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상단락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A comparison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pauses and breath groups during paragraph reading for normal female adults with and without voice disorders (정상성인 여성 화자와 음성장애 성인 여성 화자의 문단 낭독 시 휴지 및 호흡단락 특성의 비교)

  • Pyo, Hwa Young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1 no.4
    • /
    • pp.109-116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auses and breath groups made by normal adults and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while reading a paragraph. Forty normal female adults and forty female patients with a functional voice disorder (18-45 yrs.) read the "Gaeul" paragraph with the "Running Speech" protocol of the Phonatory Aerodynamic System (PAS), by which the pauses with or without inspiration and between or within syntactic words and breath groups were analyzed. The number of pauses with inspirat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patient group, but the number of pauses without inspiration was higher in the normal group. The rate of syntactic word boundaries with pauses with inspiration was higher in the patient group, while the number of syllables per breath group was higher in the normal group. As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patients' poor breath support due to glottal insufficiency, the question of whether voice disorder patients use their pauses and breath groups properly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i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Study for analyzing decisive factors on short circuits of testing laboratory with short circuit generator using super excitation(I) (발전기 과여자를 고려한 단락시험회로의 회로특성 결정인자 분석연구(I))

  • Ahn, Sa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a
    • /
    • pp.7-9
    • /
    • 2003
  • 전력계통의 정상상태와 다양한 초장상태를 모의하기위한 단락시험설비는 크게 단락발전기, 보호차단기, 전류제한 리액터, 투입스위치, 단락변압기, 버스바 및 케이블, 투입피크 제한장치, 부하회로 및 측정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효한 시험을 위해서는 이러한(변수)조합들을 적절하게 조절, 제어하여 실계통의 현상을 재현하거나 규격 또는 의뢰자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을 위해서는 각 시험설비의 정상 및 과도 특성과 조합된 회로에 상존하는 변수(stray values)들을 찾아내고, 이들에 대한 독립성과 의존성 관계를 파악하여 계산 가능한 모델링을 도출 하여야 한다. 그러나 경험적으로 볼때 단락발전기의 과도임피던스 및 여자 특성과 변압기를 포함한 회로상의 stray values 등이 여러 변수들과 만들어내는 상관관계를 파악하는데는 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변수에 따른 변화 기여도를 가능한 한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회복전압, TRV 및 전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 PDF

A properties of short circuit current of voltage applied PVDF (전압인가된 PVDF의 단락전류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진식;김두석;이덕출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4 no.4
    • /
    • pp.354-360
    • /
    • 1991
  • PVDF는 현재까지 출현된 고분자 재료중 가장 좋은 가능성을 가진 고분자 재료이다. 시료에 일정시간 전압을 인가한 후 전압을 제거하고 시료양면을 단락하였을때 흐르는 단락전류는 일반적으로 인가 전아브이 극성과 반대 방향으로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PVDF의 단락전류가 짧은 시간동안 감소하다가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는 특이한 ABNORMAL SHORT CURREUT(Isa)를 규명하기 위하여 인가전압, 시료온도 및 고체 구조를 변화시키면서 단락 전류를 관측하고 PVDF의 열자격 전류특성을 분석하였다. PVDF의 단락전류 특성은 150.deg.C에서는 특이한 단락전류가 흐르지만 150.deg.C이하의 온도에서는 특이한 단락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들 실험결과로 부터 특이한 단락 전류 Isa는 시료의 온도가 150.deg.C에서만 나타나고 전계 세기나 결정 구조에는 관계가 없음을 알았다. 그리고 Isa는 쌍극자의 재배향으로 흐르는 정상적인 단락전류 성분과 가동이온이 확산 혹은 드리후트에 의한 단락전류 성분이 중첩되어 관측된다는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Power Characteristic Analysis of Assumed Short Circuit Instance of Electric Ship Propulsion System (선박용 전기추진시스템의 단락상정사례의 전력특성 분석)

  • Jeon, Won;Wang, Yong-Peel;Hahn, Sung-Chin;Jung, Sang-Y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40-14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선박용 전기추진시스템의 전력특성을 분석하고자, 항해 시와 정박 시에 대하여 전력조류해석을 하여 전력의 흐름을 관찰하고, 서비스전원부하 측의 Bus를 3상 단락시켜 단락회로해석을 수행하여 단락전류의 흐름을 관찰한다.

  • PDF

Analyzing anomalies of air-gap flux patterns due to the short-circuit fault currents appearing in rotor windings of a generator (발전기 회전자 권선의 단락사고 유형에 따른 공극자속 파형의 변형도 분석)

  • Kim, Dong-Hun;Lee, Kang-Jin;Lee, Il-Ho;Song, Myung-K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d
    • /
    • pp.28-3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동기발전기 회전자 권선의 다양한 단락사고 유형에 따라 발생하는 공극자속 파형의 변형정도에 대한 민감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정밀 전자장 수치해석도구를 이용하여 발전기 회전자 권선의 단락사고 유형에 대한 과도상태 해석을 수행하여 공극자속 파형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상상태의 공극자속 파형을 기준으로 각 단락사고 유형별로 발생하는 공극자속 파형에 대한 최대 전압차에 다구찌법을 적용하여 Signal to Nose(SN) ratio 및 Percentage Contribution(PC) 등을 분석함으로써 단락사고 유형에 따른 공극자속 파형의 변형정도를 정량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향후 대용량 발전기 회전자 단락사고 진단 및 감시 시스템 구축에 관련한 분야에 중요한 기초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C/DC Converter Suitable for a Pulsed Mode Switching DC Power Supply (펄스모드 스위칭 직류전원 장치에 적합한 AC/DC 컨버터)

  • 문상호;강성관;노의철;김인동;김흥근;전태원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8 no.5
    • /
    • pp.389-396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a novel ac/dc power converter suitable for frequent output short-circuit faults. The output dc power of the proposed converter can be disconnected from the load within several hundred microseconds at the instant of short-circuit fault. The rising time of the dc load voltage is as small as several hundred microseconds, and there Is no overshoot of the dc voltage because the dc output fillet capacitors stay at a undischarged state. The proposed converter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implified structure, reduced cost, weight, and volu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ower supplies for frequent output short-circuit. Analysis, simulations, and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and usefulness of the proposed scheme.

An Electromagnetic Force Caclulation for Winding Faults in Power Distribution Transformer (배전용 변압기의 권선 고장시 전자력 계산)

  • Ha, Jung-Woo;Kim, Han-Deul;Shin, Pan-Seok;Lee, Byung-Sung;Han, Sang-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984-986
    • /
    • 2005
  • 변압기 권선내에서 발생되는 고장을 유한요소 전자계해석 프로그램(FLUX2D)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50kVA, 13200/230(V) 단상 변압기의 권선간 고장시 전자계해석을 1차측 권선고장(turn-to-earth)과 2차측 권선고장(turn-to-turn)을 모의하여 해석하였다. 권선내부 고장 및 2차측 단락시 누설 자속분포, 권선간의 힘의 분포, 변압기 내부 권선의 정상시와 단락시의 전자계비교, 단락권선과 권선 상호간의 전자계 해석을 통하여 변압기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였다. 변압기 권선간 단락시의 전자력 분석결과는 변압기의 절연설계 및 단락기계력에 대한 프레임 구조 설계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Gas Turbine Models for the Enhancement of Power System Stability (전력계통 과도안정도 향상을 위한 가스터빈 모델링 비교 연구)

  • Kim, Dong-Joon;Lee, Joon-Joo;Moon, Young-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229-230
    • /
    • 2015
  • 본 논문은 전력계통 과도안정도 해석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가스터빈 모델인 GAST 모델과 GAST2A 모델에 대해서 과도안정도 관점에서 모의 비교한다. 두 가스터빈 모델은 1기 무한모선으로 계통을 구성하여 정상상태에서 조속기 10% 스텝응동 특성을 모의하여 서로 응동특성이 같도록 모델정수를 튜닝하였다. 그리고 발전단에 150 ms 3상 단락사고를 발생시켜 과도상태 특성을 비교하였다. 3상 단락사고인 경우 배기가스 온도제한이 없는 정상 출력상태인 경우와 온도제한 제어특성이 활성화 되는 출력인 경우를 상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Postoperative Assessment of Residual Oefects Following Surgical Closur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s (심실중격결손의 개심술 후 잔류단락에 관한 임상적 고찰)

  • 조준용;허동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29 no.2
    • /
    • pp.147-152
    • /
    • 1996
  • 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residual interventricular shunt following surgical closure of the isolated ventricular septal defect. From January 1989 through December 1993, 211 patients underwent surgical closure of the isolated ventricular septal defect. All patients had 2D-Echocardlo-graphic study after operation to rule out residual ventricular septal defect. There was a 9.5% incidence of a definite residual shunt. The typ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closure method of the defect and cardiopulmonary bypass tim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su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6.3 $\pm$ 3.7mm versus 10.6 $\pm$ 5.8mm : p : 0.0034), aortic cross-clamping time(32.6 $\pm$ 15.0 minutes versus 48.5 $\pm$ 20.0 minutes, p : 0.0003), pulmonary-to-systemic pressure ratio(0.31 $\pm$ 0.22 versus 0.51 $\pm$ 0.33, p=0.019) and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20.3 $\pm$ 11.9 mmHg versus 29.1 $\pm$ 16.2 mmHg, p : 0.009) were meaningful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9 insta ces of spontaneous closure of the residual shunts at mean 21 months of following up (ranged 1 ~43 months).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siz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aortic cross-clamping time and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occurance of residual ventricular septal defect.

  • PDF

Effect of Propranolol on Portal Vein Pressure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Evaluation by Perrectal Portal Scintigraphy (만성 간질환에서 Propranolol의 문맥압 감소 효과: 경직장 문맥 신티그라피를 이용한 평가)

  • Rho, Young-Ho;Han, Shin;Kim, Hak-Su;Yoon, Su-Jin;Kim, Yun-Kwon;Kim, So-Yon;Kim, Yeong-Jung;Cho, Min-Koo;Park, Byong-Yik;Lee, Gwon-Jun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3 no.4
    • /
    • pp.388-397
    • /
    • 1999
  • Purpose: Propranolol is known to decrease portal pressure by reducing blood flow of portal vein. Perrectal portal scintigraphy with Tc-99m pertechnetate has been introduced to evaluate the portal circulation and early diagnosis of liver cirrhosis. We evaluated the effects of propranolol on portal circulation by using per-rectal portal scintigraphy.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portal hemodynamics by per-rectal portal scintigraphy in 51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10 chronic hepatitis and 10 normal subjects. 38 patients with cirrhosis underwent per-rectal portal scintigraphy before and after propranolol medication. Perrectal portal scintigraphy was performed after per-rectal administration of 370 MBq of Tc-99m pertechnetate. The shunt index was calculated as the ratio,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heart radioactivity to the sum of heart and liver radioactivity during the first 30 seconds. Results: The shunt index in 40 patients with cirrhosis ($59.8{\pm}27.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control ($5.0{\pm}1.2%$. p<0.01) and chronic hepatitis ($11.4{\pm}3.5%$, p<0.01). Shunt inde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hild's classification and the degree of esophageal varix (p<0.01). After propranolol medication, shunt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59.9{\pm}27.3%$ to $51.3{\pm}15.3%$ (p<0.01) in 38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mount of shunt index reduction after propranolol according to Childs' classification and the degree of esophgageal varix. Conclusion : The effect of propranolol on portal circulation was demonstrated as decreasing shunt index on per-rectal portal scintigraphy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Per-rectal portal scintigraphy may be useful to evaluate the portal circulation and to predict the effect of propranolol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