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상혈류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PM을 이용한 남여별 ADHD 환자 뇌 SPECT 영상의 분석

  • 박성옥;신동호;권수일;조철우;윤석남;오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Conference
    • /
    • 2003.09a
    • /
    • pp.43-43
    • /
    • 2003
  • 목적 : 남, 여 ADHD 환자에서 뇌 혈류상태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른 정신과적 질환이 없는 ADHD 환자의 SPECT 뇌혈류 영상에 대하여 SPM을 통한 뇌 혈류상태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남자 ADHD 환자군 51 명 (4-11세, 평균 9.0세)과 정상군 8명(6-17세, 평균, 9.6세) 그리고, 여자 ADHD 환자군 13명(6-12세 평균 9.0세)과 정상군 4 명(6-12세 평균 9.0세)의 SPECT영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방사성의약품 $^{99m}$ Tc-ECD 0.33mCi/kg을 환자의 정맥내에 주사하고 30분후 잠을 재운상태에서 Multi SPECT3 camera를 이용하여 영상을 기록하였다. Matlab을 이용한 SPM program에서 남여별 ADHD환자의 뇌혈류지도 영상을 비교하였으며, BOLD(blood oxygenation level dependent effect) data plotting을 이용하여 혈류증가율과 감소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남자 ADHD환자군의 혈류증가부위의 경우, P<0.02 에서 대상회전 (cingulate gyrus)이 나타나 P<0.05까지 한 부위에서만 나타났으며, 정상군에 비하여 15.61%의 혈류증가율을 나타내었다. 혈류감소부위로는 P<0.004에서 좌측 대뇌 도이랑 (insula gyrus), P<0.005에서 우측 대뇌 측두엽이랑, P<0.007에서는 우측 대뇌 전두엽아래이랑에서 각각 감소되었으며 P<0.01에서는 좌측 대뇌 전두엽 아래이랑에서도 나타났다. ADHD 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각각의 클러스터에서 평균 14.97-15.28%의 혈류 감소율을 보였다. 뇌 혈류의 증가율과 감소율은 유의 수준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여자 ADHD환자의 혈류증가의 경우 P<0.003에서 소뇌 후엽 중앙부위, P<0.005에서는 좌측 대뇌 변연엽, P<0.009에서는 좌측 대뇌 측두엽 그리고 P<0.02에서는 소뇌 후엽을 비롯하여 9개부분에서 혈류증가 클러스터가 나타났으며, ADHD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24.68-31.25%의 혈류증가율을 나타내었다. 혈류감소를 나타낸 부위로는 P<0.001에서 좌측 대뇌의 렌즈핵(lentiform nucleus), P<0.003에서 우측 대뇌의 렌즈핵 그리고 P<0.005에서 P<0.01까지 좌측 대뇌 측두엽중심에서 나타났다. 각각의 클러스터에서 평균 혈류감소율은 30.57-30.84%이었다. 결론 : 남여ADHD 환자의 혈류 증가와 감소부위는 서로 일치하지 않았으며 여자의 경우 혈류 증가와 감소율이 남자보다 더 크게 나타나, ADHD환자의 SPECT를 이용한 분석에서 남여환자를 동시에 분석하는 것 보다는 남여환자를 구분하여 실시하는 것이 더욱 정확한 진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Using $^{99m}Tc-HMPAO$ Brain SPECT in Senile Dementia of Alzheimer Type (알쯔하이머형의 노인성 치매에서 $^{99m}Tc-HMPAO$ 뇌 SPECT를 이용한 뇌혈류분포의 분석)

  • Lee, Myung-Hae;Lee, Myung-Chul;Koh, Chang-Soon;Roh, Jae-Kyu;Woo, Chong-In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22 no.2
    • /
    • pp.147-156
    • /
    • 1988
  • 알쯔하이머병 환자 11명, 우울증 환자 7명 그러고 정상 대조군 12명을 대상으로 $^{99m}Tc-HMPAO$ 뇌 SPECT를 이용하여 국소 뇌혈류 분포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PECT소견은 정상 대조군과 우울증군에서는 모두 정상이 있으나 알쯔하이머병군에서는 7명은 양측 측두엽 및 두정엽에, 3명은 편측 측두엽 및 두정엽에 그리고 1명은 전두엽에 뇌혈류 감소의 소견을 보였다. 2) 대뇌반구간 혈류분포의 변화를 비교하는 지수인 Cerebral asymmetry index는 정상 대조군에서 $0.08{\pm}0.03$, 알쯔하이머병군에서는 $0.11{\pm}0.04$ 그리고 우울증군에서는 $0.09{\pm}0.03$으로서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소뇌반구간 혈류분포의 변화를 비교하는 지수인 Percent index of cerebellar asymmetry는 정상 대조군에서 $0.4{\pm}0.7%$, 알쯔하이머병군에서 $-0.7{\pm}0.08%$ 그리고 우울증군에서 $-0.7{\pm}0.7%$로서 세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소뇌 계수치를 대조값으로 각 영역별 혈류분포의 변화정도를 비교하는 지수인 Region to cerebellum ratio는 우울증군에서는 정상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알쯔하이머병군에서는 양측 두정엽과 측두엽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99m}Tc-HMPAO$ 뇌 SPECT는 알쯔하이머병의 진단에 있어서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Brain Perfusion in Patients of Parkinson's Disease (파킨슨병 환자의 뇌관류 분석)

  • Jeong, Young-Jin;Park, Min-Jung;Kim, Jae-Woo;Kang, Do-Young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v.42 no.1
    • /
    • pp.17-28
    • /
    • 2008
  • Purpose: It was well known that cerebral blood perfusion is normal or diffusely decreased in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D). Actually we interpreted brain perfusion SPECT images of PD patients in the clinical situation, we observed various cerebral perfusion patterns in patients with PD. So we performed brain perfusion SPECT to know the brain perfusion patterns of PD patients and the difference of perfus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sex and the age. Also we classified PD patients into small groups based on the brain perfusion pattern. Methods and Materials: Two hundred nineteen patients (M: 70, F: 149, mean age: $62.9{\pm}6.9$ y/o) who were diagnosed as PD without dementia clinically and 55 patients (M:15, F:40, mean age: $61.4{\pm}9.2$ y/o) as normal controls who had no past illness history were performed $^{99m}Tc$-HMP AO brain perfusion SPECT and neuropsychological test. Results: At first, we compared all patients with PD and normal controls. Brain perfusion in left inferior frontal gyrus, left insula, left transverse temporal gyrus, left inferior parietal lobule, left superior parietal lobule, right precuneus, right caudate tail were lower in patients with PD than normal controls. Secondly, we compared male and female patients with PD and normal controls, respectively. Brain perfusion SPECT showed more decreased cerebral perfusion in left hemisphere than right side in both male and female patients compared to normal controls. And there was larger hypoperfusion area in female patients compared with male. Thirdly, we classified patients with PD and normal controls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age and compared brain perfusion respectively. In patient below fifties, brain perfusion in both occipitoparietal and left temporal lobe were lower in PD group. As the patients with PD grew older, hypoperfusion area were shown in both frontal, temporal and limbic lobes. Fourthly, We were able to divide patients into small groups based on cerebral perfusion pattern. There was normal cerebral blood perfusion in 32 (14.7%) of 219 patients with PD, decreased perfusion on the frontal lobe in 45 patients (20.6%), the temporal lobe in 39 patients (17.4%), the parietal lobe in 39 patients (17.9%), the occipital lobe in 40 patients (18.3%), diffuse area in 14 patients (6.4%) and unclassified in 10 patients (4.6%). Fifthly,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neuropsychological test and cerebral perfusion patter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wo tests except visuospatial function. Conclusion: Various perfusion state were found in patients with PD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Also we were able to classify perfusion state into several groups and compare the neuropsychological test with cerebral perfusion.

Tc-99m ECD Brain SPECT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Evaluating Distribution of Hypoperfusion and Assesment of Cognitive and Behavioral Impairment in Relation to Thalamic Hypoperfusion (뇌외상 환자의 Tc-99m ECD 뇌 SPECT에서 뇌 혈류감소의 분포 및 시상의 혈류감소에 대한 인지 및 행동장애 평가)

  • Park, Soon-Ah;Lim, Seok-Tae;Sohn, Myung-Hee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4 no.6
    • /
    • pp.445-455
    • /
    • 2000
  • Purpose: We evaluated the distribution of hypoperfusion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BI) and the relationship of thalamic hypoperfusion to severity of cognitive and behavioral sequelae. Materials and Methods: Tc-99m ECD SPECT and MRI were performed in 103 patients (M/F=81/22, mean age $34.7{\pm}15.4$ yrs) from 0.5 to 55 months (mean 10.3 months) after TBI.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howing no abnormalities (G1), focal (G2) and diffuse injury (G3) on MRI. Psychometric tests assessed 11 cognitive or behavioral items. In all patients, we evaluated the distribution of hypoperfused areas in SPECT, and in 57/103 patients, neuropsychological (NP) abnormalities in patients with thalamic hypoperfus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atients without thalamic hypoperfusion. Results: The perfusion deficits were most frequently located in the frontal lobe (G1, 42.3%: G2 34.5%: G3 33.3%), temporal lobe ($24{\sim}26%$) thalami ($21{\sim}22.4%$), parietal and occipital lobe (${\leq}10%$). Numbers of NP abnormalities in the cases of cortical hypoperfusion with or without concomitant thalamic hypoperfusion were following: the former $4.7{\pm}1.5$ and the latter $3.2{\pm}1.4\;in\;G1,\;5.0{\pm}1.1\;and\;4.8{\pm}1.2\;in\;G2,\;6.8{\pm}1.8\;and\;6.3{\pm}1.1\;in\;G3$, respectively. This difference according to thalamic hypoperfusion was significant in G1 (p=0.002), but was not significant in G2 or G3. Conclusion: SPECT in patients with TBI had demonstrated hypoperfusion mostly involving the frontal, temporal and thalami. In normal group on MRI, frontal hypoperfusion was more prominent than that of any other group, Furthermore in this group, SPECT could predict severity of NP outcome by concomitant thalamic hypoperfusion with cerebral cortical abnormalities.

  • PDF

$H_2^{15}$O 심근 PET애서 혈류분포의 비균일성과 분배계수

  • 안지영;신승애;이동수;정재민;이명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711-714
    • /
    • 1998
  • H$_2$$^{15}$ O PET을 이용하여 심근혈류를 측정할 때 물의 분포가 조직마다 불균일한 특성을 나타내고자 관류 가능한 조직분획(perfusable tissue index; PTI)$^{1)}$ 개념을 도입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으나 PTI로는 비균일성을 정량적으로 다루지 못하였다$^{2)}$ . 반면에 단일 구획 모델에서 분배계수(partition coefficient: λ)를 변수로 추정하여 혈류분포의 비 균일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컴퓨터 모의실험으로 보인 연구가 있다$^{3)}$ . 이 연구에서는 이미 앞서 발표한 연구의 혈류측정 모델을 정상인 실험용 개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혈류와 분배계수 모두가 정상 범위 안에 들어옴을 확인하였다. 또한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얻은 분배계수와 비균일성 지표인 구성비균일성(constitution heterogeneity; CH) 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동물실험에서 측정한 분배계수로부터 CH를 유추해 보았다.

  • PDF

Blood flow velocity measurement device using a pulse wave and ECG (맥파와 심전도를 이용한 혈류속도 측정장치)

  • Jeong, Jinhyung;Heo, Sun oh;Kim, Taegeun;Kim, Yunjeong;Lee, Kiyoung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6 no.1
    • /
    • pp.57-6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심전도(ECG)와 SPO2를 이용하여 혈류속도를 측정하였다. 심전도(ECG)와 손가락 검지손가락 끝의 SPO2농도로 얻는 맥파를 동시에 측정하여 두 파형의 피크값의 시간차를 분석하여 혈류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심전도(ECG)와 SPO2를 동시 측정 분석하는 시스템으로서 정상인 10명과 임상참가자 3명에 대한 심전도(ECG)와 손가락 검지 손가락 끝의 SPO2농도로 얻는 맥파를 동시에 측정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자료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심혈관계 환자들이 일반적으로 혈류 속도가 빠르다는 것일 볼 수 있다. 또한 정상인들 중에서도 남자와 여자의 속도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Influence of Epinephrine Concentration in Local Anesthetics on Pulpal and Gingival Blood Flows (국소마취제에 함유된 에피네프린의 농도가 치수 및 치은 혈류에 미치는 영향)

  • Lee, Jae-Sang;Kim, Sung-Ky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8 no.6
    • /
    • pp.475-484
    • /
    • 2003
  • 동통조절을 위해 국소마취제는 치과임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진다. 가장 널리 쓰이는 국소마취제는 리도카인이고 이는 마취효과의 지속 및 지혈효과 등의 목적으로 혈관수축제를 포함하고 있다. 대표적 혈관수축제인 에피네프린은 임상에서 1:300,000에서부터 1:50,000의 농도로 다양하게 사용되어진다. 수복치료를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1:100.000농도의 에피네프린이 사용되고 있고 외과적 근관치료시 지혈효과를 위해서는 1:50,000농도의 에피네프린이 추천되고 있다. 이들 농도의 에피네프린을 포함한 리도카인으로 국소마취시 에피네프린의 농도가 치수의 혈류 및 치은의 혈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그 영향이 전기치수검사에 대한 치수의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혈관수축제를 포함한 국소마취제에 의한 치수혈류의 변화와 치수신경의 반응성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농도의 에피네프린을 포함한 국소마취제로 마취시 나타나는 치수 및 치은의 혈류 변화를 치수신경의 반응성과 비교, 관찰함으로써 국소마취제가 치수 및 치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함에 있다. 24세에서 27세까지의 10명의 피검자의 건전한 상악중절치를 시험에 이용하였다. Laser Doppler flowmeter의 probe을 고정하기 위한 splint를 간접법으로 인상용 putty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치수 및 치은의 혈류량, 그리고 전기치수검사에 대한 반응성을 측정하기 위한 3개의 구멍을 만들었다. 피검자를 10분간 안정시킨 후 마취 전 10분간 정상 혈류량과 전기검사치를 측정하고 1:50,000 epinephrine과 1:100,00 epinephrine이 각각 함유된 2% 리도카인 용액 0.9 ml를 상악 좌측 중절치 치근단부위 협점막에 침윤마취하였다. 마취 후 70분간 치수 및 치은 혈류량을 laser Doppler flowmeter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그 수치를 컴퓨터에 저장하였고, 매 5분 간격으로 전기치수검사를 시행하여 그 측정치를 기록하였다. 매 시간 간격의 평균 혈류량을 정상 혈류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고, 각각의 농도에서 최소 치수 및 치은 혈류량을 Paired t-test, Wilcoxon's signed rank 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Fisher's exact test등을 이용. 통계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에피네프린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리도카인을 협점막에 주사시 혈류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1:50,000 및 1:100.000 에피네프린이 함유된 2% 리도카인을 협점막에 침윤마취시 치수 및 치은 혈류 공히 현저히 감소하였다(p<0.01). 1:50,000 에피네프린군은 1:100,000 에피네프린군에 비해 치수 혈류량이 현저히 억제되어 나타났으나(p<0.01), 치은 혈류량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두 농도의 에피네프린 군 공히 치은혈류는 치수혈류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1:100,000 에피네프린 군에서 마취액 주입 후 치수혈류 최대감소가 가장 먼저 나타났고 이어서 전기검사에 대한 치수의 반응성 소실 및 치은혈류 최대 감소의 순으로 나타났다(p<0.05). 1:50,000 에피네프린군의 경우가 1:100,000 에피네프린군의 경우에 비해 마취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The Effect of Ginkgo Biloba Extract on the Fractionsted Radiation Therapy in C3H Mouse Fibrosarcoma (Ginkgo Biloba Extract가 C3H 마우스 섬유육종의 분할 방사선치료에 미치는 영향)

  • Kim, Jong-Hoon;Ha, Sung-Whan;Park, Charn-I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20 no.2
    • /
    • pp.155-164
    • /
    • 2002
  • Purpose : A ginkgo biloba extract (GBE) has been known as a hypoxic cell radiosensitizer. Its mechanisms of action are increase of the red blood cell deformability, decrease the blood viscosity, and decrease the hypoxic cell fraction in the tumo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the effect of GBE on fractionated radiotherapy and to clarify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GBE by estimating the blood flow in tumor and normal muscle. Materials and Methods : Fibrosarcoma (FSall) growing in a C3H mouse leg muscle was used as the tumor model. When the tumor size reached 7 mm in diameter, the GBE was given intraperitoneally at 1 and 25 hours prior to irradiation. The tumor growth dela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various doses of radiation (3, 6, 9, 12 Gy and 15 Gy) and to the fractionation (single and fractionated irradiation) with and without the GBE injection. The radiation dose to the tumor the response relationships and the enhancement ratio of the GBE were measured. In addition, the blood flow of a normal muscle and a tumor was compared by laser Doppler flowmetry according to the GBE treatment. Results : When the GBE was used with single fraction irradiation with doses ranging from 3 to 12 Gy, GBE increased the tumor growth delay significantly (p<0.05) and the enhancement ratio of the GBE was 1.16. In fractionated irradiation with 3 Gy per da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adiation dose (D) and the tumor growth delay (TGD) were TGD $(days)=0.26{\times}D$ (Gy)+0.13 in the radiation alone group, and the TGD $(days)=0.30{\times}D$ (Gy)+0.13 in the radiation with GBE group. As a result, the enhancement ratio was 1.19 ($95\%$ confidence interval; $1.13\~1.27$). Laser Doppler flowmetry was used to measure the blood flow. The mean blood flow was higher in the muscle (7.78 mL/100 g/min in tumor and the 10.15 mL/100 g/min in muscle, p=0.005) and the low blood flow fraction (less than 2 mL/100 g/min) was higher in the tumor $(0.5\%\;vs.\;5.2\%,\;p=0.005)$. The blood flow was not changed with the GBE in normal muscle, but was increased by $23.5\%$ ( p=0.0004) in the tumor. Conclusion :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BE enhanced the radiation effect significantly when used with fractionated radiotherapy as well as with single fraction irradiation. Furthermore, the GBE increased the blood flow of the tumor selectively.

뇌졸중의 여러가지 종류

  • 정원영
    • The Monthly Diabetes
    • /
    • s.156
    • /
    • pp.24-27
    • /
    • 2002
  • 모든 인체의 조직과 장기는 혈액순환을 통해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고 노폐물을 배출하여 정상적인 기능과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뇌의 크기가 1300g 정도로서 무게로는 전체의 2$\%$정도밖에 안되지만 혈류의 20$\%$정도를 공급받을 만큼 매우 중요한 기관으로, 뇌는 뇌혈관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아야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다. 노인에서 증가하고 있는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만성질환은 여러 장기의 혈관에 동맥경화증을 유발하며, 특히 뇌혈관에 동맥경화증이 생기게 되면 혈관이 막혀 뇌혈류가 차단되어 뇌경색증이 발생하거나 뇌혈관이 터지게 되어 뇌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뇌혈관의 급격한 변화로 뇌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신경마비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증상을 통틀어 뇌졸중 또는 중풍이라고 한다.

  • PDF

Analysis of $^{99m}Tc-ECD$ Brain SPECT images in Boys and Girls ADHD using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 (통계적 파라미터지도 작성법(SPM)을 이용한 남여별 ADHD환자의 뇌 SPECT 영상비교분석)

  • Park, Soung-Ock;Kwon, Soo-Il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7 no.3
    • /
    • pp.31-41
    • /
    • 2004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is one of the most common psychiatric disorders in childhood, especially school age children and persisting into adult. ADHD is affected 7.6% in our children, Korea. and persisting into $15{\sim}20%$ in adult. And it is characterized by hyperactivity, inattention and impulsivity. Brain imaging is one of way to diagnosis for ADHD. Brain imaging studies may be provide information two types - structural and functional imaging. Structural and functional images of the brain play an important role in management of neurologic and psyciatric disorders. Brain SPECT, with perfusion imaging radiopharmaceuticals is one of the appropriate test to diagnosis of neurologic and psychiatric diseases. Ther are a few studies about separated analysis between boys and girls ADHD SPECT brain images. Selection of Probability level(P-value)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d the abnormalities when analysis a data by SPM. SPM is a statistical method used for image analysis and determine statistical different between two groups-normal and ADHD. Commonly used P-value is P<0.05 in statistical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ion of blood flow clusters distribution, between boys and girls ADHD. The number of normal boys are 8(6-7y, average : $9.6{\pm}3.9y$) and 51(4-11y, average : $9.0{\pm}2.4$) ADHD patients, and normal girls are 4(6-12y, average : $9{\pm}2.4y$) and 13(2-13y, average $10{\pm}3.5y$) ADHD patiens. Blood flow tracer $^{99m}Tc-ethylcysteinate$ dimer(ECD) injected as rCBF agent and take blood flow images after 30 min. during sleeping by SPECT camera. The anatomical region of hyperperfusion of rCBF in boys ADHD group is posterior cingulate gyrus and hyperperfusion rate is 15.39-15.77% according to p-value. And girls ADHD group appears at posterior cerebellum, Lt. cerbral limbic lobe and Lt. Rt. cerebral temporal lobe. These areas hyperperfusion rate are 24.68-31.25%. Hypoperfusion areas in boys ADHD,s brain are Lt. cerebral insular gyrus, Lt. Rt. frontal lobe and mid-prefrontal lobe, these areas decresed blood flow as 15.21-15.64%. Girls ADHD decreased blood flow regions are Lt. cerebral insular gyrus, Lt. cerebral frontal and temporal lobe, Lt. Rt. lentiform nucleus and Lt. parietal lobe. And hypoperfusion rate is 30.57-30.85% in girls ADHD. The girls ADHD group's perfusion rate is more variable than boys. The studies about rCBF in ADHD, should be separate with boys and gir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