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상적 적합상태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ontrol Algorithm of Single Phase Active Series Voltage Compensator Considering Distorted Power Conditions (왜형된 전원조건을 고려한 단상 능동 직렬형 전압 보상기의 제어 알고리즘)

  • Kim, Jung-Kun;Jung, Young-Gook;Kim, Young-Cheol;Lim,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4a
    • /
    • pp.259-26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과도상태와 정상상태에서 고조파 보상특성이 우수한 순시전력이론을 단상에 적합하게 수정한 후 순시전압강하 보상 기능을 갖는 단상하이브리드형 직렬 능동전력필터의 제어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전원전압이 순간적으로 왜형 및 강하되더라도 비선형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은 항상 일정치를 갖는 정현파로 제어 가능하며 동시에 전원전류의 고조파와 기본파 무효전류도 보상 가능하다. 정상상태와 과도상태에서 전력전자전용 시뮬레이터인 PSIM에 의해 제안된 이론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Thermal Isolation Technology for Cryogenic Cooling Devices (극저온 냉각 장치를 위한 단열 기술)

  • 김호영;강병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9 no.11
    • /
    • pp.24-30
    • /
    • 2002
  • 본 글에서는 정밀 전자 소자등을 극저온으로 냉동시키는 데 필요불가결한 극저온 단열 기술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았다. 역사가 가장 오래되고 기본적인 진공 단열 기술로 시작하여, 공간에 고형의 물질을 삽입하는 다층 단열 기술과 분말 단열 기술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실제 응용시에는 요구되는 열적 성능과 경제적 제한 조건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단열 방법을 선정하도록 하여야한다 또한 극저온 단열 용기의 실제 열해석 예로서 적외선 센서의 극저온 용기에 대한 정상 및 과도 열전달 해석에 대하여 간단히 기술하였다. 정상상태의 경우는 많은 경우 해석적인 해를 구할 수 있지만, 시간에 따라 온도가 변하는 과도 상태의 경우는 수치해석적인 방법이 요구된다. 열해석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유한차분법이 극저온 단열 용기의 열해석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을 보였다.

강제순환상실시 CANDU-6 주열수송계통의 압력천이상태 해석

  • 김영보;한상구;김선철;정종식;주경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160-165
    • /
    • 1996
  • 중수로형 원전에서 일차측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주연수송펌프가 정상운전중 갑자기 정지하는 사고를 강제순환 상실사고라 한다. 강제순환 상실사고는 주열수송계통을 과도압력상태로 만들며, 일반적으로 펌프에 공급되는 IV등급전원 상실사고와 기계적 손상에 의한 주열수송펌프 고착사고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제순환 상실사고에 대하여 중수로계통설계의 열수력 해석코드인 SOPHT를 이용하여 주열수송계통의 과도압력상태를 해석하였다. 카나다 원자력 규제위원회(AECB)의 과압 방지조건인 R-77 요구조건에 적절한 유효트립변수를 결정하기 위한 해석이 수행되었으며, 증기발생기 오염상태와 액체방출밸브 작동여부가 고도압력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보수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위와같이 결정된 보수적 조건을 근거로 ASME 코드에 명시된 과압 한계치에 대한 만족여부와 과도압력상태에 따른 주열수송계통의 열수력학적 거동을 고찰하여 보았다. 해석결과, 강제순환상실사고시 주열수송계통은 R-77 요구조건에 적합한 원자로트립변수에 따라 안정화되었으며, 계통의 최대압력은 ASME 코드가 규정한 한계치내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Suggestion of User Authentication System for Safe Vehicle Control With ECG Waveform (ECG 파형으로 안전한 차량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제안)

  • Jin, Sun-Woo;Kim, Sung-Soo;Kang, Jeong-Ho;Jun, Moon-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227-230
    • /
    • 2018
  • 자동차는 현대사회에서 보편화한 편리한 운송수단으로써 사람이 생활하는 어느 곳에서나 활용되고 있다. 최근 ICT와 차량을 융합한 커넥티드 카는 운전자에 의해 모든 동작이 결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도난 및 오용되니 않게 적합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다. 운전자가 음주를 하게 되면 정상적인 차량 운행이 불가능하여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차량을 운전하는데 이상이 없는지를 파악하고 부적합할 경우 차량 운행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스마트키, 지문 인식 등 차량에 대한 사용자 인증의 방식이 존재하지만, 인증과 동시에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은 없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유한 생체 정보인 ECG 파형의 특징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과 동시에 운전자의 현 상태를 파악하는 안전한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A Case Study of lower Extremity Amputation Patient (하지 절단 환자의 간호 사례 연구)

  • Cho M O
    • The Korean Nurse
    • /
    • v.23 no.3 s.126
    • /
    • pp.68-76
    • /
    • 1984
  • 본 환자를 간호하면서 절단으로 인해 신체적 고통을 받고 있는 존재로서, 생각과 정서, 욕구를 지닌 존재로서의 환자를 돕고자 시도해 보았다. 신체적인 적응을 돕기 위해서 근력강화와 관절가동역증진, 통증조절, 보조기 착용을 위한 단단의 관리, 잔여관절의 변형예방에 중점을 두었다. 심리적인 적응을 돕기 위해서 환자가 절단 수술과 수술 후 변화된 신체외모를 수용하는 과정을 증시했다. 끝으로 사회적인 면에서는 의미있는 사람들의 집단속에서 존재하는 인간으로서의 환자에게 관심을 두었다. 환자의 우측 슬관절 가동역은 완전히 회복된 상태는 아니지만 목발을 이용하여 걷거나 기타 일상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은 없으며 앞으로 계속적인 노력을 통해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좌측 고관절 가동역은 정상유지되고 있으며 절단부위는 보조기 착용에 적합하게 형성되어 가고 있다. 비슷한 처지에 있는 이씨환자의 도움과 환자의 독립적인 생활태도는 환자가 자신의 불구에 적응하고 일상생활에 적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협조적이고 동정적인 환자들과 의료진의 도움으로 환자는 보호된 병원환경내에서 신체적 제한점을 주목하고 자신의 불구에 적응하면서 타인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 왔다. 그는 앞으로 사회에 돌아가서 생활하게 될 것이다. 우리 사회는 아직도 그들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으며 직업적 교육적 의료치료적 배려가 부족한 상태이다. 사회속에서의 적응은 병원에서의 적응보다 훨씬 더 어려울 것이며 때로는 그를 좌절하게 할 것이다. 그의 신체적 결함이 자기 자신만의 책임은 아니며 어느 누구나 사고에 희생될 가능성은 있다. 사회인들이 그들에게 관심있고 수용적인 태도를 지니고 그들의 정상 요구와 인간으로서 동등하게 살아갈 권리를 인정하고 받아들인다며 좀더 쉽게 자신의 슬픔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정보검색 시스템의 이동 에이전트 결함허용 처리 기법

  • Kim, Sun-Jung;Gang, Da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71-474
    • /
    • 2005
  • 원격 에이전트 서버는 에이전트 개발자가 제어권한올 가지지 못한다. 원격 에이전트 서버 중 일부가 다운된 상황에서는 에이전트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기 어렵다. 이런 경우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은 이동 에이전트가 각 에이전트 서버에 도착하면 복제본을 저장해 두는 것이다. 그러나 서버 고장 상태로부터 온라인 상태로 돌아올 때까지 복제본을 이용할 수 없게 되므로 적합한 해결책 되지 못한다. 본 논문은 에이전트 서버 고장시 이동 에이전트가 계속 동작할 수 있는 결함허용 처리기법올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이동 에이전트를 생성하는 홈 에이전트 서버와 이동 에이전트가 방문한 이전 에이전트 서버에서 수행되며 원격 에이전트 서버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안기법을 통해 결함허용을 처리하며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에서의 요소별 오버헤드를 분석한다.

  • PDF

Removable prosthetic rehabilitation in patient with maxillofacial defects caused by gunshot: A case report (총상으로 인한 악안면 결손을 가진 환자에 대한 가철성 보철물 수복증례)

  • Lee, Donggyu;Kang, Jeongkyung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5 no.2
    • /
    • pp.198-204
    • /
    • 2017
  • Maxillofacial defect comes from congenital defect, trauma and surgical resection. Patients with intraoral defect are commonly related to maxillary defect and they need prosthetic rehabilitation. Functional reconstruction of partially edentulous mandible has many limitations. However, if both condyles are intact, maxillofacial prosthesis using partial denture give competent results. In this case, a patient of 58 year-old male has a defect on palate and left mandibular posterior teeth from gunshot. The maxillary defect of this patient is Class IV according to Aramany classification and the mandibular one is Type V according to Cantor and Curtis classification. For retention of the obturator, remaining teeth are fully utilized and artificial teeth are arranged harmoniously to provide stable occlusion. Mandibular RPD covered limited range of deformed soft tissue derived from mandibular resection surgery. With these treatments, the patient in this case showed improvements in mastication, swallowing and speech.

A study of Traction Motor Control Method on Failure of the Main MCU (전기 자동차에서 구동 모터용 인버터의 메인 Micro Controller Unit (MCU) 고장 시 운전 방법에 관한 연구)

  • Lee, Heekwang;Hong, Seungmin;Nam, Kwanghee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525-526
    • /
    • 2016
  • 전기자동차 (EV)에서 구동용 모터의 토크 제어를 위한 인버터에는 제어 연산 및 고장 진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MCU가 있으며, MCU는 상위 제어기 차량 제어 유닛 (VCU)에게 현재 모터 및 인버터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전달하고, 현재 차량 주행에 적합한 토크 지령을 받아 토크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MCU는 전류, 전압 및 위치 센서의 값을 읽어 제어를 수행하게 되며, 제어의 결과 값으로 pulse width modulation (PWM)을 생성하여 이를 통해 모터에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즉 차량의 구동에 있어 PWM 신호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생산 불량 또는 진동에 의한 납땜 불량 또는 MCU 전원 고장 등으로 MCU에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이상 PWM을 생성하게 되고 정상적인 토크 제어가 불가능해진다. 이때 안전하게 EV를 정지 시키는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되며, 이를 수행 할 supervisor control unit (SCU)가 인버터 컨트롤 보드에 추가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으로 주행하던 차량에서 메인 MCU가 고장 날 경우에 안전하게 EV를 정차시키는 방법에 대해 다루었다.

  • PDF

Analysis on the Load Runback Logic for a 500MW Coal Fired Power Plant (500MW급 석탄화력발전소 Load Runback 로직 분석)

  • Kim, Jong-An;Ryu, Kwang-My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842-1843
    • /
    • 2011
  • 화력발전소는 화석연료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많은 종류의 기기들이 유기적으로 운전되는 복합시스템이다. 발전소 정상운전 중 어느 한 기기가 갑자기 정지되면, 불안정현상이 크게 발생하고 정상 운전이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적정한 수준으로 출력을 감소시키고, 새로운 안정운전 상태를 찾아가도록 하는 선행적 제어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화력발전소에 이 목적으로 구현되는 제어기능을 로드런백(Load Runback)이라고 부른다. 특히 화력발전소 보일러는 급수, 연료, 통풍을 담당하는 많은 기기가 많이 동시 운전되고 있으므로, 적합하게 설계된 로드런백 기능이 없다면 신뢰성 운전을 보장하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500MW급 표준화력에서 사용하고 있는 로드런백 기능의 핵심을 분석하였고, 이 분석을 토대로 현재 개발 단계에 국산화 제어시스템에 로드런백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 실제 발전소 취득한 로드런백 시험 그래프를 제시하고 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acket Analysis System for a Realtime Network Management (실시간 망 관리를 위한 패킷 분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실시간 망 관리를 위한 패킷 분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정상준;최혁수;이정협;김종근;권영헌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270-27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성능 관리를 위해 패킷 분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기존의 MIB 정보를 이용한 망 관리에서는 관리국의 주기적인 요청으로 각 에이전트의 MIB 정보를 가져와 분석하는 방식으로, 실시간 감시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트래픽 감시를 위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트래픽 상태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시스템과 관측된 트래픽을 보여주는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노드의 트래픽을 감시하여 각 패킷별로 구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넘겨주게 되며,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수치형 자료로 표시하거나, 범주형 자료인 그래프로 나타내게 된다. 이 시스템은 각 노드의 부하 여부를 감시하여, 비정상적인 트래픽의 폭주를 발견하게 되면 분석 모듈의 작동에 의해 해킹을 비롯한 네트워크 장애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실시간 망 관리의 중요한 기본 기술로 여러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