 성을 가진 후대를 생산하고자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채정이 가능한 백한우 종모우 1두를 선발하고, 정자 성 분리 전용 유세포 분리기인 MoFlo XDP기기로 성분리 동결정액을 생산하였다. 성분리 X 정자의 농도에 따른 임신율과 출산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서 KPN 768정액을 이용하였으며 그 총 정자수는 $20{\times}10^6$로 추정되었다. 실험군으로서 성 판별된 백한우 X 정자를 이용하였으며, 정자수 $2{\times}10^6/straw$$4{\times}10^6/straw$를 처녀우 한우에 2회 인공수정하였다. 백한우의 정액 기형도는 $24.9{\pm}7.31%$로 관찰되었으며, 중편부 반전 정자기형이 약간 높은 정자로 검사되었다(11.7%). 성판별된 백한우 X-정자수가 $2{\times}10^6/straw$$4{\times}10^6/straw$를 인공 수정할 때 실험군에서 임신율의 차이는 없었으며, 보증씨수소 정자를 이용한 대조군의 경우, 임신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대조군 KPN 768와 실험군 $2{\times}10^6/straw$ 정자와 $4{\times}10^6/straw$ 정자 처리군에서 임신율은 각각 85.0%, 26.3% 및 50 %로 관찰되었다. 산자 생산율은 각각 80.0%, 15.8% 및 21.4% 로 관찰되었고, 암컷 출현율은 각각 43.8%, 100% 및 100%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백한우 성 판별된 정자로 원하는 성을 가진 후대 생산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성 판별된 정자를 활용하여 원하는 성을 가진 백한우 후대를 생산하는데 최적화된 정자수의 대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Vitro 고삼투압이 정자 원형질막의 Protein Tyrosine Phosphorylation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Effect of High Osmolality on Plasma Membrane Activities in the Spermatozoa)

  • 오영근;장재호;최인호;정노팔;신형철;곽병주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7-244
    • /
    • 2000
  • 정자의 원형질막은 삼투압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중 세포막내 분자구조의 변화 특히 막지질 구조의 변화와 동반되는 이온채널의 변화 그리고 $Ca^{2+}$과 HCO$^{-}_{3}$의 유동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정자의 첨체반웅 (acrosome reaction)이 일어날 경우 protein tyrosine phosphorylation이 증가되는데 이것은 cAMP, protein kinase A 둥을 통하여 작용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막의 지질변화를 유도하는 물질로 일종의 sterol acceptor인 BSA가 알려져 있는 바, 실제로 BSA가 막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cholesterol이 유출되고 이온 둥의 유동성 변화가 일어나, 이 유동성 변화가 정자의 adenylyl cyclase를 활성화시켜 cAMP를 증가시키고, PKA가 활성화되어 결과적으로 protein tyrosine phosphorylation이 유도된다고 보는 것이다. 첨체반응과 protein tyrosine phosphorylation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자 원형질막에서 cholesterol이 유출되어 protein tyrosine phosphorylation이 유도될 때, BSA와 같은 sterol acceptor가 작용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고삼투압 하에서 탈수로 인해 원형질막이 위축되더라도 sterol acceptor가 존재한다면 막지질 성분의 구조적 변화가 억제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저온 및 고삼투압 하에서 정자운동은 감소되지만 원형질막의 구조적 변화는 없고, 삼투압에 대한 반응정도는 원형질막을 통한 수분이동과 세포공적 변화에 따라 비례적으로 일어난다고 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정자보존에 있어서 저온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 특히 protein tyrosine phosphorylation의 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시해 준다. 또한 sterol acceptor로 알려진 BSA는 삼투압이 변화되더라도 역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고삼투압으로의 변화는 cAMP와 protein kinase A를 거치는 신호전달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미세술기를 이용한 정계정맥류절제술이 정자 핵 내 DNA Integrity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icrosurgical Varicocelectomy on Human Sperm Nucleus DNA Integrity)

  • 김기영;이재석;지희준;김종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3호
    • /
    • pp.245-251
    • /
    • 2010
  • 목 적: 인간 정자 핵 내의 DNA integrity는 배아의 발달 및 임신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DNA integrity가 손상된 경우 불임과 유산의 원인이 된다고 하며, 정계정맥류는 DNA 손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술기를 이용한 정계정맥류절제술로 정계정맥류를 교정을 하였을 때 정자 핵 내 DNA integrity가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2006년 4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불임을 주소로 미세술기를 이용한 정계정맥류절제술을 받았던 18명의 환자에서 수술 전 후에 정액검사의 다른 지표들과 함께 정자 핵 내 DNA integrity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조사하였다. 정자 핵 내 DNA integrity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comet assay를 시행하였고, comet assay를 통한 DNA 손상 정도는 DNA fragmentation index (DFI)로 나타내었다. 결 과: 수술 후 4개월에 모든 환자에서 재발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DNA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평균 DFI는 수술 전에 19.3%, 수술 후에 13.7%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수술 전 DFI가 10 이상으로 비정상인 14명의 환자들 중 12명 (85%)에서 개선 소견을 보였으나, 수술 전 DFI가 10 미만인 정상 환자 4명에서는 1명 (25%)만이 개선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정자의 밀도, 운동성, 생존성에서 호전 양상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미세술기를 이용한 정계정맥류절제술을 통한 수술적 교정은 정액검사상의 다른 지표의 개선 뿐 아니라, 정자 핵 내 DNA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정계정맥류의 수술적 교정으로 정자 핵 내 DNA integrity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는 보다 양호한 정자를 많이 얻을 수 있어 자연임신이나 보조 생식술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홍바리, Epinephelus fasciatus 정자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Blacktip Grouper, Epinephelus fasciatus Spermatozoa)

  • 김성훈;이치훈;송영보;주해성;김형배;이영돈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2호
    • /
    • pp.61-66
    • /
    • 2012
  • 홍바리, Epinephelus fasciatus 정자의 미세구조적 특징을 주사형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홍바리 정자는 구형의 두부와 cytoplasmic sleeve와 고리형 cytoplasmic canal 입구 등으로 구성된 중편부 그리고 lateral fin을 갖는 1개의 편모로 구성된 미부로 구별된다. 정자의 핵은 구형이며, 첨체 구조물은 존재하지 않으나 이질 염색질이 과립상 덩어리 형태로 조밀하게 분포하였다. Proximal centriole과 distal centriole은 각각 수레바퀴형의 "9+0"의 축사구조를 보이며 서로 수직으로 osmophilic filaments 연결되어 있고, 핵막과도 연결되어 있었다. 중편부는 구형의 8~9개의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며, 빈공간인 cytoplasmic canal과 편모 원형질막에는 7~8개의 구형 입자를 갖는 necklace가 존재하였다. 미부는 1개의 편모를 갖으며 전형적인 "9+2"의 축사구조를 보였고, 편모에는 다양한 형태의 lateral fins을 관찰할 수 있었다. 홍바리 정자의 미세구조적 특징은 바리과 어류의 정자와 상이하여 계통분류학적 동정의 형질이 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정자 세포소기관의 기능적 및 생리학적 연구에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