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부 정책

Search Result 6,00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Policy for International Co-Production Investment Policy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공동제작투자 활용을 위한 정책연구)

  • Hwang, Kil-Nam;Kim, Jae-Woo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26
    • /
    • pp.157-172
    • /
    • 2012
  •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domestic image content market, entering the global market is inevitable and expanding our market volume in foreign market as in domestic marke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future of Korea image content industry. Suggestions and discussions on policy for investments on domestic image content should be carried out to resolve such situation. Specially, the reason why cooperative system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in dire need is because cultural content industry support measures of central government is unsatisfactory and local government is not adequate enough to respond to the global environment because investment resource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cultural content is insufficient. This paper intends to study cases of policy promoted by domestic local government and support cases of foreign countries when domestic image content industry is expanding into the global market, and to search for solutions from integrated functional perspective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for international co-production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political connection in terms of central government strengthening assistance policy on dispersed policy of local government who operates 11 cultural industry promotion districts throughout the country. First,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panded international co-production by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hrough investment(fund).

Attitudes of Korean People Toward Income Polarization and Their Evaluation of Government Policies (소득양극화에 대한 한국인의 입장과 정부정책에 대한 판단)

  • Kim, DongSu ;Kim, Okhwan ;Jung, Taeyun ;Choi, Young-jin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9 no.2
    • /
    • pp.87-108
    • /
    • 2013
  • With questionnaires conducted for 613 adult Koreans in Seoul,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heir social features (income level, political party identification, political values, values of capitalism and egalitarianism) exercis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income polarization and their evaluation of government policies. Two groups of participants (high vs. low) for each social feature were formed first. Then their attitudes toward income polarization (liberal vs. conservative) and evaluations of policies (liberal vs. conservative) exercised by government (Participatory vs. Practical) were compared. Results indicated that liberal value was strengthened by liberal value, anti-capitalistic, and conservative value was strengthened by egalitarian values, and party identification. It was also found that party identification partial effect on the judgment of policies exercised by Participatory Government.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and measures for communication constructive for settlement of income polarization were suggested.

  • PDF

Exploratory Research about Business Concept of Franchise Business as a Applicable Organization and Cooperation Model for SME (중소기업 조직화와 협력화 모델로서 프랜차이즈 사업모델이 적용 가능한 사업 유형에 대한 탐색 연구)

  • Shin, Yu-Sub;Choi, Myeong-Gil;Kim, Hyun-Cheo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972-975
    • /
    • 2010
  • 현 정부의 주요 정책 중 하나가 일자리 창출이며 소상공인을 포함한 중소기업의 창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의 효과는 이미 여러 연구와 기사를 통해 소개된바 있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 지원책이 지속적으로 이어 지고 있으나 창업과 환경개선 등을 위한 직접적인 정책자금의 지원은 의존 성향을 심화시킬 수 있고 자생하려는 의지가 약화될 수 있기에 정부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금지원과 컨설팅을 병행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으로서 규모의 경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조직화. 협업화의 중요성에 대해 주목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조직화, 협업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과 정부 정책은 주로 음식업과 소매업종을 중심으로 성공적인 조직화. 협업화 모델을 연구하여 제시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업종과 업태를 대상으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조직화. 협업화 확대 적용 방안과 확산 및 기능 활성화 모델을 탐색적 연구를 통하여 도출해 보고자 한다.

  • PDF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Ji, Sang-Cheol;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27-130
    • /
    • 2018
  • 국내에서는 장기 경기침체로 인해 여성들이 창업시장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여성창업자들을 위한 민관중심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창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시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성창업자들이 창업을 통해 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는데, 개인적인 역량이나 업무적인 역량외에 여성만의 가지고 있는 특징을 독립변수로 선택하여 여성기업의 창업성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여기에 창업기업들에게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적인 요인도 조절효과로 추가하여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에 참여하여 답한 내용중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부정확한 표기를 한 설문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총 212명의 여성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설문을 통해 결과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성창업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창업성과에 (+)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창업자의 업무적 특성인 독창성, 아이디어, 자원분배역량, 지도역량, 네트워크 구축, 인맥확보등이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모두 정 (+)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창업자만의 특성인 경력단절 유무와 결혼유무에 대해서는 회귀분석을 통한 나타난 결과는 창업성과와 무관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효과인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은 여성의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효과가 여성창업자의 다른 독립변수를 능가할 만한 효과로 나타나지는 않아서 정부의 여성창업자에 대한 정책지원이 좀 더 보강되고 확장되어야만 창업의 성과가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 PDF

'명령에서 경영으로' : 프랑스 철도정책의 변화와 TGV의 발명

  • Kim Seong-Hyun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5.05a
    • /
    • pp.922-929
    • /
    • 2005
  • 본 논문은 TGV 개발을 중심으로 한 프랑스 철도정책 공동체의 정치, 사회, 경제적 배경과 정책결정자, 정책의 추진과정 및 설득과정을 분석함으로써 1960년대 이후 프랑스 공공정책 분야에서 급속하게 발달하게된 자유주의적 개혁을 설명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프랑스 국영철도(SNCF)는 2차 대전이후 국민경제의 재건을 목표로 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하에 기술 및 생산성에서 세계적인 기록들을 수립했으나 민간부문의 교통수단들과의 경쟁에 직면해 경영의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에 정부는 철도부문에 민간의 경영방식을 도입하고 적극적인 시장의 재탈환에 나서도록 이니셔티브를 부여함으로써 SNCF로 하여금 고속철도 기술을 개발하도록 이끌게 되었다. 나아가 이 과정에서 나타난 정책결정 구조와 정책의 설득과정에 대한 분석은 프랑스 철도정책 공동체의 특수성을 이해하게 해 줄 것이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Records Management Policy during Participation Government(2003~2008) (참여정부 기록관리정책의 특징)

  • Lee, Young-Hak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33
    • /
    • pp.113-153
    • /
    • 2012
  • Since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1948, a period that made the biggest difference on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was from 1999 when was enacted. Especially, it was the period of President Roh's five-year tenure called Participation Government (2003-2008). This paper illustrates distinct phenomena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Policy during Participation Government. Three major agents of the system are President Roh, the Presidential Secretariat, and Archives Management Bureau at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y sometimes competed with themselves for initiatives of policy, but they us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have brought about innovations on records management. The fir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Participation Government (below PG)'s records management is that it implemented governance actively. That is, it tried to listen carefully to all opinions of interest organizations related to records management and enacted laws based on those. The PG not only listened to civic groups, but also created two professional groups called Records Management Innovation Expert Committee and Innovation Decentralization Assessment Committee. Those two groups enacted . Another remarkable feature is a nomination of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at public institutions. In 2005, PG created Archival Research Positions among research public officials and appointed experts in the field of Archival Research History at central department. With the process, the government tried to provide public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to improve specialty of records management. Since then, records management specialists were employed not only at local governments but also at private archival institutions. It has allowed of entering a new phase in employing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als. The Participation Government also legislated (completely revised) . It led to a beginning of developing records management in Republic of Korea. was revised thoroughly for the e-Government period and was established as a foundation for managing presidential records. An establishing process of a country's records management system describes the degree of democratic development of society. Following governments should supplement PG's shortcomings and carry out 'New Governance Records Management System'. Principal subjects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should include not only a government but also civic groups, local governments, small businesses, and academic professionals. The object of records management also needs to be democratic by recording not only the plans and enforcements of a task but also influences and results of a task. The way of archiving ought to be discussed by all related principals.

김영삼 정부의 교육개혁 평가와 현 정부의 과제

  • Jeon, Yeong-Pyeong
    • 대학교육
    • /
    • s.96
    • /
    • pp.54-61
    • /
    • 1998
  • 김영삼 정부는 교육 민주주의의 토대 구축과 수요자 중심의 교육개혁을 위해 노력했으나, 교육현장의 협조를 얻지 못한 급진적이고 비현실적인 제도의 도입 등으로 여러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신 정부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교육정책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즉, 타당한 평가체제 및 보상제도 확립, 국.공립 교육기관 구조조정, 교육재원의 효과적 활용, 시민단체와의 교육서비스 협동생산, 교육민주화 완성 등이 그 것이다.

  • PDF

앙케트-새 정부에 바라는 각계 15인의 의견

  •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29
    • /
    • pp.2-8
    • /
    • 1998
  • 'IMF 한파'로 경제불황의 매서운 바람을 체감하고 있는 이즈음 새로 출발하는 정부에게, 출판계 역시 우려와 희망이 교차하는 시선을 던지고 있다. 불황기일수록 오히려 책문화가 경제성장의 뿌리를 내릴 재도약의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음을 많은 출판인들이 지적한다. 책문화를 소중히 생각하는 정부정책이 이뤄지길 기대하는 출판계.학계.문인 등 각계 인사들로부터 새 정부에 거는 바람과 제안을 들어본다.

  • PDF

무허가축사 정부대책 시행 경과 및 향후 대응방안

  • Han, Ji-Tae
    • 월간낙농육우
    • /
    • v.37 no.3
    • /
    • pp.149-160
    • /
    • 2017
  • '18.3.24일. 정부가 정한 무허가축사 적법화 기간이 1년밖에 남지 않았다. 본고는 '12.5월 환경부의 가축분뇨법 개정안 입법예고부터 '15.11월 무허가축사 개선 세부실시요령 발표까지 정부정책의 변화를 살펴보고, 우리협회의 향후 대응방안에 대해 정리했다. 정부 세부대책은 그간 협회 자료, 월간 낙농육우를 통해 소개된 만큼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고 개괄적인 내용을 담았다.

  • PDF

The Busan Financial Center: Evaluation and Future Direction (부산금융중심지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 Lee, Ho-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8
    • /
    • pp.10-19
    • /
    • 2016
  • In this paper, I evaluate national and regional policies for financial centers and Busan Fiancial Center and find the way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Busan Financial Center. And I found that national policies for financial centers was focused on general improvements of financial industry, so a little tasks for Busan Financial Centers were listed. Therefore I suggest that central government should have more national policies for enhancing Busan Financial Center and promoting participation of private financial firms. And I propose the broader incentive schemes for financial firms moving to Busan, and expect that combining national deregulation policies like Regulation-Free Zone and Regulatory Sandbox and Moonhyun-North Port financial free zone and FinTech cluster plans of Busan will make a big progress of Busan Financial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