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신질환태도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일 정신병원 직원의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 (Staffs' Attitudes and Opinions toward Psychiatry in a Psychiatric Hospital)

  • 류석환
    • 정신신체의학
    • /
    • 제13권1호
    • /
    • pp.60-66
    • /
    • 2005
  • 연구목적 : 병원에 근무하는 직원의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향후, 직원과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한 정신과와 정신과 질환에 대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법: 일 병원에 근무중인 직원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두 개의 요인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요인이 있었으나, 직접 접촉군이 더 긍정적이었다. 정신과 영역의 장점 요인에서 여성이 더 긍정적이었으며, 효용 요인에서도 여성이 더 긍정적이었고, 정신과 의사의 기능과 역할 정의 요인과 일어날 수 있는 남용과 사회적 비난 요인과 경력과 개인적 보상 요인에서는 직접 접촉군이 더 긍정적이었다. 결론: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있어 직접 접촉군이 더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정신과 병원에 근무하는 직원과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자기효능감, 건강태도, 건강생활습관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efficacy, Health Attitudes, and Healthy Lifestyle on Recovery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n the Community)

  • 곽윤복;김지영;이명하
    • 정신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3-312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health attitudes and healthy lifestyles on recovery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in the community. Methods: Participants were 188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receiving mental health services at community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in the J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18.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general self-efficacy, health attitude scale, healthy lifestyles and recovery.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with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Results: Self-efficacy, health attitudes, and healthy lifestyle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were significant factors, explained about 72% of the variance on recovery.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 programs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focused on healthy lifestyles, improving health attitudes, and self-efficacy should be developed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to promote their recovery.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및 차별행동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discriminatory behaviors and prejudi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gainst the mental illness)

  • 송정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63-70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및 차별행동을 파악하고 이들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도에 위치한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 281명이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은 편견 및 차별행동과 음의 상관관계, 편견과 차별행동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봉사활동 경험 유무 등에 따라 공감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 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은 대상자의 연령,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간호 대학생들의 차별행동 및 편견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등이 필요할 것이며 또한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 및 실습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미래의 전문직 간호사로서 간호 대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사회 지도자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일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리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 (The Attitudes of Community Leaders Toward Mental Illness)

  • 노춘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81-892
    • /
    • 1998
  •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attitudes of community leaders toward mental illness in order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concerning the planning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The community sample consists of 50 community leaders including, civil servants, doctors, herb doctors, school nurses, counselors, village leaders, pharmacists, and pastors. Individuals were asked to give demographic data, their personal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etiology & prognosis, and toward neighbors who are psychiatric patients. The interview with open questions was used to collect data. According to the study community leaders 82% believed that mental illness could be treated, 66% believed that mental illness was caused by genetic factors and environmental stress, and 76% had negative impressions about mentally ill people such as fear, seclusion, asylum, also crime. Only 28% of mentally ill people were accepted as neighbors in community. 52% of community leaders rejected opening of mental hospital, and thought that the Chunchon community needed facilities such as group homes, or day care centers (30%), however, 34% of the leaders they didn't recognize community mental healt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ntal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change the attitude of Chunchon community leaders and mental health institutions need to a develop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community leaders.

  • PDF

일반 인구의 정신건강지식 비교 분석: 2021년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조사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ental Health Literacy in General Population: The Analysis of National Mental Health Literacy and Attitude Survey in 2021)

  • 지현아;김사라;이미숙;박수희;김양식;이강희;전진용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1호
    • /
    • pp.38-45
    • /
    • 2022
  • 연구목적 일반 인구의 각 질환 별 정신건강지식(Mental health literacy)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이 연구를 위해 2021년 대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조사에 응답한 201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회인구학적 특성, 정신건강지식, 낙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해 주요우울장애, 조현병, 알코올 사용 장애, 자살 사고에 대한 Case vignette을 사용하였다. 결 과 조사 결과 정확히 질병을 인식한 비율은 알코올 사용 장애(61.7%)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주요우울장애(43.8%)이었으며 조현병(27.6%)에서 가장 낮았다(p<0.001). 낙인의 비율은 알코올 사용 장애가 52.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조현병이 47.2%로 높았다(p<0.001). 결 론 따라서 조현병에 대한 일반인의 교육과 알코올 사용 장애와 조현병에 대한 낙인 극복이 국민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농촌과 도시 주민의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도와 태도 및 정신간호 요구 조사(하) (A Study on Knowledge and A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and Psychiatric Nursing Needs of Korean People)

  • 김소야자;박예숙
    • 대한간호
    • /
    • 제17권5호통권97호
    • /
    • pp.41-54
    • /
    • 1978
  • This study is designed to meet the following objectives. 1) To study attitude toward and knowledge of mental illness in a community, 2) To study psychiatric nursing needs from infancy to old age. 3) To obtain basic data which can be used for future planni

  • PDF

ADHD 아동과 외면화 증후를 공존질환으로 갖는 ADHD 아동간의 심리사회적 변인에 관한 비교연구 (A STUDY OF PSYCHOSOCIAL VARIABLES WITHIN ADHD WITH OR WITHOUT EXTERNALIZING SYMPTOM)

  • 이경숙;유윤정;안동현;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2호
    • /
    • pp.203-212
    • /
    • 1996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ADHD)와 품행장애나 반항성장애와 같은 외면성 증후를 공존질환으로 갖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ADHD + CD/ODD)간에 사회경제적지위, 부모 학력수준, 생활 스트레스 사건, 친인척의 정신병력을 내용으로 하는 가족 배경과 부모의 결혼 만족도, 양육자 스트레스, 양육태도 등의 심리사회적 변인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ADHD+CD/ODD집단이 위의 가족배경에서 가장 열악한 수준을 보이고 있었고, 부모의 결혼적응도에서도 ADHD+CD/ODD 집단이 가장 낮았으며, 양육자 스트레스에서는 ADHD+CD/ODD>ADHD>통제집단 순으로 높았으며 부모가 지각한 양육태도에서 임상집단의 어머니들이 증오적, 거부적 의존성을 포함하는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서는 임상집단의 부모가 아동에게 더 거부적이고 지배적이고, 모순적인 양육태도를 지닌 경향성을 알 수 있었다.

  • PDF

정신요양시설 만성조현병환자의 상부위장관질환 유무에 따른 식습관, 생활습관, 건강태도 및 자기효능감 비교연구 (Comparison of Dietary Habit, Lifestyle, Health Attitude and Self-efficacy by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 among Group Mental Health Care Facilities with Chronic Schizophrenia)

  • 오은정;박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317-3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부위장관질환을 가진 만성조현병환자와 상부위장관질환이 없는 만성조현병환자를 대상으로 생활습관, 식습관, 건강태도와 자기효능감을 비교 확인함으로써 정신요양시설에서의 만성조현병환자의 생활습관, 식습관과 건강태도를 향상시키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2월 20일에서 4월 30일까지이다. 자료는 SPSS/WIN 22.0을 활용하여 카이제곱, 독립 t-검정과 ANCOVA로 분석하였다. 상부위장관질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영향요인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연령과 교육정도, 생활습관 요인으로는 탄산음료와 신체활동강도, 식습관 요인으로는 과식, 간식, 야식, 지방음식, 다른 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이 있었다. 본 연구는 만성조현병환자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상부위장관질환의 특징적인 특성을 확인한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만성조현병환자의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개선하고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중재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정신질환자들의 역기능적 태도,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우울증상 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Dysfunctional Attitude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ve Symptoms in Psychiatric Patients)

  • 박찬무;서경란;이민규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1호
    • /
    • pp.31-42
    • /
    • 1997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dysfunctional attitude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ve symptoms in psychiatric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10 patients(138 schizophrenic patients, 29 depression patients, 43 alcohol dependence patients) according to DSM-IV criteria. Futhermore, the instruments were K-BDI(Beck De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DAS(Dysfunctional Attitude Scale) and multidimensional coping strategy scale.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dysfunctional attitudes in psychiatric patients. 2) In terms of coping strategie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focus on and venting emotions, accommodation, active forgetting, self-criticism, positive comparison, fatalism, passive withdrawal. Whereas,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 and active coping. 3) In terms of coping strategi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ysfunctional attitudes and focus on and venting emotions, active forgetting, self-criticism, positive comparison, fatalism, passive withdrawal. 4) Depression group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BDI scores than schizophrenia groups. 5) In depression groups, DAS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schizophrenia groups. 6) In terms of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diagno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enting emotions, active forgetting and self-criticism. As for venting emotions, alcoholic groups were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schizophrenic groups. As for active forgetting, depression groups were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schizophrenic groups. In self-criticism, depression groups and alcohol dependence group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schizophrenic groups.

  • PDF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정신간호역량, 정신질환자 간호업무 스트레스가 일반 병동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rses'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Patient,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and Nursing Work Stress on Burnout of Nurses in General Ward)

  • 이선미;윤정숙;신성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1호
    • /
    • pp.31-40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nurses caring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general hospital ward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86 nurses in general wards with more than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working at three general hospitals in Seoul,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1.0.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burnout were nursing work stress (β=.30, p<.001), attitude towards people with mental illness (β=-.25, p<.001), religion (β=-.21, p=.001),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β=-.16, p=.016), experience of nursing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β=.14, p=.023), and gender (β=.14, p=.026), explaining 33.5% of the total variance (F=16.53,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 program to lower nurses' work stress, to create positive attitude towards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to enhance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for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burnout of nurses caring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