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온 종택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상류 전통주거 거창(居昌) 동계(桐溪) 정온(鄭蘊) 종택의 공간과 생활의 복원을 통한 해석 (Interpretation of the Jeong-On's Mansion, Traditional Upper Class House, in Geochang Focused on Dweller's Life)

  • 박희영;이희봉
    • 건축역사연구
    • /
    • 제12권3호
    • /
    • pp.131-148
    • /
    • 2003
  • This study has main purpose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house, not by outside researcher's but by inside dweller's view. The house in Geochang, is descendent house of Jeong-On who was faithful scholar at Chosen Dynasty. In order to understand, I restore firstly the house form and space at traditional era, 60 years ago, and every dwellers not only family members but also servants and guests, by interviewing old matriarch. One of the main rules of the house disposition is Ancester worshipping life. Worshipping floor of Anchae, main building, is located unusually in front of Shrine for Jeong-On, in order to connect all activities directly. Sarangchae, men's building, opened to the funeral mourners, is separated by a wall because women have to serve foods and wail at the backside. Space for everyday life is separated by man/woman, insider/outsider, master/subordinate. Agricultural production is also key factor of the space allocation: big storage buildings for rice crop needed to tenant farming. Both activities of ancestor worship ceremony and guest greeting need large kitchen annex area for food preparation and serving space of rear veranda floor. A number of guests visit the house: guest-greeting activity is taken place from the family pavilion, Neungheo-Jeong and Saranchae by the social position. This study show that architectural space and form of the house reflects exactly dwellers life.

  • PDF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 - 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n Korean Traditional Dwelling Houses and Their Landscape Gardens)

  • 소현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0-130
    • /
    • 2009
  • 본 연구는 생태학에 견줄 수 있는 전통적 관념으로서 생명사상과 전통사상에 착안하여 마련된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를 통해서 당시의 관점에 근접함으로써 선조들의 생태학적 사고와 그를 기반으로 한 조영방식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생태학적 해석 도구로써 추출한 '본성(本性; 자연의 정체성 고수)' '중절(中節; 절제)' '효율(效率; 경제적 효용)' '상생(相生; 관계 맺기)' '자생(自生; 자연의 원리 취득)' '중화(中和; 인공을 최소화하여 조화)' '방통(旁通; 소통과 순환)' '변통(變通; 가변성과 다양성)'이라는 전통사상의 개념어들은 우리 문화와 경관 속에 함유된 생태학적 개념을 대신한다. 사례연구를 위해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1827)에 서술된 항목들을 '공간구조' '조경요소' '건축 구조요소'로 구분하여 해석의 대상을 추출하였다. 정온 가옥과 최씨 종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해석한 결과로 생태학적 조영기법들을 제시하고,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자연조건과 세밀한 관계 설정 방식을 가지는 풍토건축으로서 첫째, 자연의 형상을 따르는 토지이용방식('본성' '상생' '중화'), 둘째, 자연과 일체감을 이루는 물리적 공간요소('중절' '상생' '중화'), 셋째, 한정된 자연에너지와 자원을 재활용하면서 지속적인 순환체계 유지('효율' '자생' '방통'), 넷째,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재료 이용('중절' '효율' '자생'), 다섯째, 미기후를 고려한 평면과 구조 결정('효율' '자생' '변통')으로 정리된다. 이에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은 다른 유형의 전통공간보다 자연 안에서 효율적인 자원 소비 공간을 목표하였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