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정비성

Search Result 1,51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풍력발전의 정비관리 기술

  • Song, Gi-Uk
    • Journal of the KSME
    • /
    • v.52 no.3
    • /
    • pp.37-41
    • /
    • 2012
  • 최근 신재생에너지가 각광을 받아 많은 풍력터빈이 설치되고 있으나 풍력터빈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영 및 관리기술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 글에서는 신뢰도 중심 정비기술을 이용하여 정비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풍력발전설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비관리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Not Preventive Maintenance, But Predictive Maintenance (예방정비의 필요성)

  • 전형식;글렌화이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04a
    • /
    • pp.109-115
    • /
    • 1994
  • 지난 날에는 생산공장 기기들의 정비에 진동분석 이용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었으며 과학이 발달된 이 즈음에도 고장이 날 때까지 기기를 혹사하고 고장이 난 후에야 많은 시간과 경비를 들여 기기를 재가동 함은 물론 공장가동 중단으로 인한 생산성 상실이 산업계에 주는 영향은 크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기전체를 교체하는 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공장 전면 조업에 큰 차질을 빚게된다. 시태크(Time tech)와 Re-Engineering과 같은 최첨단 경영방침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구태의연한 가동파괴정비나 정기점검 정비방법을 탈피하여 최신 진동분석 기술을 이용한 예방정비(predictive maintenance)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학기술 발전에 힘입어 정확한 진동자료를 수집할 수 잇는 주파수분석기(FFT analyzer)나 자료수집기 (data collector)와 진동자료를 심층분석하여 정확한 진동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software가 개발되어 사용화 되어 있는바 관계기술 요원들의 진동에 대한 이해와 기술습득으로 한차원 높은 기기정비를 통해 효율적인 생산성증가, 정비비용감소, 안전사고 미연방지등 많은 것을 함께 얻을 수 있다.

  • PDF

The Improvement of maintainability evaluation method at system level using system component information and fuzzy technique (시스템의 구성품 정보와 퍼지 기법을 활용한 시스템 수준 정비도 평가 방법의 개선)

  • Yoo, Yeon-Yong;Lee, Jae-Ch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3
    • /
    • pp.100-109
    • /
    • 2019
  • Maintainability indicates the extent to which maintenance can be done easily and quickly. The consideration of maintainability is crucial to reduce the operation and support costs of weapon systems, but if the maintainability is evaluated after the prototype production is done and necessitates design changes, it may increase the cost and delay the schedule. The evaluation should verify whether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and support the designers in developing a design to improve maintainability. In previous studies, the maintainability index was calculated using the graph theory at the early design phase, but evaluation accuracy appeared to be limited. Analyzing the methods of evaluating the maintainability using fuzzy logic and 3D modeling indicate that the design of a system with good maintainability should be done in an integrated manner during the whole system life cycl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evaluate maintainability using SysML-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technique and fuzzy logic. The physical design structure with maintainability attributes was modeled using SysML 'bdd' diagram, and the maintainability was represented by an AHP matrix for maintainability attributes. We then calculated the maintainability using AHP-based weighting calculation and fuzzy logic through the use of SysML 'par' diagram that incorporated MATLAB. The proposed maintainability model can be managed efficiently and consistently, and the state of system design and maintainability can be analyzed quantitatively, thereby improving design by early identifying the items with low maintainability.

Analysis of Flow Variation due to River Improvement Project in Bends of the Yongdam Dam Downstream (용담댐 하류 만곡부의 하천정비사업에 따른 흐름특성분석)

  • Kim, Yeon-Su;Lee, Gi-Ha;Kim, Kyoung-Pa;Jung, Dae-Jin;Jung, Kwan-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64-668
    • /
    • 2010
  • 유역 내 효율적 수자원관리 및 이 치수 계획수립을 위해 수계별 혹은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의 하천정비 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며, 사업의 대부분은 통수능 확보를 위한 확폭 및 홍수피해방지를 위한 제방의 보강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천정비사업 계획의 검토를 위하여 횡방향 흐름을 고려할 수 없는 1차원 HEC-RAS 모형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만곡부와 같은 복잡한 흐름특성이 발생하는 구간에서의 정비 사업 후 흐름특성 변화 및 하상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를 위해 1차원 수치모형의 적용이 제약적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하류부 대유리에 위치한 만곡부를 대상으로 2차원 수치모형인 CCHE2D를 이용하여 정비사업 전 후의 흐름특성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만곡부 정점부의 단면축소로 흐름의 통제가 발생하던 구간에서 정비사업 후 유속과 소류력이 감소되었으며, 상류측으로 수위가 크게 저하하였다. 또한, 정비사업 후 상류측에서 유속과 소류력의 증가가 관측되었으며, 만곡부 내측으로 유속과 소류력의 중심이 이동함에 따라 제방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CHE2D모형은 자연하천의 만곡부와 같은 복잡한 흐름이 발생하는 구간의 분석을 위하여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모형 내 하상변동 모듈과의 연계모의를 통해 제방의 안정성 및 하상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수리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Online Maintenance for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발전소 가동중정비 도입 효용성 고찰)

  • Hyun, Jin Woo;Yeom, Dong Un;Lee, Sang Dae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9 no.1
    • /
    • pp.52-57
    • /
    • 2020
  • OLM(On-Line Maintenance) is PM(Preventive Maintenance) activity of safety related equipment during running of Nuclear Power Plants. Korea Hydro & Nuclear Power-co.(KHNP) and regulator institute already reviewed the adoption of on-line maintenance in 2010 but now because of changing conditions of nuclear industry it has been halted. Even though that, OLM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programs to enhance safety and operability of Nuclear power plant. Therefore this paper introduce the strengths of OLM and explain why we should apply to Nuclear power plant.

Development of Maintenance Effectiveness Monitoring Program for APR1400 Safety Related Systems (APR1400 안전관련계통 정비효과감시 프로그램 개발)

  • Yeom, Dong Un;Hyun, Jin Woo;Song, Tae Young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3 no.2
    • /
    • pp.191-198
    • /
    • 2014
  •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KHNP) has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maintenance effectiveness monitoring (MR) programs for the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MR programs are developed by reflecting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to monitor the plant performance for improving the safety and reliability. Recently, KHNP has developed the MR program for APR1400 safety related systems to establish the advanced maintenance system and will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MR program through evaluating initial performance.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the safety of the new plant will be improved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MR program.

Study on Text Analysis of the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s Dock Specification for Development of the Ship Predictive Maintenance Model (선박예지정비모델 개발을 위한 LNG 선박 도크 수리 항목의 텍스트 분석 연구)

  • Hwang, Taemin;Youn, Ik-Hyun;Oh, Jung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1
    • /
    • pp.60-66
    • /
    • 2021
  • The importance of maintenance is leading the application of the maintenance strategy in various industries. The maritime industry is also a part of them, with changes in selecting and applying the maintenance strategy, but rather slowly, by retaining the old strategy. In particular, the ship is maintaining a previously used strategy. In the circumstance of the sea, ship requires a new suggestion for maintenance strategy. A ship predictive maintenance model predicts the breakdown or malfunction of machineries to secure maintenance time with preventive actions and treatments, thereby avoiding maintenance-related dangerous factors. This study focused on applying text analysis to an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s dock indent document,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interpreted from the original document. The inter-relational patterns observed from the frequency of common maintenance combinations among different parts and equipment in ships will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ship predictive maintenance.

The effect of variations to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after river environment improvement in the Osan Stream (오산천 하천환경정비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

  • Kim, Jea-Su;Kwon, Yong-Duk;Kim, Seong-Hwan;Kim, Kook-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77-981
    • /
    • 2006
  • 본 연구는 오산천 하천환경정비로 인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 6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5개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6목 38과 81종이었으며, 년도별로는 2002년에는 총 55종이 출현하였으나, 2004년에는 36종으로 종수가 급감하였다. ESB에 따른 군집의 생태점수는 2003년도에 45.4에서 2004년도에는 21.7로 낮아졌다가 2005년도에는 31.2로 높아졌다. 이는 하천환경정비공사로 일시적인 교란을 일으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종조성의 변화로는 상류부의 경우 환경정비공사 완료 후 생태계안정화와 추이대가 복원되면서 1급수 지표종인 플라나리아(Dugesia japonica)와 옆새우(Gammarus sp.)가 출현하여 다양한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류의 경우는 군집의 종조성이 빈약하지만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면서 수서생물의 서식처가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하상의 물리적 구조와 이와 연관된 유기물 퇴적층과 토사 퇴적층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하도특성에 맞는 안정된 군집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체서식처를 하천환경정비계획 수립 시 고려하여야 한다.

  • PDF

Design of the Firefly Electrical System (반디호 전기계통 설계)

  • Chang, Jae-Won;Park, Ill-Kyung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6 no.2
    • /
    • pp.8-13
    • /
    • 2007
  • Improvement of the maintenance of firefly is another important part of the electrical system design with the performance. Usually, the maintenance of electrical system for small aircraft is more difficult than the maintenance of engine. The firefly electrical system imports the concept of module for design. In concept of module, sub-module can re easily isolated each other. Therefore, the maintenance of sub-module is possible. In this paper,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firefly electrical system is described.

  • PDF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Maintainability of Equipments in Container Terminals (컨테이너 터미널 장비의 RAM 향상을 위한 관리 시스템 #)

  • Yun, Won-Yeong;Kim, Gwi-Rae;Ha, Yeong-Ju;Son, Beom-S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3-180
    • /
    • 2006
  • 컨테이너 터미널 장비들은 많은 부품들이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고장 발생 시에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터미널 장비의 신뢰도, 가용도, 정비도 향상을 위한 관리 시스템을 개발한다. 개발 시스템은 장비 구성 모듈, 장비 운영 관리 모듈, 정비 관리 모듈, 예비품 관리 모듈, 분석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장비의 신뢰도, 가용도, 정비도 향상을 위한 기술로 FMEA, 고장현황 분석, 수명 모수 추정법을 사용한다. 또한 산출된 수명 모수와 객체지향 시뮬레이션 모형으로 최적 예방 정비 주기를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비인원과 하루 최대 정비 가능 장비대수를 고려한 연간 최적 예방정비 일정을 결정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