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정보 조직

Search Result 4,66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감리의 현황과 개선방안

  • 이장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0.05a
    • /
    • pp.123-128
    • /
    • 2000
  •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면서 더 많은 조직들이 업무에 있어서 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부분의 조직들은 정보시스템을 주된 기능으로 대체하는데 기초를 둔 컴퓨터 환경으로 변화시킬 계획들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조직들은 정보시스템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고 심지어 불평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 오늘날 정보시스템 감리에 대한 수요는 정보시스템의 성공적인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증대하고 있다. 감리의 목표는 정보시스템의 부작용을 막고, 예산의 효율적인 사용을 확신하며 조직의 내부 감리 능력과 인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목표를 성취하고 감리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정보시스템 감리를 제도화하고 공공부문의 정보시스템 감리현황을 조사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감리와 선행연구, 우리나라 현황 등을 기술한다. 그리고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감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Neu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직원의 정보보안 정책 준수에 대한 중화기술과 조직시민행동의 영향 연구)

  • Choi, Myeonggil;Choi, Hwayoung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7 no.3
    • /
    • pp.65-76
    • /
    • 2015
  •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neutralization techniques and voluntary actions on intention to comply information security polic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hypothesis results were all hypotheses were suppor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rove understanding on the voluntary nature of employee behavior for participating in the organization's policies and the rationalization of the employees trying weakening the organization's policy intentions. The organization shoud implement specific education and training in order to suppress the rationalization of employees and develop a plan to have a kinship with the employees of the organization.

An Empirical Study on Determinants and Outcomes of Electronic Data Interchange Diffusion (EDI의 확산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 Choe, Do-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153-154
    • /
    • 2010
  • 정보 통신망과 정보통신기기가 보급 확산되고 이들 기술의 발달을 바탕으로 전략적 차원에서 조직끼리 정보를 공유하는 조직간 시스템(Inter-organizational System : IOS)이 확산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IOS 중의 하나가 바로 전자자료교환(EDI : electronic data interchange)이다. 본 논문에서는 EDI를 도입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의 EDI 내 외부 확산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EDI의 확산요인을 제시하고 이와 병행하여 EDI의 내 외부 확산정도에 따른 EDI의 조직성과를 규명한다. EDI를 내 외부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EDI 사용에 대한 지원과 조직내 정보기술의 성숙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논문은 국내의 상항에 맞는 EDI의 확산요인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기업들이 EDI를 좀 더 확산시킬 수 있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Impact of Internal Communication of Organizations on Collabor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oderationg Effect of Online Communication Tools for Collaboration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협업성과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협업도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Sungyoun;Lee, Myung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2
    • /
    • pp.498-518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internal communication(IC) on collaborative performance(C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O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communication tools. First, IE and RS, ISI, RS, and COM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SI, Perf, respectively. The all factors of CP affected JS and OC. Second, IE, COMN, and RS influenced OC through CC and Perf. Third, online cooperative tools for collaboration have been moderated between RS and ISI, CoW and CC, IE and Perf, Perf and JS, repectively- IE(Infromation Exchange), CoW(Collaboration Work), Communication(COMN), Relationship(RS),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ISI), CC(Collaboration Culture), Perf(Performance), JS(job satisfactino), and OC(Organization Commiment). These results could provide one implication for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online communication collaboration tools that take into account internal communication components within the organization.

정보통신 표준화위원회 활동소식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TA Journal
    • /
    • s.52
    • /
    • pp.45-50
    • /
    • 1997
  • 정보통신 표준화위원회 조직이 정보통신표준총회(''97. 7. 3)에서 전산망 및 정보보호 분야 등을 포함해 새롭게 변경되었다. (본문 20p 참조) 본 고에서는 이번호부터 신규 위원회조직에 따라 원고를 작성하였으며, 명칭변경 또는 폐지된 연구위원회 및 실무작업반은 원고 뒷부분에 게재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US Intelligence Systems: Focusing on Environment, Intelligence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한국과 미국의 정보체계 비교연구 - 환경, 정보조직 및 활동을 중심으로 -)

  • Seok, Jaewang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58
    • /
    • pp.107-13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ecurity environment,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information activitie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comparison will provide insight into Korea and other national intelligence agencies, as well as methodological advances in information research, by providing insight into the overall information and a broad understanding As the history, culture and national power of Korea and the U.S. are different,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intelligence agencies are also different. First of all, in terms of environment, the U.S. carries out intelligence activities for national interest and security in a wide range of areas ranging from North American continental countries to South America, the Middle East, Asia and Asia, while South Korea's intelligence activities are mainly aimed at Nor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U.S. intelligence agencies are separate, whereas domestic and foreign intelligence agencies are separate, whereas Korean intelligence agencies are a type of integrated intelligence agency that combines information and investigation, unlike the U.S. In the U.S., the U.S. also operates as an intelligence community, and there are many flexible organizations such as non-tier organizations and centers. Intelligence activities by U.S. intelligence agencies are mainly focused on analysis and overseas processing activities, while Korean intelligence agencies still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domestic information activities. Despite these differences, Korea's intelligence agency was created by imitating U.S. intelligence agencies, and thus has similar aspects in terms of evaluation of security, organization and activities. However, this similarity is shared by all intelligence agencies, so the article will focus on analyzing differences. Finall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intelligence agencies, the establishment of an intelligence community and efficient control of the National Assembly will be proposed.

An An.0, pproach to the Reorganiz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in the 21st Century

  • 홍현진;이병목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9
    • /
    • pp.443-464
    • /
    • 1998
  • 21세기를 맞이하여 대학도서관은 정보기술의 도입, 업무내용의 변화, 이용자의 요구변화등 급격하게 변화하는 새로운 환경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도서관 조직구조의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다양한 조직이론들과 정보환경의 변화에 기초해서 도서관조직을 활성화시키기위한 개념적인 조직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 대학도서관은 거의 10년동안 법적인 제약과 조직내외의 환경적인 한계 등으로 인해 전산화시스템의 도입, 도서관부관장의 임명, 그리고 도서관과 컴퓨터 센터와의 통합시도와 같은 약간의 변화외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전형적인 한국의 대학도서관은 수서, 기술서비스, 열람과 참고봉사 부문으로 조직되었다. 여기서 수서 기능을 기술서비스의 부문으로 간주한다면, 본 연구의 대상인 대학도서관 114개관 중 95개관(82.5%)이 전통적인 도서관조직의 형태인 기술서비스와 공공서비스 부문으로 조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도서관조직의 문제점들을 급복할 수 있는 21세기의 개념적인 대학도서관 조직모델로서, 네가지 부문 - 서비스 부문, 서비스지원 부문, 기술지원 부문, 그리고 통합·조정부문-을 대학도서관의 개념적인 기본 구성요소로써 제안하였다. 그러나 모든 도서관의 서비스나 업무과정에 대해 적합한 잉상적인 조직구조는 없으며, 조직의 재조직과정은 도서관의 형태와 목적, 업무과정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도서관의 재조직화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는 과정이 될 것이며, 도서관조직의 성공은 이러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개인과 조직의 역량에 달려있다고 하겠다.대한 순서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4) 도서관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두 집단은 상이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학자들의 과반수는 중요 정보원으로서 자신의 개인장서를 활용하며, 도서관의 장서 및 그 조직방법에 대해서도 별로 만족하지를 못하고 있다. 반면에, 실무가들은 도서관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하며 따라서 도서관에 대한 이용도도 높다. 5) 두 집단 모두 보조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으며 사서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볼 때 법률전문직을 둘러싼 정보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인쇄된 일차적 정보자료의 검색방법등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법령과 판례정보를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요구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잇는 도서관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법과대학과 사법연수원에서 법학 연구방법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여 각종 법률정보원의 활용 내지 도서관 이용방법에 관하여 교육하는 것이다.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boxDr$한국어사전$\boxUl$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크기에 의존하며, 또한 이러한 영향은 $(Ti_{1-x}AI_{x})N$ 피막에 존재하는 AI의 함량이 높고, 초기에

  • PDF

Innovation in Library Organization and the Principle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도서관조직 혁신과 학습조직이론)

  • 홍현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147-150
    • /
    • 1998
  • 환경의 급격한 변화속에서 혁신할 수 있는 조직의 능력이란 조직의 생존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총체적인 혁신전략으로서 각광 받고 있는 학습조직이론을 도서관조직의 새로운 혁신기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학습조직의 개념정립과 학습조직 등장의 시대적 배경, 그리고 학습조직의 구축요소와 구축단계와 함께 최근의 학술도서관의 재조직 경향과 학습조직이론간의 관련성에 대해 논하고 있다. 단, 본 연구는 앞으로 전개될 경험적 연구의 기초로서 개념의 변별 타당도 확보 차원의 이론 연구라고 할 수 있으면, 앞으로 다양한 학습조직 구축방법 등을 활용하여 실제로 도서관들을 진단하고 이들을 학습조직으로 전환시키는 사례연구들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Organizational Change and Automation in University Library (자동화에 따른 대학도서관 조직구조변화에 관한 연구)

  • Yang, Su-Mi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29 no.2
    • /
    • pp.37-53
    • /
    • 1998
  • The organization of university library is still not corresponding effectively with the infomation a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an organizational change which appears in the process of automatization, and to provide of fundamental element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in university library.

  • PDF

Existing Knowledge in the Organization and the New Product Performance (조직 내 기존지식과 신제품 성과에 관한 연구)

  • Suh, Sang-Hyuk;Cho, Sung-Bok;Jin, Yun-Ky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9 no.4
    • /
    • pp.884-908
    • /
    • 2006
  •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nk between existing knowledge in the organization and NPD performance. After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e identified factors influential in the management of existing knowledge, such as efficiency of information acquisition, shared interpretation, structure of organization. Through an empirical research, we found that existing knowledg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shared interpretation. Additionally, a strong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information acquisition efficiency and NPD. Shared information, however, was not found to be associated with NPD. This result, make us recognize the necessity to better understand some subprocesses through which existing knowledge affects new product performance.

  • PDF