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신증적 장애

Search Result 365,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Study of Psychiatric Problem of the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장애아동 양육자의 정신과적 문제에 관한 연구)

  • Kim, Hee-Jung;Kim, Dong-Hyun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 /
    • v.5 no.4
    • /
    • pp.137-147
    • /
    • 2011
  • 본 연구는 일부지역 장애아동 양육자의 정신과적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우울증 지수를 검사하고 분석함으로서 그 심각성을 확인하고 장애아동 양육자의 정신보건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1년 8월부터 9월까지 경주 및 인근지역에서 지적장애아동과 지체장애아동을 둔 전업주부의 정신과적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양육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정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3개의 치료기관 및 치료 관련기관에서 지적장애 또는 지체장애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부모 각 20명씩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울증 평가도구는 한국형 우울증 검사(Korean Depression Scale; KDS)를 이용하였다. 결과는 첫째, 지적장애아동과 지체장애아동 양육자 모두 우울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각의 차이 비교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둘째, 지적장애아동과 지체장애아동 양육자의 우울증 세부항목에서는 의욕상실 부분에서만 유의성이 있었다. 셋째, 지적장애아동 양육자의 우울증 세부항목간의 비교에서는 유의성이 있었다. 넷째, 지체장애아동 양육자의 우울증 세부항목간의 비교에서는 유의성이 있었다. 다섯째, 지적장애아동 양육자의 우울증과 세부항목의 상관관계에서는 의욕상실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여섯째, 지체장애아동 양육자의 우울증과 세부항목의 상관관계에서는 의욕상실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장애아동의 양육자간 차이는 없었으며 우울증은 장애유형에 상관없이 모두 나타났다. 그리고 세부항목과 우울증의 상관성에서는 의욕상실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것은 장애아동의 양육에서 치료의 지연으로 인한 의욕상실에서 우울증이 많이 유발됨을 알 수 있다.

THE DEGREE OF EGO IMPAIRMENT IN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 GROUPS (청소년 정신과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자아기능의 장애정도 비교 - Rorschach검사의 자아손상지표를 중심으로 -)

  • Oh, Youn-Hee;Kim, Zoung-Soul;Shin, Min-Sup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0 no.2
    • /
    • pp.178-185
    • /
    • 1999
  • Objective: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Ego Impairment Index(EII) in adolescent psychiatric patients(depression, depressive-conduct disorder, schizophrenia), and to explore the validity of the depressive-conduct disorder as a diagnostic entity. Method:19 depressives, 13 depressive-conduct disordered, and 10 schizophrenics with the age from 12 to 18 were selected based on DSM-IV and ICD-10 criteria, and their responses of the Rorschach and MMPI were analyzed. The EII was empirically developed by Perry and Viglione(1991) in order to assess the degree of ego impairment, and was derived from the Rorschach test. Results:It was founded that a single factor, ego impairment, was derived fro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explained 57.18% of total variances. The degree of ego impairment was grater in schizophrenics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depressives and depressive-conducts. Conclusions:These results offered support for the use EII as an empirical means of assessing the degree of ego impairment in adolescent patients.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pressive-conduct disorder group is more similar to the depressive group, implying that depressive-conduct disorder might correspond to so called masked depression.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PDF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of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식이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감정표현불능증의 치료적 함의)

  • Kim, Seung-Jun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24 no.1
    • /
    • pp.54-60
    • /
    • 2016
  • Alexithymia is characterized by difficulties identifying and describing feelings, impoverished fantasy life, and concrete and poorly introspective thinking. Alexithymic patients have been reported to show a stable deficit with regard to processing and regulating emotions. Eating disorders are characterized by a persistent disturbance of eating or eating-related behavior that significantly impairs physical health or psychosocial functioning. Like alexithymic patients,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show the impaired capacity to process and regulate emotions. There is a robust body of literature showing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re more alexithymic than healthy controls. Specifically,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experience difficulties identifying and describing emotions. Childhood maltreatment can increase the risk for depression and alexithymia, which can in turn lead to disordered eating symptoms. Also, higher levels of alexithymia are correlated with a less favorable clin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 Therefore, treatments to help processing and regulating emotions of eating disorder patients with pronounced alexithymic traits may seem to lead to a higher possibility of recover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WITH MOOD DISORDER (입원한 기분장애 소아청소년의 임상특성 - 주요 우울증과 양극성장애의 우울삽화 비교를 중심으로 -)

  • Cho, Su-Chul;Paik, Ki-Chung;Lee, Kyung-Kyu;Kim, Hyun-Woo;Hong, Kang-E;Lim, My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1 no.2
    • /
    • pp.209-22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ve episode about majo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in child and adolesc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 major depression patients and 17 bipolar disorder patients hospitalized at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in OO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1st March 1993 to 31st October 1999.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review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agnostic classification, chief problems and symptoms at admission, frequency of symptoms, maternal pregnancy problem history, childhood developmental history, coexisting psychiatric disorders, family psychopathology and family history and therapeutic response through their chart. 1) The ratio of male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while they are similar in manic episode, bipolar disorder. 2) Average onset age of bipolar disorder was 14 years 1 month and it was 12 years 8 months in the case of major depression As a result, average onset age of major depression is lower than that of bipolar disorder. 3) The patients complained of vegetative symptoms than somatic symptoms in both bipolar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Also, the cases of major depression developed more suicide idea symptom while the case of bipolar disorder developed more aggressive symptoms. In the respect of psychotic symptoms, delusion was more frequently shown in major depression, but halucination was more often shown in bipolar disorder. 4) Anxiety disorder coexisted most frequently in two groups. And there coexisted symptoms such as somartoform disorder, mental retardation and personality disorder in both cases. 5) The influence of family loading was remarkable in both cases. Above all, the development of major depression had to do with child abuse history and inappropriate care of family. It is apparent that there are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majo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 in child and adolescent through the study, just as in adult cases. Therefore the difference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disorders is founded in coexisting disorders and clinical symptoms including onset age, somatic symptoms and vegetative symptoms.

  • PDF

동행+함께하는 마음: 건강체크 리스트 - 우울증보다 자살률이 높은 양극성장애, 조기진단이 가장 중요하다!

  • Choe, Yong-Gyun
    • 건강소식
    • /
    • v.34 no.7
    • /
    • pp.36-37
    • /
    • 2010
  • 현대인에게 있어서 피할 수 없는 스트레스. 이 스트레스로 인해 현대인들은 신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우울증 등의 정신건강까지 위협을 받고 있으나 정신과라는 좋지 않은 인식으로 인해 정신건강은 제대로 치료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양극성 장애(조울증)를 앓고 있다면 이야기가 좀 달라져야 한다.

  • PD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A Clinical Review (월경전 불쾌기분 장애에 대한 임상적 고찰)

  • Hwang, Gul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15 no.1
    • /
    • pp.14-21
    • /
    • 2007
  • Premenstural dysphoric disorder(PMDD) imposing 4-5% of women is possibly caused by an enhanced responsiveness to the changes of sex steroid hormones and the decrease of serotonin, melatonin and GABA. The common clinical features between PMDD and depression, seasonal affective disorder, panic disorder and anorexia nervosa suggest a relatedness between PMDD and each of them. The diagnostic criteria of DSM-IV-Tr for PMDD requires psychological symptoms, that commonly include irritability, anger, depression, mood swing, affect lability, tension, anxiety, fatigue and food craving. As of today, the best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PMDD is th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er, and leuprolide, danazol, estradiol, spironolactone and bromocriptine are possible alternatives.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symptom severity are diet, exercise, light therapy, psychotherapy and keeping a diary.

  • PDF

AUTISTIC DISORDER - AN OVERVIEW OF THE NATURE AND THE CHANGING CONCEPTS IN COMMEMORATION OF KANNER'S ORIGINAL PUBLICATION - (자폐장애 - 자폐장애의 본질과 개념변천에 관한 고찰 -)

  • Hong, Kang-E.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4 no.1
    • /
    • pp.3-26
    • /
    • 1993
  • Leo Kanner (1943)의 자폐증에 관한 획기적 논문발표 50주년을 맞아, 자폐증의 개념변천, 분류, 의학, 원인설 및 자폐증의 본질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 보았다. 초기에 자폐증을 정신병의 아형으로 보다가 1980년 (DMS-III)을 기점으로 전반적 발달장애로의 개념 변천이 일어났다 원인설도, 초기의 심리${\cdot}$환경설은 지지 받지 못하고 1960년대에는 신경${\cdot}$생물학적 이상이 자폐병리의 기저를 이룸이 분명해 졌고 1970년대에는 지각과 운동, 감각과 인지 통합의 결함, 심각한 언어, 인지의 장해가 일차적인 결함으로 생각 되었다 최근 1980년 후반기 부터 상징적${\cdot}$표상적 인지의 결함, 타인의 감정과 생각의 이해 결함, 사회적${\cdot}$정감적 표현의 결함등 사회${\cdot}$정서발달의 이상이 자폐의 근본적 결함이라는 비교 관찰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자폐증의 근본적이고 일차적인 결함이 정감적 접촉의 선천적 장애라는 Kanner의 놀라운 임상적 통찰을 증명해 주고 있다. 저자는 이상의 광범위한 문헌 고찰을 통해 자폐장애를 일차성 애착장애로 개념화하고 앞으로 치료, 교육의 방향도 일차적으로 사회${\cdot}$정서발달에 촛점을 두어야 하며, 특히 어머니와의 애착증진 치료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 PDF

A Review on Sleep Disorders Similar to REM Sleep Behavior Disorder (렘수면 행동장애 유사 수면장애에 대한 고찰)

  • Eunyoung, Lee;Jihye, Song;Heewon, Bae;Hayun, Choi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29 no.2
    • /
    • pp.35-39
    • /
    • 2022
  • REM sleep behavior disorder is parasomnia characterized by unpleasant dreams and dream-enactment behaviors associated with excessive electromyography activity in REM sleep. This may appear idiopathic or secondary to other neurological or medical conditions. REM sleep behavior disorder, which appears to be idiopathic, most often implies the possibility of later neurodegenerative diseases due to synucleinopathy, so accurate diagnosis is important in predicting prognosis. For the diagnosis of REM sleep behavioral disorder, REM sleep without atonia, which appears in the polysomnography, is essential. Obstructive sleep apnea, trauma-related sleep disorders, and vigorous periodic leg movements during sleep are known as diseases that show dream enactment behavior in elderly patients. Considering that it may be accompanied by other sleep disorders that can mimic REM sleep behavioral disorders,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sleep

Diabete Care: Pharm story - 당뇨병과 정신건강

  • Lee, Ji-Hyeon
    • The Monthly Diabetes
    • /
    • s.288
    • /
    • pp.51-57
    • /
    • 2013
  • 당뇨병과 정신건강은 어떤 관련성이 있을까? 당뇨병이 스트레스나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데 다른 정신건강 문제와도 관련이 있을까? 당뇨병을 꾸준히 관리하는 것만도 수월하지 않은 당뇨병 환자에게 정신건강 관리를 하라는 것은 또 다른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는 정신건강에 관심을 기울이고 함께 관리하지 않을 수 없다. 건강하고 안정적인 정신건강 상태는 당뇨병 관리의 뒷받침이 되므로 당뇨병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요소이다. 종종 정신건강 문제는 당뇨병 관리의 방해요인이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정신건강 관리는 당뇨병 관리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 문제들이 어느 정도 해결될 때, 비로소 당뇨병 자가관리를 지속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당뇨병 환자는 진단기준을 충족시키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가끔은 정신장애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일부 환자는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장기간의 심각한 정신과적 증상으로 고통을 받기도 한다. 당뇨병 진단 후 당뇨병을 심리적으로 수용하고 관리하는 과정에서 정신장애를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정신장애도 만성질환의 속성을 가지므로 정신장애를 동반한 당뇨병 환자는 만성질환 관리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따라서 정신장애를 최대한 예방하고 적시에 적절한 치료를 통해 심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당뇨병과 관련 있는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