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상회담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2019년 북미 관계 주요 내용

  • Min, Jeong-Won;Jang, Hwi
    • KDI북한경제리뷰
    • /
    • v.21 no.11
    • /
    • pp.46-56
    • /
    • 2019
  • 2018년 싱가포르에서 북미 정상회담이라는 역사적인 이벤트가 성사되었다. 2019년 1월 1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 대통령과 언제든 또다시 마주 앉을 용의가 있다"는 신년사를 발표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화답하며 이후 양측 간 실무 협상이 이뤄졌다. 그 결과 2월 말, 양국 정상은 베트남 하노이 2차 정상회담에서 마주할 수 있었다. 그러나 회담은 별다른 성과 없이 결렬됐다. 6월에는 갑작스러운 남-북-미 DMZ 회동이 이뤄졌으나 북한이 갑작스레 수차례 미사일 도발을 감행하며 북미 관계는 다시 교착 상태에 빠지게 됐다. 이후 10월에는 북한 비핵화 협상을 위한 북미 양측의 실무접촉이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진행됐지만 이 또한 뚜렷한 성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양측 모두 현재까지 제3차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가능성은 열어놓은 상태다. 본 경제자료에서는 2019년 북미관계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첫 번째 장에서는 하노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과정과 내용을 정리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하노이 회담 이후 북미 관계를 살펴보고 남북미 정상 판문점 회동의 과정을 정리해 본다. 세 번째 장에서는 스톡홀름 북미 실무협상 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함께 실무협상 전개의 주요사항을 정리한다. 본 자료는 다양한 언론 보도를 근거로 재구성하여 제공한다

Analysis of Korean News Report: Focusing on N. Korea-Russia Summit (국내 언론 보도 연구: 북-러 정상회담을 중심으로)

  • Ban, Hy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2
    • /
    • pp.117-122
    • /
    • 2019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ideological preferences of news media outlets by looking at the news coverage of North Korea-Russia summit in April, 2019. The meeting has gained attention in South Korea, China, Japan and America in that the historical meeting will reflect the future direction for denuclearization on the Korean peninsular and the peace in the world. Given this, in particular, a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the editorials and headlines of news articles reported in two Korean quality newspapers, DongA Ilbo and Hankyoreh because both are quality newspapers, but are ideologically different. To achieve objectivity and fairness, the same issues dealt with during the summi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in Martin and White (2005)'s Appraisal framework.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 editorials of DongA Ilbo showed a negative stance to the summit by employing the 'attitude' factor, whereas the Hankyoreh was overwhelmingly positive toward the issue, also by employing the 'attitude' factor. The political stance is likely to be in line with those shown in the headlines of news articles from each newspaper. That is, it is clear that each news outlet shows its ideological stances to news consumers through linguistic expressions, in that both editorials and the headlines of news articles express their political preferences to the summit by means of linguistic appraisals.

The Study on Political Stances based on Editorials of Korean Newspapers (한국 신문 사설의 정치적 성향 분석 연구)

  • Ban, Hy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3
    • /
    • pp.87-92
    • /
    • 2018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political stances of news producers or news organizations by analyzing editorials from two Korean newspapers,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which are totally different in ideology,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particular, the headlines from 16 editorials and 14 editorials from the two newspapers respectively published from May 28 to June 27 were analyzed in terms of political stances to a U.S-North Korea Summit. Moreover, two editorials published right after the U.S-North Summit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within Martin and White (2005)'s framework.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hosun ilbo showed a negative stance to the summit by employing the 'feeling' factor within an attitude component most frequently, whereas the Hankyoreh was overwhelmingly positive toward the issue and the dialogue expansion factor within an engagement component is most frequently used to deliver its positive stance toward the issue.

Constructivist Implications of the 9.19 Military Implementation Agreement (9.19 군사합의서의 구성주의적 함의 고찰)

  • Lee, Kang Kyong;Seol, Hyeon Ju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0 no.2
    • /
    • pp.101-110
    • /
    • 2020
  • Since the third inter-Korean summit, the inter-Korean summit in Pyongyang and the U.S.-North Korea summit in Singapore and Hanoi,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are under way that will determine the fate of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 negotiations are stalled and some skepticism is expected due to the conflicting U.S.-North Korea stance over the terms of denuclearization.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s that there are a variety of variables such as the traditional security dilemma in Northeast Asia, the hegemon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the formation of a new cold-war system. At a turning point when three inter-Korean summits and three U.S.-North Korea summits were held in the wake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North Korea's complete denuclearization has become a must-do historical task for Northeast Asia and world peace beyond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ense, the inter-Korean summit in Pyongyang is seen as a historic occasion for presenting a new milestone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nd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through the 9.19 Pyongyang Joint Declaration and the Military Agreement. Meanwhile, Constructivism, which has become the main paradigm of international political theory, presents the view that ideological variables such as ideology, history and culture define material factors, identity and interests of state actors, and that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relations can be changed through interaction. In this study,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9.19 Pyongyang Declaration, which is now past its first anniversary, was considered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To this e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nstructivism theory and analysis model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r-Korean relations were briefly reviewed, and the military implications of the 9.19 Military Agreement were presented.

Washington on a New Watershed in Denucleariz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Rethinking Its Strategies toward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한반도 비핵화의 분수령에 선 미국 : 미 대북핵 정책에 대한 재고(再考))

  • Lim, Jiyoung
    • Strategy21
    • /
    • s.43
    • /
    • pp.273-302
    • /
    • 2018
  • 1980년대 북 핵개발을 처음 발견 이후,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라는 정책목적달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사용해 왔지만 현재까지 실패하였다. 미국의 대북 정책 실패의 결과는 북핵 문제의 고착화 속에서, 평양의 핵무기 개발 가속화 야기로 한반도 및 미국을 핵위협 속에 놓이게 하였다. 특히, 지난 해, 북미간의 가열된 공격적 수사와 행동에 의한 한반도 위기설은 절정에 달하였다.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던 한반도의 갈등 및 위기는, 지난 4월에 열린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25년간의 핵위협의 굴레를 벗어날 기회를 다시 한번 맞이하게 되었다. 남북 정상회담 이후 이어질 북미 정상회담 등 향후 미국의 정책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중요한 분수령에 다시 한번 서있다. 하지만, 과거의 25년간의 역사는 다시 맞이한 '한반도의 봄'에 대한 낙관적 희망만을 주지 않는다. 과거, 양자적, 다자적 협상을 이룸에도 불구하고, 북핵 문제는 다시 위기에 접어드는 반복된 패턴과 사이클 속에 악화 되어 왔기 때문이다. 비핵화의 분수령에 있는 미 정부는 다시 한번 과거의 정책을 뒤돌아 보고,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어렵게 맞이한 기회를 결실로 이룰 수 있도록 어느 때 보다 신중한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몇 달간 북핵 문제는 경이로운 속도로 진전을 보였지만, 한순간의 정책의 실패는 최근 보여진 진전의 속도 이상의 속도로 문제를 악화 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작년 여름과 겨울의 위기보다 더욱 심각 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 보고서는 과거의 역사 및 이론적 분석을 통해 과거 미국의 북핵정책 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정책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거 미 북핵 실패의 원인은 크게 3가지로 보인다. 먼저, 포괄적인 그리고 북한 정권의 특성에서 비롯된 북핵 개발의 모티브를 정확히 이해하는데 실패하여, 북한의 정책적 계산을 변화 시키는데 실패 하였다. 둘째, 북한 문제를 둘러싼 외부적 복잡성이 미북핵 정책실패를 야기하였다. 한반도 문제는 과거부터 다양한 국가들의 이해관계에 둘러 싸여 왔다. 북핵 문제도 남북 및 미국을 비롯 중국 등 주변국의 복잡성이 불확실성을 가중시켜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하였으며, 미국의 대북 협상의 영향력을 약화 시켰다. 셋째, 과거 누적된 두 국가간의 불신은 협상 이후 상대의 신뢰 있는 이행에 대한 불신을 야기하여 미국의 정책의 효과성을 저해하였다. 미국은 북핵 개발 모티브에 대한 포괄적 이해와 한국 및 중국과의 다자외교로 과거의 실패를 극복하고 25년간의 북핵문제의 고리를 끊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