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비복원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evelopment of Eco-Friendly Eco-Mat for the vegetation-Restoration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적 식생매트 개발)

  • Park, Hyun-Jun;Kim, Sun-Joo;Kim, Chang-Bae;An, Min-woo;Choi, Kyo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112-2116
    • /
    • 2009
  • 최근 자연환경보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대두로 하천환경의 보전과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하천의 환경적 기능을 고려하는 관리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는 것이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하천기능 복원기술의 개발이다. 이는 하천정비나 관리에 있어서 하천의 생태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1990년대 이후 확산된 환경기능을 고려한 하천정비 및 관리보다 구체화된 하천의 생태환경기능의 회복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구성이 강화된 식생매트를 개발함에 있어 라텍스를 이용한 친환경 코팅 매트를 개발하여 식물의 정착효과를 비교분석하여 효율적인 저수호안공법을 제시 하였다.

  • PDF

The Investigation of Local Governors' Diaries in Joseon Dynasty for Utilization of Governmental facilities in Regional cities (조선시대(朝鮮時代) 지방관(地方官) 작성(作成) 일기류(日記類)의 검토와 활용)

  • Yeo,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49-52
    • /
    • 2009
  • 최근 지방 도시들이 지역의 전통 문화와 문화재 그리고 이들과 연관된 지역 문화축제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조선시대 각 읍치에 설치되었던 관영시설(官營施設)들을 복원 정비하고 있다. 지방 관영시설의 복원 정비후 대두되는 중요한 과제는 무엇보다 그의 활용 문제라 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과거 읍치의 관영시설에서 행해졌던 행례의 재현이 자주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증폭된 관심과 현실적 요구에 비하여 관련분야의 연구는 극히 미약한 실정이다. 이는 무엇보다 관련 자료가 매우 적고 제한적이란 점에 기인한 것으로 관련 자료의 발굴 검토가 중요한 선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중점을 두고 조선시대 지방관이 작성한 일기류(日記類)를 발굴하여 그 내용을 조사 검토하였으며, 검토된 일기류를 토대로 지방 읍치시설의 이용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 향후 지방관 작성 일기류가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The Status Review on Exca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Baekje Royal Tombs (백제 왕릉의 조사와 정비 현황 검토 -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중심으로 -)

  • Hwanhee, KIM;Naeun, LE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4 no.4
    • /
    • pp.260-285
    • /
    • 2021
  •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urrent status of investigation of the royal tombs of Baekje (Gongju Songsan-ri Tomb, Buyeo Neungsan-ri Tomb, Iksan Ssangneu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A review of the maintenance status is also conducted to see if the survey content was actually reflected in the restoration maintenance of the ruins. First, the structure sca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s of Baekje during the Woongjin and Sabi periods were identified by examining the survey content organized by period and feature. Through the recent re-excavation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being verified. Next, before examining the maintenance status of the Baekje royal tombs, related content about maintenance of laws and regulations were extracted to establish the maintenance standa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importance part of maintenance is 'maintenance of the original form' without compromising the authenticity of cultural properties. Based on these criteria, the maintenance status was reviewed. The main part of the burial tomb is located underground, so maintenance is mainly made around the tomb, which is the upper structure. However, most of the original burial mounds have been lost or damaged, so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ir original form. In fact, constant changes in the size and location of tomb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were confirmed in the Songsan-ri and Neungsan-ri tombs, meaning that the current maintenance status is problematic.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sangneung, not only are the tombs relatively intact, but there are also few changes in the records, so it seems that maintenance was carried out that preserved the original form of the tombs. Therefore, the maintenance of tombs in the future should be based on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 but it is recommended that the 'education and utilization' plan be prepared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restore the tomb and the degree of restoration.

The effect of variations to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after river environment improvement in the Osan Stream (오산천 하천환경정비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

  • Kim, Jea-Su;Kwon, Yong-Duk;Kim, Seong-Hwan;Kim, Kook-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77-981
    • /
    • 2006
  • 본 연구는 오산천 하천환경정비로 인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 6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5개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6목 38과 81종이었으며, 년도별로는 2002년에는 총 55종이 출현하였으나, 2004년에는 36종으로 종수가 급감하였다. ESB에 따른 군집의 생태점수는 2003년도에 45.4에서 2004년도에는 21.7로 낮아졌다가 2005년도에는 31.2로 높아졌다. 이는 하천환경정비공사로 일시적인 교란을 일으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종조성의 변화로는 상류부의 경우 환경정비공사 완료 후 생태계안정화와 추이대가 복원되면서 1급수 지표종인 플라나리아(Dugesia japonica)와 옆새우(Gammarus sp.)가 출현하여 다양한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류의 경우는 군집의 종조성이 빈약하지만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면서 수서생물의 서식처가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하상의 물리적 구조와 이와 연관된 유기물 퇴적층과 토사 퇴적층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하도특성에 맞는 안정된 군집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체서식처를 하천환경정비계획 수립 시 고려하여야 한다.

  • PDF

Flood Risk Analysis for Extreme Floods using HEC-GeoRAS (HEC-GeoRAS를 이용한 극한 홍수에 대한 홍수 위험지역 분석)

  • Jin, Ji-Ung;Yeo, Chang-Geon;Lee, Seung-Oh;So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65-1569
    • /
    • 2009
  • 과거의 치수기능 위주의 하천정비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자연 친화적인 하천 복원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많은 지자체에서는 자연형 하천정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형 하천정비 사업으로 인하여 하천의 조도계수가 변화하지만 하천설계기준에서 제안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조도계수의 경우 그 범위와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서 자연형 하천정비사업 후에도 조도계수 변화에 대한 고려 없이 홍수위 및 홍수범람지역을 산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차원 홍수범람 모형인 HEC-GeoRAS를 이용하여 홍제천 유역을 대상으로 극한홍수시 조도계수 변화에 따른 홍수범람지역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도계수는 하천설계기준에서 제안한 인공하천의 조도계수 값 중 최소 값인 0.014부터 자연하천에서의 최대 값인 0.05까지 변화시켜 그에 따른 홍수범람지역의 면적을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조도계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침수면적이 증가되었으며 조도계수 0.02$\sim$0.03구간에서 침수면적의 증가율이 9.69%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홍제천의 자연형 하천 정비사업 후 극한홍수시 침수면적이 약 11.91% 증가하였다. 따라서 자연형 하천정비 사업시 반드시 조도계수 변화를 고려하여 홍수위 및 침수면적을 산정하여야 할 것이며 홍수위 및 침수면적 증가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여 설계에 반영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미국의 시행착오에서 배우는 폐광 환경복원 최적화 기법

  • 황대규;이진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11a
    • /
    • pp.45-58
    • /
    • 2002
  • 폐기물과 오염물질 투기로 인해 발생된 오염지의 복원은 1980년대 초반 미국이 본격적으로 시도하여 현장조사, 위해도 평가, 타당성 검토의 3단계를 거쳐 복원대책을 수립하는 정형이 이루어졌다. 이 정형에서는 먼저 현장조사로 오염상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위해도 평가로 오염도가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위해도를 정량화하며 타당성 검토에서 위해도를 제거하기 위한 각종대안을 검토하여 최종안을 선정한다. 이 과정 자체는 합리적이었으나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거치며 과잉대책이 남발되고 사업효과도 미흡하여 점차 예산낭비의 대표적인 사례로 비판이 제기되었다. 시행착오의 가장 큰 기술적 원인은 위해도 평가와 별개로 타당성 검토를 수행하며 비현실적인 완벽복원을 추구한 탓이며 이를 극복하려는 최적화 기법이 90년대 초반에 소개되었다. 이 최적화기법은 타당성 검토단계에서 각 대안의 잔류 위해도를 산정하고 해당대안의 비용과 비교하여 위해도를 허용수준으로 줄이는 최소비용 대안을 발견하는 방법이다. 이 최적화기법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한 결과 복원대책 수행에 기대 이상의 비용절감을 이루고 정부의 수용도도 높았다. 특히 정비대책에 현장조건의 특성을 활용하는 창의적 대안을 도입하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바 두 가지 사례를 소개하였다. 앞으로 상당한 투자가 예상되는 폐광오염 문제에도 이 기법을 적용하면 비용과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그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정동진 해변 연안정비사업 설계사례

  • Park, Won-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214-216
    • /
    • 2018
  • 강원도 정동진해변은 이상시 고파랑에 의한 연안침식피해가 상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안복원을 위하여, 정밀 조사, 실험을 통해 연안침식원인을 분석하고 해안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였으며, 자연재해로 인한 연안침식 예방과 연안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관리로 연안환경을 보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중방파제, 돌제, 양빈 등의 대책을 마련하였으며, 제언하여 이후 퇴적환경 모니터링을 지속화 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Maintenance Plan of Trees in Gwanghalluwon Garden for Representing Traditional Space (전통공간 재현을 위한 광한루원의 수목정비방안 연구)

  • Lee, Won-Ho;Kim, Dong-Hyun;Kim, Jae-Ung;Ahn, Hye-In;Kim, Dae-Yeol;Cho, Un-Y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3
    • /
    • pp.82-95
    • /
    • 2014
  • This study aims to draw up measures to planting tree and maintain a landscape in traditional space. Preceding comprehensiv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elected species of trees and tree maintenance. And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of planting in cases of Gwanghalluwon Garden, then draw a maintenance plans of planting through species of trees and landscape of planting recorded in literat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selected species of trees and tree maintenance that traditional space. A dispute about the selection species of trees in traditional space has been continued until today. Because unconditional reject of foreign trees are limited. In this context, should be sublated that hasty blind faith of records and dichotomous preparation plans such as removal of foreign trees and implicitly planting of native plants. Secondly, Planted trees in Gwanghalluwon garden was investigated and found to the species of trees used in traditional space such as Pine(Pinus densiflora S. et Z.), Sawleaf Zelkova(Zelkova serrata), Ginkgo(Ginkgo biloba), Crape Myrtle(Lagerstroemia indica L.). But, present planting irrelevant to traditional space, except Gwanghallu pavilion area from the spatiality. Thirdly, A look at the records or literature that maintenance of planting through historical research are limited. Because literature was recorded Salix spp., Crape Myrtle, Bambusoideae(Pseudosasa japonica), lotus only among planted trees in Gwanghalluwon garden. Fourth, Gwanghallu zone have nature of history and sense of place. And It was going to restore the appearance on historical. Consequently maintenance plan of planting of Gwanghallu zone should be maintain the current state. Wanwol pavillion zone can be recognized as the original form because they look similar to the Gwangallu zone's build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ense of place different from Gwanghallu zone by buffer planting for composition of transition space. Wolmaejip zone and lawn zone was marketplace in outside of castle and large forest. Accordingly, this area should be symbolic restoration of the Yulrim(栗林) and representation of the marketplace in outside of castle through aggregation of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facilities in Gwanghalluwon garden. East lawn of the Wanwol pavilion zone is should be maintained the current state that opened place in terms of using thought linked with the Wanwol pavilion zone. Boundary zone of the Gwanghalluwon garden is difficult to associate in terms of historical research and authenticity. Therefore, application of cultural landscape that appeared in literature is be worth.

Application of Evaluation Technique for the Revetment in Gwangju Stream (광주천에 대한 호안평가기법의 적용)

  • Park, Nam-Hee;Kim, Yun-Hwan;Jin, Young-Hoon;Kim,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98-1107
    • /
    • 2007
  • 과거 치수적 목적에 의해 진행하던 하천정비방식이 최근에 친환경적 개념의 정비방식으로 전환되면서 하천환경개선에 대한 관심과 공감대가 증가되고 있다.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하천살리기 운동을 비롯해 하천의 환경기능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이며 전국적으로 자연형 하천정비 또는 친환경적 하천복원 등의 사업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자연형 하천정비 개념의 도입이후 많은 하천에 다양한 자연형 호안공법이 시공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적합한 호안공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하천의 환경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대상 하천이 지니는 특성에 적합한 호안공법을 선정하는 데 선결되어야 할 문제이며, 적용 호안이 시공 이후 하천환경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가를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호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 광주천을 대상으로 하여 호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상하천인 광주천은 광주시를 관통하는 도시하천으로, 현재 자연형 하천정화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2009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광주천의 호안에 대한 평가를 위해 수리적 안정성, 식생의 건전성과 경관/심미성 및 생태성을 포함한 평가방식을 개발하고, 개발된 기법을 광주천에 적용하여 하천공사 전후의 호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호안평가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A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of Jeongnimsa Temple Site in Buyeo from Perspective of Maintenance Project (정비사업을 통해 본 부여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

  • Kim, Mi-Jin;So, Hyun-S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4
    • /
    • pp.38-49
    • /
    • 2021
  • The maintenance project of the Jeonglimsa temple site started with the objective of restoring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temple, however, it was gradually transitioned to a landscaping maintenance project over time that constructs a landscape of the temple area. With paying attention to these facts, this study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of the Jeonglimsa temple site as follows. First,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is a landscaping act that creates, maintains, and manages landscapes within the spatial scope of the cultural heritage designated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rea established around it. It is a work that includes prot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excavated remains, spaces by each function and plans for moving lines, Installation of structures to protect cultural properties, adoption of the facilities and structures for convenience of visitors, and construction of vegetation landscape. Second,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of the Jeonglimsa temple site has been developed in 5 periods, and these include 'the period of historical site investigation' that the temple name was identified through the designation of cultural assets and excavation investigation by the Japanese rule, 'the construction period of Baekje Tower Park'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the period of Baekje Cultural Area Development Project' designated as a historical site, 'the period of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for a Specific Area of Baekje Culture',which was proceed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park and museum instead of restoring the temple building due to the difficulty in gathering the pieces of historical evidence, and 'the period of the Jeonglimsa temple site restoring project', which was designated as a World Heritage Site while restoring the buildings deployment in the Buddhist temple at the time of foundation era of Baekje Dynasty. Third, this study verified the landscape changes of the Jeonglimsa temple site that have been transitioned, for instance, the creation of a commemorative park linked to the outer garden of Buyeo Shrine, the implementation of urban planning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creation of a protective environment for the excavated historical structures and temple area, the restoration of building deployment in the Buddhist temple, and the sincerity restor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assets. Fourth, the landscape of Jeongnimsa temple site is determined by the subject and scope of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land use, movement lines and pavement, repairing methods of remains, structures, facilities, and vege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e of Jeongnimsa Temple were derived, such as creating a procedural landscape considering the expan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scope, securing authenticity by maintaining relics in consideration of reversibility, creating a vegetative landscape suitable for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nd enhancing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enjoyment by providing an open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