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사영상

Search Result 41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High Quality Ortho-image Production Using the High Resolution DMCII Aerial Image (고해상도 DMCII 항공영상을 이용한 고품질 정사영상 제작)

  • Kim, Jong Nam;Um, Dae 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3 no.1
    • /
    • pp.11-21
    • /
    • 2015
  • An Ortho-image is the production of removed geometrical displacement, which is generated the aerial image distortion and the relief displacement, etc., using the DSM (Digital Surface Model). Accordingly, the resolution of raw image and the accuracy of DSM will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 ortho-image accuracy. Since the latest DMCII250 aerial camera delivers the high resolution images with five centimeters Ground Sampling Distance(GSD), it expects to generate the high density point clouds and the high quality ortho-images. Therefore, this research has planned for reviewing the potentiality and accuracy of high quality ortho-image production. Following to proceed the research, DSM has been produced through the high density point cloud extracted from DMCII250 aerial image to supply of high density DSM by creation of ortho-image. The research results has been identified that images with the DSM brought out higher degrees in positional accuracy and quality of ortho-image, compared with the ortho-image, produced from the existing digital terrain map or DSM data.

Research for DEM and ortho-image generated from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고해상도 영상 자료로부터 추출한 DEM 및 정사영상 생성에 관한 연구)

  • Jeong, Jae-Hoon;Lee, Tae-Yoon;Kim, Tae-Jung;Park, Wan-Y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80-85
    • /
    • 2008
  • 최근 도심지역이 급변하고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수치표고모델과 정사영상 생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KONOS, SPOT5, QUICKBIRD, KOMPSAT2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DEM 과 정사영상을 생성하였으며 USGS DTED 와 기준점을 이용하여 결과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보다 정확한 DEM 생성을 위해 자동 피라미드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영상 정합시 에피폴라 기하학을 적용하였다. 정사 영상 생성시 DTED 높이값을 이용하여 보정을 수행하였으며 생성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리샘플링 그리드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DEM 과 정사영상 생성시 QUICKBIRD 와 SPOT5 의 경우 영상의 용량이 매우 커 메모리 부족문제와 알고리즘 수행 속도 저하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DEM 생성시 정합 후보점의 개수를 줄이는 알고리즘을 고안하여 기존에 메모리 문제로 생성하지 못했던 QUICKBIRD와 SPOT5 의 DEM 을 생성하였으며 정사 영상 생성시 리샘플링 그리드를 적용하여 고해상도 정상영상 생성 속도 개선에 상당한 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고해상도 위성 영상의 용량이 점점 커져감에 따라 이러한 메모리 문제와 처리 속도 저하에 관한 문제는 추후 계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생성한 IKONOS, SPOT5, QUICKBIRD DEM 의 정확도를 USGS DTED 와 비교한 결과 13${\sim}$15 m 정도의 RMS 높이 오차가 산출되었으며 생성된 IKONOS, QUICKBIRD, KOMPSAT2 정사영상을 기준점과 비교한 결과 3 m 정도의 거리오차가 산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Feature Extraction using Orthophoto in CAD System (CAD 시스템 기반에서 정사영상을 이용한 지형 요소 추출)

  • 김감래;김명배;곽강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393-39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범용 CAD 시스템에서 정사영상을 이용한 지도제작 가능성 판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전시 일부 지역에 대한 항공사진을 영상화 및 정사 보정하여 범용 시스템에서 판독 가능한 지형 요소를 분석하고 추출하였다. 국립지리원 발행 1/5,000 기준 수치 지도와 비교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표현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범용 시스템에서 정사영상을 이용한 지도 제작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Patch-Based Processing and Occlusion Area Recovery for True Orthoimage Generation (정밀정사영상 생성을 위한 패치기반 처리와 폐색지역 복원)

  • Yoo, Eun-Jin;Lee, Dong-Ch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1
    • /
    • pp.83-92
    • /
    • 2010
  • Emergence of high-resolution digital aerial cameras and airborne laser scanners have made innovative progress in photogrammetry and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true orthoimage by recovering occlusion areas. The orthoimages were generated patch-based transformation. The occlusion areas were mutually corrected by using multiple aerial images. This study proposed a novel method of building roof based orthoimage generation and an effective method of occlusion area detection and recovery. The proposed methods could be efficient to generate true orthoimages in urban areas where occlusion areas are problematic.

The Study of the Plan regarding DSM Generation for Production of Orthophoto (정사영상 제작을 위한 정밀 DSM 생성 방안)

  • Lee, Hyun-Jik;Ru, Ji-Ho;Yoo, Kang-Mi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69-374
    • /
    • 2007
  • 최근 사진측량기술과 IT의 발달로 인해 고품질의 데이터의 획득이 가능하게 되면서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정사영상의 제작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정사영상은 DEM을 이용하여 편위수정이 수행하기 때문에 건물, 교량과 같은 비고를 가지고 있는 인공지형지물에 대한 기복변위를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기복변위를 제거한 실감정사영상을 제작하기 위하여 수치사진 측량기법과 LiDAR데이터를 이용한 네가지 실험 CASE별로 DSM을 생성하였고, 각 DSM별 정사영상을 제작하여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여, 실감정사영상제작에 적합한 DSM 제작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Comparison and Analysis of Features between Aerial Photo Image and Satellite Image (항공사진 영상과 위성 영상간의 지형지물 비교.분석)

  • 김감래;김재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1
    • /
    • pp.1-7
    • /
    • 2003
  • Practical use is increasing on the aerial ortho image recently, and much researches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uild that use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cause this are progressing. Also many researches that use KOMPSAT-1 satellite image of resolution 6.6m are performing in these days, estimation for between aerial photo and satellite image is needed. In this treatise scanned image of aerial photo, using aerial photo resampling image of resolution equal with KOMPSAT-1 image using aerial photo, and KOMPSAT-1 satellite image use for experimental image making each orthoimage, classified feature for estimate. We evaluated to what level that an separation item could be able to estimate in each orthoimage. As result of estimation analysis, In the classified feature in aerial photo orthoimage with aerial photo resampling image orthoimage is about 61%, KOMPSAT-1 satellite image orthoimage is almost 41% could estimated. Through this investigation estimate, KOMPSAT-1 satellite sue to map updating, geographic information og non-approach area and environment inspect.

Accuracy Estimate of Orthoimage by Number of GCP at Stereo Satellite Images (입체위성영상의 GCP개수에 따른 정사영상 정확도 평가)

  • 김감래;안병구;김학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5-24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수치영상처리 방법으로 공간해상도가 l0m인 SPOT 흑백영상을 사용하여, 지상기준점 수량을 10∼30개까지 5개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각각의 모델링과 수치표고모델, 정사영상을 생성하여 정사영상상에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 PDF

Estimating Accuracy of 3-D Models of SPOT Imagery Based on Changes of Number of GCPs (SPOT영상을 사용한 3차원 모델링시 지상기준점수에 따른 정확도 평가)

  • 김감래;안병구;김명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1
    • /
    • pp.61-69
    • /
    • 2003
  • There is various kinds cause that influence to created DEM and orthoimage using stereo satellite images. Specialty, research about effect that GCP number gives to accuracy of DEM, orthoimage and modeling may have to be gone ahead. Therefore, this research increases GCP number by 5 to 30 and created each modeling, DEM and orthoimage using SPOT panchromatic images that resolution is 10m by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Accuracy assessment did by orthoimage using 20 check point. As a result, GCP number between 10∼30 modeling RMSE is 1 pixel low appear. Horizontal·vertical error that use orthoimage looked tendency that decrease GCP number increases, and confirmed by the most economical in GCP number 10∼15. Also, analyze correlation of GCP number and orthoimage position accuracy and presented improvement plan and research task hereafter.

A Study on Change Detection of City Using Aerial Photo (항공사진을 활용한 도심지 변화탐지에 관한 연구)

  • Kim, Kam-Lae;Ahn, Byung-Gu;Lee, Ka-Hyeong;Cheong, H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7.04a
    • /
    • pp.191-19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변화탐지 기법을 통한 도심지 건축물의 판독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항공사진 단영상 및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영상정규화와 기하보정을 통한 image subtraction기법을 적용하여 변화 탐지를 실시하였다. 변화 탐지를 위한 임계값 설정에서 단영상 변화탐지는 임계값 90% 이상에서는 일정면적 이상의 변화지역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정사영상 변화탐지는 임계값 $70{\sim}80%$ 이상의 결과영상이 변화탐지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영상과 정사영상 변화탐지 결과를 필터링을 통해 일정면적 이하를 제거한 후 2002년 영상과 중첩하여 변화지역을 확인 하였다. 변화탐지 기법을 판독 작업에 활용한다면 판독 우선순위 결정에 많은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영상의 종류와 필요에 따른 다양한 변화탐지 기법을 적용한다면 판독 작업에 많은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Visible Height Based Occlusion Area Detection in True Orthophoto Generation (엄밀 정사영상 제작을 위한 가시고도 기반의 폐색영역 탐지)

  • Youn, Junhee;Kim, Gi H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D
    • /
    • pp.417-422
    • /
    • 2008
  • With standard orthorectification algorithms, one can produce unacceptable structure duplication in the orthophoto due to the double projection. Because of the abrupt height differences, such structure duplication is a frequently occurred phenomenon in the dense urban area which includes multi-history buildings. Therefore, occlusion area detection especially for the urban area is a critical issue in generation of true orthophoto. This paper deals with occlusion area detection with visible height based approach from aerial imagery and LiDA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a grid format DSM is produced from the point clouds of LiDAR. Next, visible height based algorithm is proposed to detect the occlusion area for each camera exposure station with DSM. Finally, generation of true orthophoto is presented with DSM and previously produced occlusion maps. The proposed algorithms are applied in the Purdue campus, Indiana,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