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의전쟁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merican Culture at the Crossroad : Debates over NEA(National Endowments for the Arts) (미국 문화, 그 기로에 서서 - NEA(국립예술진흥기금)를 둘러싼 논쟁 중심으로)

  • Kim, Jin-A
    • The Journal of Art Theory & Practice
    • /
    • no.4
    • /
    • pp.33-56
    • /
    • 2006
  • The cultural debates between conservatives and liberals at the end of the 1980s and in the early 1990s were termed as "culture wars." The "culture wars" involved a diverse range of controversial issu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multicultural curricula in educational institutions, prayers in schools, whether to allow gays to serve openly in the military, and whether abortion should be permitted. The most heated debates of the "culture wars" regarding art raged over the NEA and the question of whether Andres Serrano's works should have been publicly funded, in addition to the exhibition "Robert Mapplethorpe: The Perfect Moment" which were charged as projecting "obscene" or "blasphemous" images.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culture wars in art and focuses on several issues invoked by the NEA debates. However, it is not a detailed chronological investigation. Rather it pays attention to the several phases of the debates, analyzing and criticizing the clashes of the political and esthetical points of views between conservatives and liberals. How could NEA funding, a mere fraction of the federal budget, have become so critical for both sides(conservative and liberal), for politicians and artists' groups, and for academics and the general public? The art community was astounded by this chain of events; artists personally reviled, exhibitions withdrawn and under attack, the NEA budget threatened, all because of a few images. For conservative politicians, the NEA debate was not only a battle over the public funding of art, but a war over a larger social agenda, a war for "American values and cultures"based on the family, Christianity, the English language, and patriarchy. Conservative politicians argued the question was not one of "censorship" but of "sponsorship," since the NEA charter committed it to "helping museums better serve the citizens of the United States."Liberals and art communities argued that the attempt to restrict NEA funding violated the First Amendment rights of artists, namely "free speeches." "No matter how divided individuals are on matters of taste," Arthur C. Danto wrote, "freedom is in the interest of every citizen." The interesting phase is that both sides are actually borrowing one another's point of view when they are accompanied by art criticism. Kramer, representative of conservative art critic, objected the invasion of political contents or values in art, and struggled to keep art's own realm by promoting pure aesthetic values such as quality and beauty. But, when he talked about Mapplethorpe's works, he advocated political and ethical values. By contrast, art experts who argued for Mapplethorpe's works in the Cincinnati trial defended his work, ironically by ignoring its manifest sexual metaphor or content although they believed that the issues of AIDS and homosexuality in his work were to be freely expressed in the art form. They adopted a formalistic approach, for example, by comparing a child nude with putti, a traditional child-angel icon. For a while, NEA debates made art institutions, whe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exert self-censorship, yet at the same time they were also producing positive aspects. To the majority of people, art was still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pure aesthetic realm away from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ones. These debates, however, were expanding the very perspective on the notion of what is art and of how art is produced, raising questions on art appreciation, representation, and power. The interesting fact remains: had the works not been swiped in NEA debates, could the Serrano's or Mapplethorpe's images gain the extent of power and acceptance that it has today?

  • PDF

Army mobilization system for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study period (군 동원제도의 시대적 고찰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Jung, Jae Keak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3 no.5
    • /
    • pp.77-87
    • /
    • 2013
  • Mobilization is defined as a use of national authority to effectively control, manage and utilize all personnel and material resources of a nation in a national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the complete posture of mobilization many deter war and secure victory as well as serve as a driving force for national economy during peacetime The future of military mobilization policies will need to be developed in relation to other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departments. Also mobilization of reserve forces can increase its swiftness and effectiveness by integrating the civilian, governmental and military departments. Additionally, the mobilization of military reserve forces policy after the unification in this Peninsula will need to be developed through active researches.

Gray Zone Strategy in Maritime Arena : Theories and Practices (해양에서의 회색지대전략의 이론과 실제)

  • Chung, Samman
    • Strategy21
    • /
    • s.43
    • /
    • pp.89-124
    • /
    • 2018
  • 평화를 전쟁의 부재라고 정의할 때 현재 전쟁이 없다면 지금 이 시간은 안전하고 평화로워야 한다. 그러나 지금 현 세상은 비록 공식적으로 선포된 전쟁은 없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결코 평화롭다곤 할 수 없을 것이다. 흑해의 크림반도가 노골적인 군사적 침략이 없었지만 결과적으로 러시아의 수중에 떨어졌다. 남중국해의 여러 섬이나 암초들이 정규 군사작전 없이 사실상의 중국의 소유로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전시 군사적 침략을 통해서만이 확보 가능한 전략적 목표들이 전시도 아니고 그렇다고 평시도 아닌 어중간한 시기에 적 또는 상대의 수중에 떨어지고 있다. 즉, 전시와 평시 사이의 회색지대에서 소위 회색지대전략이라고 부르는 공세적 전역을 통해 이러한 전략적 목표들이 달성되어 지고 있다. 소시지가 너무 커 한입에 다 먹을 수 없으면 잘게 썰어 하나씩 먹으면 결국 전체를 다 먹을 수 있듯이 소규모의 절차적 행동을 단계적으로 실행, 대규모 전투를 통해서만이 확보 가능한 거대하고 중대한 목표를 확보하는 게 회색지대전략의 한 특징이다. 이를 전략적 점진주의(strategic gradualism)라고 한다. 또한 단계적 행동은 누구나 인지할 수 있지만 그러한 점진적 행동의 결과에 대해선 쉽게 간파할 수 없기 때문에 대응자의 입장에선 대부분 특별한 대응책을 세우지 못하고 방치하고 만다는 게 이 전략의 또 다른 특성이다. 즉, 회색지대전략은 특성상 반드시 애매모호성(ambiguity)을 띄고 있다는 것이다. 회색지대에서의 도전자의 행위는 일종의 속임수일 수도 있다. 전략의 본질은 위계, 즉 상대로 하여금 오인, 착각, 부지를 일으키도록 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회색지대전략(gray zone strategy)이라고도 한다. 양육강식의 논리가 작용되는 현실 세계에선 힘이 곧 정의이고 국익이 최고의 선이다. 국가이익은 오직 과정보다는 결과만을 놓고서 정당화된다. 이에 회색지대전략에서도 결과에 대한 유용성만 거론되지 과정상 불법성이나 비도덕성 등은 따지지 않는다. 대부분 이 전략의 애매모호성 때문에 과정 자체를 식별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대응자의 입장에서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선제적 대응전략을 구사하기가 어려운 게 사실이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중국이 해상민병을 이용한 회색지대전략을 구사, 이어도에 대한 도발을 감행할 수도 있다. 일본이 민간 극우파 등을 이용한 회색지대 전략을 구사, 독도에 대한 도발을 감행할 수도 있다. 평화는 거저 존재하지 않는다. 확전을 각오한 사전대비차원의 억지책이 마련되어야 상대의 회색지대전략을 단념시킬 수 있다. 그것도 신뢰성 있는 억지력만이 진정한 평화를 담보할 수 있다. 전략이 있어야 대응계획을 세울 수 있고, 상대는 이럴 때 도발을 단념하게 된다. 대응전략이 없다는 것은 대응계획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무계획은 늘 실패만을 계획하고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Aspect of Landscape Change in Seokpajeong Garden(石坡亭) (석파정(石坡亭)의 경관변천에 관한 연구)

  • Lee, Won-Ho;Kim, Dong-Hyun;Kim, Jae-Ung;Ahn, Hye-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11-11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석파정을 대상으로 소유주의 변경에 따른 시기별 경관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초기 석파정의 모습은 계류를 중심으로 하는 공간으로 주변의 수림대와 어우러진 자연경관이 확인되었으며, 대원군으로 소유 시에도 그 모습은 대부분 준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나, 한국전쟁 이후 잦은 소유주의 변경과 서울미술관 정원으로의 귀속에 따른 경관훼손은 원형경관의 복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DEVS 형식론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모델링 시뮬레이션 방법론

  • 임성용;김탁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5
    • /
    • 2000
  •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행동 표현을 각각의 시스템에 적합한 모델링 형식론으로 표현하면, 각각의 모델이 지니고 있는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수행속도를 증가시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모델링 하는 과정에서 시간 진행에 따른 수행 의미의 고찰은 모델링 방법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산 사건 시스템과 연속 시간 시스템간의 입출력 교환을 위해서, 사건을 연속 입력으로 변환하고, 연속 출력을 사건으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를 표현하는 형식론을 정의하고, 시뮬레이션의 시간 진행에 따른 종속 관계 방법과 독립 관계 방법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때, 이산 사건 시스템은 DEVS 형식론에 기반한 알고리즘으로 수행하고, 연속 시스템을 미분방정식의 산술적 누적 알고리즘에 따라 수행하는 통합 환경을 구축하며, 이를 바탕으로 두 미사일의 격추 예제를 수행하여 전쟁 시뮬레이션 분야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한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Area Stud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Geography (지역연구의 특성과 지라학과의 관계)

  • 김희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243-258
    • /
    • 2000
  • 지역연구는 해외지역연구(foreign area studies)의 준말로, 연구자의 문화와는 다른 문화권 혹은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학제적인 연구이다. 지역은 시대와 정의자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인지개념으로 세계지역, 문화지역, 국가단위지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지역연구는 1920년대에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전쟁 전에는 유럽지역이 지역연구의 주요 대상지역이었으며 전후 냉전시기에는 제3세계가, 그리고 현재는 전세계의 모든 지역이 연구지역으로서 주요한 가치를 지닌다. 지역연구는 정책지향적이고 학제적인 연구이며 현장연구를 중요시하는 특성을 지닌다. 지역연구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공분야의 학위와 현지언어 능력, 광범위한 지역 지식, 현장 경험 등을 갖춰야 한다. 그러나 분과학문과 지역에 대한 관심의 균형 문제가 분과보편주의와 지역특수주의 간의 갈등으로 나타나 지역연구의 목적이 희석되기도 하였다. 지리학은 몇가지 이유로 인해 지난 몇 십년간 지역연구에 대해 비교적 관심을 덜 가졌다. 그러나 지리학자는 공간 상호작용의 분석과 자연환경에의 접근 등을 통하여 지역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역연구의 큰 목적 중의 하나인 지역성 구명의 문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PDF

Interpretation of Terrorism Threats in Soft-Target for Public Safety (다중이용시설의 테러대비를 위한 테러리즘 해석)

  • Oh, Hangil;Lee, M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11-3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중이용시설의 테러대비를 위한 테러리즘 의미를 고찰하여 비교해석 함으로써 국가안보와 공공안전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중적 법적 해석으로 발생하는 이격을 줄이기 위해 진행 되었다. 최근 불특정 다수의 공포감을 극대화를 위한 민간 다중이용시설의 테러증가와 북한에 테러위협, 국내에 발생가능 자생테러를 대비하기 위해 테러행위에 대한 명확한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국외의 테러관련 법을 고찰하여 테러리즘에 대한 전쟁행위, 범죄행위, 사고행위를 구분하였으며 이를 통해 부처별 고유업무에 혼선을 줄이는 해석 방법을 제공하였고, 테러리즘 정의의 법적 미비점을 도출하여 개선방향을 제언함으로서 사후 국가위기상황 재난관리에 대한 대테러 전략 구축 및 개선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nti-Vice Vigilantism: The Rise of Islamic Security during the Reform Era in Indonesia (악덕과의 전쟁: 개혁시기 인도네시아의 이슬람적 치안 발생)

  • CHO, Youn-Mee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7 no.2
    • /
    • pp.1-36
    • /
    • 2017
  • This paper deals with the rise of Islamic scheme of security in Indonesia's longstanding traditions of vigilantism since the fall of Suharto's New Order regime. For that purpose, in comparison with other modes of the securitization process on morality issues that functioned by the end of New Order, I discuss the background that enables Islamic security to launch off, and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practices of Islamic security agenda. I then argue how that scheme relates to power and moral legitimacy, and how it shapes the way of perceiving self and society. Through this ethnographic analysis of the rhetorical and institutional changes to the scheme of security in Indonesia, this paper demonstrates how the social stress in the reform era, which is mediated by the ideas of globalization and Islam, is put into the securitization process, and how Indonesian society imagines its future through the Islamic vehicle of security.

Macroeconomic and Non-Macroeconomic Forces Effe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Air Transport Firms (거시경제 및 비 거시경제변수가 항공운송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Su-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3
    • /
    • pp.352-36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mpact of macroeconomic and non-macroeconomic force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air transport firms and offer the useful information to the managers. To conduct the regression analysis, eight macroeconomic and non-macroeconomic variables were selected individually as an independent variable. Macroeconomic variables were the return of corporate bond, West Texas Intermediate, the unemployment rate, the money supply, the trade balance, the won to USD exchange rate, the consumer price index and the index of industrial production. And non-macroeconomic variables were Taiwan earthquake, the Asian economic crisis, the 911 terrorist attacks in the US, the Iraq war, Beijing Olympic, the outbreak of a swine flu epidemic, the 1st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2nd presidential election. And ROA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hanging rates of won to USD exchange rate and consumer price index affected the changing rate of ROA significantly. And also a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impact of two significant macroeconomic variables and eight non-macroeconomic variables on the changing rate of ROA, it was found that the Asian economic crisis and the outbreak of a swine flu epidemic had a negative impact on it. Therefore managers should take note of a change in macroeconomic and non-macroeconomic variables carefully to improve the management performance.

A Study on the Cyber Weapons Classification System (사이버무기 분류체계에 관한 시론)

  • Lee, Yongseok;Kwon, Hunyeong;Choi, Jeongmin;Lim, Jong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8 no.4
    • /
    • pp.905-917
    • /
    • 2018
  • The sovereign state has the right to engage in self-defense or war with the approval of the Security Council when it receives an invasion of territory from a foreign country. War is conducted under the principle of the necessity and proportionality of self-defense. In case of cyber attack, proportional countermeasure must be made through attack means and effect analysis, and cyber weapons need to be classified for this purpo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rational and legitimate response according to the necessity and proportionality of the self - defense right by suggesting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cyber weapons. In this study, cyber weapons were defined as "means of collecting, attacking, and protecting information using cyber technology in the cyber space according to military objectives. Based on existing weapon systems and public cyber weapons cases, cyber weapons were classified as (1) cyber weapons for information gathering, (2) cyber weapons for attack, and (3) cyber weapons for protection. We suggest the considerations for applying the proportional response according to this functional classification. In order to guarante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o cyber attacks in the future, the classification study based on the cyber weapon effect should be conducted. This study has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cyber clusters which constitutes one axis of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