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의적 측면

Search Result 1,26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cientific Qualifications Reflected in the Exploration of Space Geometry Utilizing 4D Frame (4D 프레임을 활용한 공간도형탐구 담화에 나타난 과학적 소양)

  • Kim, Hwa-So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3 no.4
    • /
    • pp.595-618
    • /
    • 2010
  • To grow as talents with future oriented knowledge and creativity, students need imaginative power and creativeness, and to that end,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may help. Students need activities that help gain explorative mind for new things, concentrating ability, researching ability and creativeness, and such attributes can be improved through the activities of making various shapes utilizing space geometry in 4D-frame. Such activities not only contribute to defining ability in mathematics but also cherish the qualifications required as architects and space scientists.

  • PDF

부안 지역 해안 대수층 내에서의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 삼차원 수치 모델링

  • Kim Jung-Hwi;Kim Jun-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87-91
    • /
    • 2006
  •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일대이다. 이 지역의 해안 대수층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해수 침투 현상을 효과적으로 모사하고 지하수 양수정의 설치 및 운영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지형과 지층의 구성 등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 삼차원 수치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지하수 양수 전의 정상 상태 수치 모델링 결과에서는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의 측면에서 대상지역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이 잘 반영되어 나타났다. 또한 지하수 양수 시의 비정상 상태 수치 모델링 결과에서는 지형과 지층의 특성에 따라서 염분 이동의 양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양수정의 위치에 따른 염분 농도의 시간적 공간적 분포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연구지역 뿐만 아니라 국내의 다른 해안 지역에서 지하수 자원의 개발 시에 해수 침투의 양상을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ases of Discrepancy in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ce Education Assessment: Focusing on Testing Tool in Affective Area (과학 교육 평가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성취 불일치 사례 -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

  • Chung, Sue-Im;Shin, D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5
    • /
    • pp.891-909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some of the discrepancie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focusing on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 in science education. Academic and affective achievement score of 308 high school students were collected as quantitative data, and 33 students were interviewed for qualitative data. We examined the causes and types of discrepancies in terms of testing tools. As a result from quantitative data,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students with a big difference between subjects in cognitive achievement, and constructs in affective achievement. More than 20% of the students did not match tendency between achievements in two areas. Through interviews, some examples such as intentional control of science learning for future study and careers, different responses by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school science and science, appeared. A comparison of quantitative data by testing tool between qualitative ones and interviews showed conflicting result, where most students evaluated themselves differently from their own quantitative data. That is due to the students' interaction with the testing tools. Two types of discrepancy related to testing tool are found. One is 'the concept difference between the item developer and students,' the other is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exposed response and their real mindset.' These are related to the ambiguity of the terms used in the tool and response bias due to various causes. Based on this study, an effort is required to elaborate the testing item that matches students' actual perception and to apply students' science learning experience to testing items.

Strength evaluation for bonded structural adsesive (구조접착이음의 접합부 강도평가)

  • Yi, W.;Jeong, E. 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3
    • /
    • pp.23-33
    • /
    • 1996
  • 자동차 차체에 구조접착접합을 적용하는 것은 시대적인 흐름으로 볼 때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생각된다. 자동차는 머리말에서 언급한 사회적 요구와 그리고 기술적인 측면이 서로 미묘한 조화를 이루면서 만들어진다. 구조접착접합을 적용하는 기술상의 변혁은 처음에는 조금씩 점진적으로, 주의깊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검토해야 할 여러가지 문제가 쌓여있고, 앞으로의 기술개발을 큰 과제로 하고 있지만, 자동차 기술을 담당하고 있는 기술인들의 능력으로 볼때 대부분의 문제들은 해결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조접착접합은 용접성이 떨어지는 고강도 박강판이나 이종재료.복합재료의 접합법으로 기대가 크다는 것을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박강판, 알루미늄합금, 엔지니어링 프라스틱, 세라믹스 등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도 접착접합의 응력해석과 강도평가는 필수적이므로 접착접합에 대한 강도평가의 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접착접합 기술의 활용측면에서 '구조접착'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접착이음의 응력해석과 강도평가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개발을 통해 현재의 접착강도평가 문제를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 PDF

Periodicities of Rainfall Variation and Forcing Factors Cause Severe Droughts (가뭄을 유발하는 강수량 변동의 주기성과 유발요소)

  • Hwang, Seo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5-95
    • /
    • 2016
  • 한반도 중부지방은 2014년과 2015년에 연이은 강수량 부족으로 많은 지역에서 가뭄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한반도는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되는 몬순기후대에 속하기 때문에 여름철 강수량은 생활용수나 농업용수 확보 등 이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한반도(남한)의 중부지역 가뭄을 유발하는 강수량의 부족 현상은 대략 5-10년(평균 7-8년) 주기로 반복된다. 그리고 이러한 10여년 주기 변동성과 더불어 예외적인 경우가 발생하고 매번 그 심도도 변화한다. 이러한 주기성을 우연이라 보기는 어려울 것이나 예외적인 경우나 심도를 가늠할 수 없다는 점(인과관계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확정론적 현상이라 단정하기도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기적 가뭄을 야기하는 강수량 변동의 원인을 지구물리학적 측면에서 추론해 보고자 한다. 가뭄은 인위적인 조건에 의해서도 발생하고 인과관계에 따른 정의도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연 상태에서 강수량의 부족에 의한 가뭄 조건만을 고려하였다. 강수과정은 지구의 물순환 운동에 의해 야기되고 지구의 물순환 운동은 지구의 역학적 운동 및 상호작용 관계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구물리 과정의 일부로 강수과정을 유발하는 지표인자로 SST와 같은 기후 인자에 대해 변동 주기의 상관성을 범지구적인 시공간 규모에서 검토하였다.

  • PDF

The Influences of the Forms of Verbal External Representations and Students’ Verbal Learning Style in Learning with Multiple Representations Using Drawing (그리기를 활용한 다중 표상 학습에서 언어적 정보 형태와 언어적 학습 양식의 영향)

  • No, Tae-Hui;Gang, Hun-Sik;Lee, Bye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0 no.6
    • /
    • pp.477-485
    • /
    • 2006
  •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the forms of verbal external representations and students' verbal learning style in learning chemical concepts with drawing as a method to assist students in connecting and integrating multiple external representations. Seventh graders (N=133) at a coed middle school were assigned to formal drawing (FD) and personalized drawing (PD) groups. Students in the PD group were provided words at personalized style as verbal external representations for drawing, while those in the FD group were provided words at formal style. All students were taught about Boyles Law and Charless Law for two class hours. Results revealed that the scores of a conception test for the P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the FD group. In a situational interest test, students with strong verbal learning style preference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students with weak verbal learning style preference in the two groups. Most PD group students were found to prefer to read verbal external representations at personalized style for drawing rather than at formal style, and perceived their activities positively upon cognitive, affective and motivational aspects. Students with strong verbal learning style preference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ir activities than students with weak verbal learning style preference especially upon affective and motivational aspects.

Definition of XML DTD for CBT dynamic item bank construction (CBT 동적 문제은행 구성을 위한 XML DTD 정의)

  • 정휘웅;윤애선;권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9-14
    • /
    • 2002
  • 인터넷에 기반한 학습 콘텐츠가 보편화됨에 따라 이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중 컴퓨터에 기반한 평가(CBT: Computer Based Test) 시스템은 학술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최근 그 방법론이 평가 및 개발 분야에 있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대부분의 CBT 시스템 환경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문제를 구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관리 측면에서도 높은 비용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이 문항 정보는 동적인데 비해, 기존 전산 정보 환경은 정적인 것에서 비롯되었다 보고, 이에 대한 구조적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최근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였다. 컴퓨터 환경 관점과 문항 저작 관점 모두를 충족시키기 위해 XML의 요소(element) 정의는 컴퓨터 친화적(computer friendly) 요소와 콘텐츠 친화적(computer friendly) 요소로 분류하고, 각 요소별로 중복되지 않는 정보 유형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경우 기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비해 동적인 정보를 손쉽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XML 문서와 동기화 작업을 거칠 경우 문항 세트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관리가 용이하여 관련 분야 연구를 촉진할 것이다.

  • PDF

A Development of Web Based Enterprise Database System for Technology Transfer (웹 기반의 기술이전 수요기업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

  • Ahn, Ho-Jun;Cho, Kwang-Jong;Koo, Yeo-Wo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3.11b
    • /
    • pp.701-704
    • /
    • 2003
  • 약 만여개의 벤처기업 정보를 획득하여 분석, 분류와 필요한 데이터 필드를 정의하였다. 필드 정의는 구축할 데이터베이스의 기업정보로서 기업주요정보와 기업부가정보로 나누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 시,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은 객체지향 설계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본 시스템의 행동을 나타내는 유즈케이즈 다이어그램을 작성하였고 시스템의 동적인 측면을 활동의 순차적인 흐름 및 제어 흐름으로 표현한 액티비티 다이어그램을 만들었다. 기업의 TLO 기술분야와의 연결을 위하여 TLO 기술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은 요구사항 분석, 개념적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웹 기반의 사용자 서비스 구현은 기업정보관리 기능, 기업정보검색 기능, 데이터베이스관리 기능, 사용자관리 기능, 환경설정 기능, 정보도우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학습 환경에서 학생들의 기하 개념의 이해

  • Jeong, In-Cheol;Park, Dal-Won;Jang, Lee-Chae;Kim, Tae-Gy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93-108
    • /
    • 2003
  • 본 논문은 테크날러지가 주 도구인 기하수업시간에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을 이해하는데 테크날러지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수업은 이미 진행되오던 형태의 수업이 아니라 교사도 학생들에게도 모두 새로운 형태의 수업이었고 GSP와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수업이 진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개인 면담, 교실 관찰, 과제 분석 및 일지작성을 통해서 이루어졌고 분석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였다. 학생들은 GSP를 이용하여 개념을 이해하려고 하기보다는 자신이 이해한 개념을 확인하는데 GSP를 이용하였고 일단 이렇게 이해되고 확인된 것에 대해 확장하는데 GSP에 많이 의존하였다. 특히, 학생들의 정의적 및 기능적 측면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일깨워 주었다.

  • PDF

A Study on Hierarchical Avatar Behavior Representation and Control Technique (계층적 아바타 행위 표현 및 제어 기법에 관한 연구)

  • 김재경;오재균;임순범;최윤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38-541
    • /
    • 2004
  • 아바타는 최근 각광 받고 있는 기술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활용 및 발전이 기대된다. 그러나 현재 아바타 행위 표현 및 제어에는 체계적이고 표준적인 접근 방식이 결여되어 있어 아바타 행위 표현의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도메인 환경에서 아바타의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위해서 아바타 행위 표현의 계층적인 접근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작업레벨 스크립트를 정의하여 특정 도메인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위한 행위들을 표현하고 추상적인 표현방식의 상위레벨 모션 및 물리적 표현형식의 기본 모션 스크립트를 정의하였다. 이와 같은 접근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 측면에서 보다 쉽게 아바타의 행위를 제어할 수 있으며, 계층적인 표현 및 제어방식으로 아바타 모션의 사용자의 제어 용이성, 스크립트의 확장성 및 재사용성을 높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