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상 모드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Modeling and Operation Analysis of $NiH_2$ Battery using Multi-layer Neural Network (다층신경회로망을 이용한 $NiH_2$ 전지 모델링 및 동작상태분석)

  • 최재동;황영성;이학주;성세진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4 no.2
    • /
    • pp.192-200
    • /
    • 1999
  • 위성의 전지는 위성의 수명과 직접적인 영향을 갖고 있으며 이것의 정상동작여부에 따라 위성의 안정적인 임무수행여부가 결정된다. 상대적으로 일반화된 셀 모델링의 최근 개발은 NiH2셀의 동특성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한 기본적인 원리에 기반을 둔 접근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방정식을 통해 비선형성과 전력상태를 포함하는 전지 특성을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층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비선형 특성를 갖는 니켈-하이드로진 전지 특성을 모델링 하였으며, 모델링된 상수값은 위성의 식시간 동안의 전지 전력상태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모델링 결과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니켈-하이드로진 전지시험결과 분석자료와 비교 검토 되었다. 전지 동작모드는 정상동작모드와 실패모드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정상동작모드는 위성의 식시간 동안 아크젯 동작 여부에 의해 각각 분석되었으며, 또한 태양전지와 배터리 셀 일부의 고장으로 인한 실패모드에서의 전지전력상태가 분석되었다.

  • PDF

Range-dependent Reverberation Modeling with the Normal Mode (정상모드를 이용한 거리종속 양상태 잔향음 모델)

  • Oh Suntaek;Yoon Kwan-seob;Oh Taekhwan;Na Jungyul;Han Sang-kyu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411-414
    • /
    • 2004
  • 거리종속 해양환경에서 정상모드 모델 중 하나인 KRAKEN 과 Lambert 공식 형태의 산란 함수를 이용하여 양상태 잔향음을 모델링 하였다. 단열 (adiabatic) 정상모드 모델을 이용하여 거리종속 환경에서의 송신기와 산란체, 산란체와 수신기 사이의 음장을 계산하며 각 산란체에서의 산란 강도는 각 모드별 파수에 의한 입사각 및 산란각을 이용, 모드 조합에 의해 계산하였다. 또한 광대역 모델링을 이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잔향음 신호를 계산하였다.

  • PDF

The effect of Local Vibration Modes on the Flutter (국부진동모드가 플러터해석에 미치는 영향연구)

  • Shin, Young-Sug;Kim, Heon-Ju;Kim, Seong-Tae;Kim, Jae-Young;Hwang, Chul-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10
    • /
    • pp.919-926
    • /
    • 2011
  • The fin of high speed air vehicle is composed of skins and strong skeletons. In the flutter analysis, the eigenmodes of a fin are used for evaluating the unsteady aerodynamic force and the modal approach is applied for solving the flutter equation in both time and frequency domain. Therefore, the proper eigenmodes used for a modal flutter analysis should be chosen. For the appropriate choice of eigenmodes, when there exist local modes of a skin in the high modes, the effects of those modes on the unsteady aerodynamic force and flutter characteristics are anlalyzed.

Sensor Node Control Considering Energy-Efficien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센서 노드 제어)

  • Park, Hee-D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2
    • /
    • pp.271-276
    • /
    • 2014
  • The life-time and performance of a wireless sensor network is closely related to energy-efficiency of sensor nodes. In this paper, to increase energy-efficiency, each sensor node operates in one of three operational modes which are normal, power-saving, and inactive. In normal mode sensor nodes sense and transmit data with normal period, whereas sensor nodes in power-saving mode have three-times longer period. In inactive mode, sensor nodes do not sense and transmit any data, which makes the energy consumption to be minimized. Plus, the proposed algorithm can avoid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by preventing transmitting duplicate sensed data. We implemented and simulated the proposed algorithm using Tiny OS based ZigbeX platfom and NS-2, respectively.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prolong sensor networks' lifespan by efficiently reducing energy consumption and its standard deviation of all sensor nodes.

Standby mode function control circuit for power supply (대기모드 기능을 내장한 전원 장치 제어 회로)

  • Park, Hyun-Il;Kim, Hyoung-Woo;Kim, Ki-Hyun;Seo, Kil-Soo;Han, Seok-B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196-19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가전 및 사무용 전원장치가 대기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IC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PWM IC는 전원장치가 정상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 전원장치 출력단에서 피드백 받은 신호의 크기에 따라 40 ~ 60kHz의 구동 주파수를 가지는 스위칭 소자 구동 신호를 내보내고, 대기모드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최소 33K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내보내도록 설계되었다. 각각의 경우에 스위칭 소자 구동 신호의 듀티비는 정상상태인 경우에는 20 ~ 88%, 대기모드 상태인 경우에는 1%이내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 결과 대기모드 상태에서 전원장치의 전력소모량은 0.2W 정도로 작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PDF

Introduction to Systems Analysis Technique for a Liquid Rocket Engine (액체로켓엔진 시스템 해석 기술 소개)

  • Cho, Won Kook;Park, Soon Young;Kim, Chul Woong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3 no.1
    • /
    • pp.70-75
    • /
    • 2014
  • Programs of energy balance, mode analysis and transient analysis for a liquid rocket engine have been introduced. The analysis methods have been verifi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present results, and the results of the other program and experimental data. An energy balance analysis is used for engine system design at the early development phase. A mode analysis is used for decision of engine operation conditions and test conditions, and studying deviation of an engine performance. A transient analysis can predict a propellant flow rate, thrust, impulse at transient phas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startup/shut down sequence. The analysis programs will be used to develop the engines of KSLV-II.

Low-Frequency Normal Mode Reverberation Model (저주파수 정상모드 잔향음 모델)

  • Oh, Suntaek;Cho, Sungho;Kang, Donhyug;Park, Kyoungju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4 no.3
    • /
    • pp.184-191
    • /
    • 2015
  • In this paper, a normal mode reverberation model for a range-independent environment of shallow water is proposed to calculate the reverberation level in the low-frequency range. Normal mode is used to calculate the acoustic energy propagating from the source to the scattering area and from the scattering area to the receiver. Each mode is decomposed into up and down going waves to consider scattering strength at the scattering area. The scattering functional form combines Lambert's law with a Gaussian-like term near the specular direction based on Kirchhoff approximation considering bottom condition. For verification of the suggested model, the result is relatively compared to several solutions of the problem XI and XV in the Reverberation Modeling Workshop I sponsored by the US Office of Naval Research.

Quasi-DC link type tapped-inductor Buck-Boost Micro Inverter (유사 DC-link형 탭인덕터 벅-부스트 마이크로 인버터)

  • Jang, Jong-Ho;Seo, Jung-Won;Kim, Seok-Hee;Park, Joung-H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11a
    • /
    • pp.195-19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저가형 고효율의 탭인덕터 벅-부스트 마이크로 인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버터는 정상상태 연속모드(CCM)에서 단상전력계통에 고역률의 정현파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이다. 강압시에는 벅모드로 동작하며, 승압시에는 탭인덕터 부스트 모드로 동작한다. 정류형태의 전류를 2차측에 공급하면,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전파정류 인버터가 고역률의 교류 파형으로 변환한다. 벅부스트에 탭인덕터를 적용함으로써 권선비에 따른 시비율을 조절할 수 있어 극단적인 승압시에도 벅부스트의 도통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제안하는 인버터는 정상상태 연속모드(CCM)에서 PSIM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하여 증명하였다.

  • PDF

Steady State Operation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Propulsion System for the Canard Rotor Wing UAV in three different Flight Modes (비행 모드에 따른 CRW UAV 추진시스템의 정상상태 운전특성 해석)

  • 공창덕;강명철;기자영;박종하;양수석;전용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15-218
    • /
    • 2003
  • In this study, a performance model of the Smart UAV propulsion system with ducts, tip jets and variable main nozzle, which has flight capability of the rotary wing mode for the take-off/landing and low speed forward flight as well as the fixed wing mode for high speed forward flight, has been newly developed. With the proposed model, steady-state performance analysis was performed at various flight modes and conditions, such as rotary wing mode, fixed wing mode, compound wing, mode altitude and flight speed.

  • PDF

High Efficiency Photovoltaic Micro-Inverter Application of Two-Stage tapped-inductor Buck-Boost Converter (이단형 탭인덕터 벅-부스트 컨버터를 적용한 고효율 마이크로 인버터)

  • Jang, Jong-Ho;Tran, Thang;Park, Joung-H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258-25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저가형의 고효율 이단형 탭인덕터 벅-부스트 컨버터를 적용한 마이크로 인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버터는 정상상태 연속모드(CCM)에서 단상전력계통에 고역률의 정현파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이다. 강압시에는 벅 모드로 동작하며, 승압시에는 탭인덕터 부스트 모드로 동작한다. 정류형태의 전류를 인버터에 공급하며,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전파정류 인버터가 고역률의 교류 파형으로 변환한다. 벅-부스트에 탭인덕터를 적용함으로써 권선비에 따른 시비율을 조절할 수 있어 극단적인 승압시에도 벅-부스트의 도통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제안하는 인버터는 정상상태 연속모드(CCM), 200W급 하드웨어 프로토타입을 통해 동작특성 및 효율 분석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